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스탠다드 절화 장미의 품질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국내에서 재배되어 유통되는 품종과 수입되고 있는 대표적인 품종을 대상으로 외∙내적 품질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적 품질 분석 결과, 국내에서 주로 재배 되는 적색 장미 ‘Fuego’ 은 국내로 수입되고 있는 콜롬비아산 ‘Freedom’, 에티오피아산 ‘Upper class’ 과 비교 시 노화 시점까지 개화가 지속되어 화폭이 증가하고 꽃이 만개하였으며, 노화 발생이 적어 절화수명이 3일 이상 연장되었다. 분홍색 장미 또한 ‘Hera’와 콜롬비아산 ‘Mandela’, 에티오피아산 ‘Visu’ 와 비교 시 수명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Fuego’, ‘Hera’ 모두 향기가 다소 진하였다. 내적 품질 분석 결과, 절화수명과 유사 하였으나, 적색과 분홍색 장미 모두 에티오피아산 품종의 수분 흡수량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박테리아 발생량은 유의차 가 없었으며 ‘Fuego’는 꽃의 당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개화단계, 엽록소 함량, 꽃과 잎의 당 함량과 절화수명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적색 장미 ‘Fuego’는 수입산 절화 와 비교 시 품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수분 흡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 채화하는 직후부터 소비자 판매단계까지의 단계적정 보존용액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Tiny Bell’을 육성하였다. 2010년 진분홍색 다화 성 소형 품종 Phalaenopsis ‘D07PN16’와 연분홍색 소형종 P. ‘D03PN22’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4년 생육이 우 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10531-53’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 터 2018년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 일성을 확인한 후 ‘Tiny Bell’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밝은 보라빛 분홍색(RHS, PVGN80A)을 띄며, 가장자리에 백색무늬 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3.89, 4.01cm이며, 총상화서로 분지가 발생한다. 1개의 꽃대에 19.7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많이 달리는 다화 성이며, 꽃대 길이는 28.48cm정도이다. ‘Tiny Bell’은 생육시 잎이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은 각각 13.1cm, 5.3cm였다. 신품종인 ‘Tiny Bel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6.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 growing global interest in food choices that could affect health. Consumer food choices are dictated by numerous factors such as attitudes, beliefs, desires and preferences stemming fro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ttribut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consumers’ internal perceptions about cream soup, cream sauce, and tomato sauce using ZMET (Zaltman’s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The 9 step ZMET interview process was conducted for a sample of 36 consumers (12 consumers for each sauce). A content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as carried out. From this, 56 concepts of cream soup were derived, and 15 constructs that met with the agreement of more than one-third of the total sample consumers were extracted. These 15 constructs included ‘Soft’, ‘Recollection’, ‘Familiar’, ‘Warm’, ‘Comfortable’, etc. Similarly, for cream sauce, 67 concepts and 20 constructs ‘Silky’, ‘Warm’, ‘Restaurant’, ‘Family’, ‘Memory’, etc. were deduced. A total of 66 concepts and 20 constructs for tomato sauce ‘Sourness’, ‘Sauce Bottle’, ‘Pleasant’, ‘Ingredient’, ‘Cooking’, etc. were derived. The analysis of consumers’ consensus maps through this study provides a deep and useful understanding of consumers and their latent need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ploring consumers’ internal perception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their healthy food choice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ulating marketing strategies.
        4,000원
        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7년 빅립 형태의 분홍색계 팔레놉시스 ‘Lovely Angel’을 개발하였다. 2009년 백색 팔레놉시스 P. ‘Timonthy’와 빅립을 가지는 분홍색 P. World Class ‘Big Foot’을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3년 생육이 우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09056-12’를 개체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터 2017년에거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여 ‘Lovely Angel’을 육성하였다. 이 품종은 밝고 선명한 보라빛 분홍색(RHS, PVG81C)을 띄며, 줄 무늬를 가지고 있고 설판이 큰 빅립 형태가 특징적이다. 안아피는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6.1, 5.6cm이며, 1개의 꽃대에 20.6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비교적 많이 달리고, 꽃대 길이는 31.8cm 이다. ‘Lovely Angel’는 생육시 잎은 반하수로 자라며 길이는 18.7cm, 폭은 6.8cm이다. 신품종인 ‘Lovely Ange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10.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sistent left cranial vena cava (PLCVC) is a remnant vessel connected with the coronary sinus and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A 3-month-old intact male Bichon Frise was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a mechanical murmur auscultation in the local animal hospital. No significant clinical signs were present on physical examination except mechanical murmur.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as diagnosed in the imaging procedure. During the left thoracotomy, PLCVC was found. The vascular malformation made the surgical process difficult by hiding PDA from the left thoracotomy surgical view. PLCVC and the vagus nerve was carefully dissected and lifted to secure a clear surgical view of PDA. The ductus arteriosus was ligat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On CTA, left brachiocephalic vein retaining connection with the coronary sinus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was observed. CTA is highly recommended for dogs with PDA to provide better postoperative results.
