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최고경영자(CEO)의 해외 경험이 IPO의 성공에 미치는 영 향을 탐구하고, CEO가 경험한 국가와 주관사 국적 간 문화적 거리가 이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를 분석한다. 또한 IPO 기업과 외부 투자자 간의 정보 비대칭성 정도가 CEO 해외 경험의 신호 효 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2014년부터 2019년 사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36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한 결과, CEO의 해외 경험은 IPO 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CEO가 경험한 국가와 주관사의 국적 간 문화적 거리가 클수록 약화 되었다. 반면 IPO 기업과 외부 투자자 간 정보 비대칭성이 높을수록 CEO의 해외 경험이 IPO 성 공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도구변수를 사용하여 내생성 문제를 통제 하였으며, 도구변수 사용 시에도 주요 가설은 대체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CEO의 해외 경험이 IPO 과정에서 중요한 신호(signal)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특히 문화적 거리와 정보 비대 칭성이라는 맥락적 요인이 CEO 특성의 신호 효과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기업공개 및 신호 이론 연구에 기여한다. 실무적으로는 IPO를 준비하는 기업들이 해외 경험이 있는 CEO를 선 임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주관사를 선택할 때는 문화적으로 유사한 국가의 주관사를 전략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계란의 비린내 강도는 가금류의 종류와 개인의 인식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트 리메틸아민(TMA)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주목할만한 점은 리보플라빈이 TMA를 무취의 트리메틸아민-N-옥사이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인 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 나제 3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난황의 TMA 함량을 분석하여 비린내에 대한 기여도를 평 가하고, 비린내를 방지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였다. 고체상 미세추출-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 석법을 사용하여 리보플라빈이 강화, 보충된 사료를 먹인 암탉의 난황에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감지하고 정량화했다. 또한 샘플 간 휘발성 물질의 상대적 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TMA는 콜린이 함유된사료를 섭취한 가금류의 난황에서 고농도로 검출되었지만 리보플라빈이 보충된 사료를 섭취한 가금류 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리보플라 빈이 TMA를 포함하여 계란에 존재하는 휘발성 물질의 양 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 이 계란의 비린내를 줄이는 것은 물론 품질 향상에 기여 하기를 기대한다.
Resistance to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 in Enterobacteriaceae is increasingly prevalent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of AmpC genes in Proteus mirabilis isolated from stray and hospital-admitted companion animals in South Korea. AmpC β-lactamases hold clinical significance due to its potential to facilitate antimicrobial resistance to cefoxitin, cefazolin, and most penicillins. A total of 163 bacterial isolates belonging to the Enterobacteriaceae family were collected from dogs (n = 158) and cats (n=5). Of them, 134 isolates were from hospital-admitted animals, while 29 isolates from stray animals. Boronic acid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conducted for an initial screening to detect AmpC β-lactamase resistant P. mirabilis. Gene-specific PCR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 of AmpC genes, which include six groups (MOXM, CITM, DHAM, ACCM, EBCM, and FOXM), in the resistant isolates. The boronic acid disk tests revealed 45 (27.6%) positive isolates out of 163 isolates tested. Of these 45 isolates, six were determined to harbor the EBCM gene, 13 for CITM, one for FOXM, and one for DHAM by single detection PCR. No isolates carried for ACCM or MOXM. Thus, a total of 21 out of 163 isolates (12.9%) were demonstrated to possess AmpC genes. No isolates contain more than one group of AmpC gene family.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P. mirabilis was found to possess AmpC genes compared to past studies. Therefore, the increasing trend in antimicrobial resistance in P. mirabilis indicates a dire need to monitor antimicrobial prescription in the veterinary field.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는 신생 및 이유기 돼지 설사의 주요 원인체로서 전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 큰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러한 E. coli가 보유하는 다양한 병원성유전자의 분포 및 특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163개 양돈농장에서 이유기 설사증 개체로부터 면봉스왑 샘플을 채취하여 동일 농장의 개체일 경우 5개에서 10개 정도를 혼합한 후, MacConkey agar에 배양하여 최종 API 32E system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분리된 모든 균주에 대해서 3가지의 다른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총 13종의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총 172개의 최소 한가지 이상의 병원성 유전자를 가지는 E. coli 균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병원성 유전자의 분포는 (1) fimbrial adhesins (43.0%): F4 (16.9%), F5 (4.1%), F6 (1.7%), F18 (21.5%), and F41 (3.5%); (2) toxins (90.1%): LT (19.2%), STa (20.9%), STb (25.6%), Stx2e (15.1%), EAST1 (48.3%); and (3) nonfimbrial adhesin (19.6%): EAE (14.0%), AIDA-1 (11.6%) and PAA (8.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국내 양돈농장의 이유기 설사증에 관연하는 E. coli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병원성 유전자의 조합도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Unstable Epigenetic reprogramming was DNA methylation, imprinting, RNA silencing, co-valent modifications of histones and remodelling by other chromatin-associated complexes. After fusion with an enucleated oocyte, a differentiated somatic cell can restructure its genetic program and acquire totipotent characteristics. However, these cases happen only with low frequency. primordial germ cells (PGC) was effectively remove of epigenetic modifications in the genetic totipotency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was in vitro development of reconstruct PGC NT embryos compared with somatic cell NT embryos. The rate of cleavage did not differ between NT embryos from PGC and somatic cells (87.26 vs 91.36%). However, the rate of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GC cell NT than somatic cell NT (31.03 vs 19.27%). PGC from a slightly younger stage of development have succeed to promote normal development of recipient eggs. This difference in results between germ cell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s could only be a reflection of intimate differences in their reprogram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C NT embryo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in vitro development. Furthermore, These study may represent an approach towards achieving better production of transgenic ani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