        4,000원
        1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실내 공간 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이 없는 공간을 대조구, 정상적인 스파티필름과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스파티필름의 수분 스트레스 유무에 따른 chamber 내 온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식물의 생육 적정 범위인 23±1℃를 유지하였으며, 처리 간의 0.7℃의 차이를 보였다. 습도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는 유의차 있게 나타났으며, 처리 간의 유의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실내 오염 물질을 조사한 결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경우 대조구는 0.30mg・m-3,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은 0.05mg・m-3 ,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09mg・m-3으로 대조구와 처리구는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였으며, 식물 내 수분 스트레스에 따른 처리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조사 결과, 정상적인 스파티필름의 TVOC는 5시간 후 0.00mg・m-3 으로 모두 제거 된 반면,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0.34mg・m-3으로 다소 남아 있었으며, 대조구는 1.25mg・m-3으로 세 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나타났다. 또한 이산화탄소 변화량 조사결과, 대조구는 459ppm, 정상 스파티필름은 446pp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 필름이 대조구보다 이산화탄소 함량이 다소 높았다. 기공변화율 조사 결과, 정상 스파티필름의 변화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스파티필름이 배치되어있지 않은 공간보다 배치된 공간이 공기정화에 효과적이며,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스파티필름은 실내오염물질 제거에 있어서 기공 변화율 및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저하되므로 스파티필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실내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바일 게임 시장이 스마트폰 중심으로 변화되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게임에서는 오토 플레이 시스템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오토플레이 시스템은 버튼 한번으로 게임을 자동으로 진행하는 시스템 이며 현재 거의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에서 적용되었고 PC게임에서 까지 이러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오토 플레이 시스템의 성능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행동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플레이어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학습한 인공지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공지능 모델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게임 데이터와 플레이어가 입력한 버튼 값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고 학습데이터를 DNN(Deep Neural Network)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하였다.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중복적으로 다른 버튼을 동시에 누르기 때문에 Output Layer를 다층으로 분류하여 학습을 진행했다. 본 논문 실험에서는 20명의 실험자들에게 제안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결과를 기록하였고 트랙을 일정하게 벽을 부딪치지 않고 달린 플레이어 데이터만 제대로 학습되어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그렇지 않은 플레이어의 데이터는 캐릭터가 제대로 이동하지 않아 결과 값을 얻을 수가 없었다. 또한 간단한 아케이드 게임을 만들어 강화학습과 비교하였으며 강화학습보다 성능은 좋지 않았지만 학습속도가 약 10배 빨랐다.
        4,500원
        16.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croenvironments surrounded with various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s can decide specifically the fate of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and integrin heterodimers recognizing directly ECM prote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nsporting ECM-derived signals into cytoplasm, resulting in inducing a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cell attachment,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o date, studies on type of integrin heterodimers expressed functionally on the undifferentiated SSCs derived from mouse with hybrid strain remain unclear. Therefore, we tried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what kind of integrin heterodimers are expressed transcriptionally, translationally and functionally in the SSCs derived from testis of hybrid (B6CBAF1) mouse. For these, 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MACS) using Thy1 antibody was used for isolating SSCs from testis, and real-time PCR or fluorescence immunoassay was conducted for measuring transcriptional or translational level of integrin α and β subunits in the isolated SSCs. Subsequently, antibody inhibition assay was conducted for confirming functionality of presumed integrin heterodimers. As the results, transcriptional levels of genes encoding total 25 integrin subunits were quantified, 7 integrin α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and 2 integrin β (β1 and β5) subunit gen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compared to the other integrin subunit genes. In contrast, integrin α3, α5, α10 and α11, and integrin β2, β3, β4 and β7 were weakly transcribed. When translational levels of the integrin α subunits showing high transcription level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were measured, significantly strong translational up-regulation of integrin α6, α7, α9, αV and αL subunit genes were detected, whereas integrin α4 and αE subunit genes were weakly. In case of integrin β subunit, β1 evaluated more expression than β5. Based on these results, we speculated that the undifferentiated SSCs derived from B6CBAF1 mouse might express integrin α4β 1, α6β1, α7β1, α9β1, αVβ1 or αVβ5 on plasma membrane. Subsequently, the hybrid strain SSC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dhesion to fibronectin, laminin, tenascine-C and vitronectin and functional blocking of integrin α4β1, α6β1, α9β1, and αVβ1 or αVβ5 in SSCs significantly inhibited attachment to fibronectin, laminin, tenascin-C and vitronectin, respectively. Accordingly, we could identify that the hybrid (B6CBAF1) mouse-derived SSCs had integrin α4β1, α6β1, α9β1, αVβ1 or αVβ5 on plasma membrane. Moreover, this informa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constructing non-cellular niche supporting self-renewal of SSCs in the future.
        1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에 재배된 바 없었던 암대극을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하고자, 절화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7년 3월과 4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암대극을 채취한 후, 수분흡수, 절화수명, 노화 과정 등 절화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sucrose 농도, 절화길이, pH 농도, 저장온도에 따른 절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12h photoperiod, 25℃, 70% RH)과 실온(23℃, 44% RH)에서 수행하였고 2~3일 간격으로 수분흡수량, 생체중, 절화수명을 측정하였다. 실험 환경에 따른 연구에서 실온(14.4일) 보다 phyto-garden system(42.4일)의 절화 수명이 약 3배 더 길었고, 절화길이에 따른 연구에서는 절화수명이 20cm, 15.2일, 40cm, 17.4일로 나타났다. Sucrose 농도에 따른 연구에서는 처리에 따른 절화수명 증진 효과는 없었고, pH에 따른 연구의 절화수명은 pH 5, 15.6일, pH 6, 13.4일, pH 7, 13.1일, 증류수, 14.8일이었다. 저장온도에 따른 실험에서, 절화수명은 4℃, 83일, 10℃, 41.2일, 15℃, 35.5 일, 20℃, 17.4일, 실온, 14.4일이었는데, 온도가 감소할수록 절화수명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암대극은 비교적 광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과 절화길이가 길고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수명이 오래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on the dispersion state of partially reduced graphene oxide (PRGO) in organic solvents, namely methyl ethyl ketone,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toluene, and xylene, by controlling the carbon to oxygen (C/O) atomic ratio of the PRGOs. A two-phase solvent exchange method is also proposed to transfer PRGO from water to an aprotic solvent, such as methyl ethyl ketone. We achieve relatively good dispersion in aprotic and non-polar solvents by controlling the C/O atomic ratio of the PRGOs and applying the two-phase solvent exchange method. There is an increase 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with the dispersion of PRGOs into amorphous polymers, in particular a 4.4°C increase for poly(methyl methacrylate) and 3.0°C increase for polycarbonate. Good dispersion of PRGO in a nonpolar polymer, such a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also obtained.
        4,000원
        19.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enerally, fate of spematogonial stem cells (SSCs) can be determined specifically by microenvironments enclosed with various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s and integrins recognizing directly ECM proteins play an pivotal role in transporting ECM-derived signals into cytoplasm, resulting in inducing a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such as cell attachment,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o date, studies on type of integrins expressed on the undifferentiated SSCs remain unclear. Therefore, we tried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what kind of integrin subunits are expressed transcriptionally or translationally in the SSCs derived from testis of hybrid B6CBAF1 mouse. For these, isolation of SSCs from testis were conducted by 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MACS) using Thy1 antibody. Subsequently,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level of integrin α and β subunits in the isolated SSCs were measured by real-time PCR and fluorescene immunoassay,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ranscriptional levels of genes encoding total 25 integrin subunits were quantified, and integrin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and integrin β1, β5 showed higher expression levels than other subunits. By contrast, integrin α3, α5, α 10 and α11 and integrin β2, β3, β4, β7 were weakly transcribed. When translational levels of the integrin α subunits showing high transcription level (α4, α6, α7, α9, αV αL, and αE) were measured, integrin α6, α7, α9, αV and αL were higher than integrin α4 and αE. In case of integrin β subunit, β1 evaluated more expression than β5. From these results, we speculate that the undifferentiated SSCs derived from hybrid B6CBAF1 mouse may express integrin α4β1, α6β1, α7β1, α9β1, αVβ1 and/or αVβ5 on plasma membrane. Moreover, this informa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constructing non-cellular niche supporting self-renewal of SSCs in the futur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