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azole, EDOT 와 benzobisthiazole이 포함되어진 새로운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 및 특징을 유기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였다. 포텐티오메트릭 이온 선택성 막 전극들은 넒은 감응범위(104~107)와, 시료의 혼탁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빠른 감응 시간과 소형화가 쉬운 이유로 병원, 환경과 산업 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전극의 막에는 강한 흡착과 열적인 안정성에서 뛰어난 상온에서 경화시킨 (RTV)-타입 실리콘 고무가 사용되었다. 불행하게도, 이 실리콘 고무 기반의 전극의 높은 막 저항(PVC 기반의 것과 비교하여 102~103배 더 높은 수치)이 응용에 제한이 되어 왔다. 여기에서 우리는 실리콘 고무 막에 전도성 고분자를 첨가 하여 막 저항이 줄어든 새로운 고체 전극을 구현하였다.
        4,000원
        2.
        2012.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asses were prepared with compositions of (13-x)BaO-80B2O3-7Li2O·xSm2O3, BBLSx(x=0.5, 0.4, 0.3) by melting the starting materials of boron oxide(99.9%), lithium oxide(99.9%), barium carbon oxide(99.9%), and samarium oxide(99.9%) and then quenching the melt at 1350˚C. This led to good-quality BBLSx(x=0.4, 0.3) and poor-quality BBLSx(x=0.5) glasses. The phys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BBLSx glasses were studied by means x-ray diffrac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and dielectric spectroscopy. From the x-ray diffraction and SEM results, the quality of the BBLSx glasses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Sm2O3 concentration.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showed that the crystallites in the BBLSx glasses after heat treatment at 700˚C may be LiBaB9O15. From the DSC result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Tg), crystallization temperatures(Tc), and the maximum temperatures of the crystallized(Tp) BBLSx glasses all changed with the Sm2O3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electric spectroscopy results, the values of the real dielectric constant and Tan δ of the BBLSx glasses depended on the Sm2O3 concentration. The values of the real dielectric constant and Tan δ were also shown to depend on the measuring temperature, possibly due to the ion migration in the bulk of the BBLSx glasses.
        4,000원
        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α-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amage patterns, the occurrence and migration time of Pseudococcus comstocki and in order to improve the control effect of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OAM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Okcheon’s organic vineyard (2,500 ㎡, sandy loam, manure) where planted 8~9 year old ‘Muscat of Alexandria’ vines. The comstock mealybug’s migration to grape clusters occurred from the middle of July, and produced eggs in the grape clusters from the end of July, and the density of the comstock mealybug was highest at 0.6/㎠ in late August. The number and fruit damage of comstock mealybug in eco-friendly vineyards were higher than in conventional culture vineyard. And the marketability of green variety grape was more damaged from comstock mealybug than the black variety grape. Toxicities of 8 OAMs were evaluated to comstock mealybug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s a results, Lightyellow sophora and Derris extracts exhibited strong insecticidal activity with 100% mortality. When the Lightyellow sophora extract wa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vine from early-July to mid-July, fruit damage reduction rate was 96.2% and 84.6%, respectively. So commercial grapes could be harvested.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reduce fruit damage by controlling in early - late July (the green stage) when the comstock mealybug migrated to grape clusters in the vine greenhous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external exposure time and momentum on the control of OAMs.
        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isease and pests in six organic peach orchards were surveyed from March 2015 to March 2017. In this period, the number of certified organic and non-chemical peach farms increased to 65.5% and 31.7%, respectively. Certified organic peach farms were selected based on more than 4,000 ㎡ of cultivation area and three tons of production, and their cultivation status was examined. All of the farms were either cultivated green manure crop or sod, and limited vegetation control to a minimum. For the management of soil nutrients, many farmers used livestock manure, oilcake and self-manufacturing liquid fertilizer. It was surveyed that bordeaux mixture, lime sulfur, pheromone for mating disruption of moths and plant extract were used for disease and pest control. The damage caused by the pests and diseases were 31.6% and 24.1%, respectively. The oriental fruit moth showed the highest damage rate (13.5%) in the organic peach orchards, followed by the brown rot (13.0%), peach fruit moth (7.3%) and bacterial shot hole (7.3%).
        6.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황토유황을 활용하여 벼 키다리병 발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종자소독조 건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키다리병에 이병된 ‘신동진’ 품종 벼 종자를 공시하였고 황토유황 농도, 침지온도, 시간, 온탕여부를 구분하여 실내 및 온실검정을 통해 침지시간은 48시간, 침지농도는 1%로 최적 소독조건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모판과 포장시험을 수행하 여 온탕처리 후 20℃, 1% 황토유황에 48시간 침지 처리구와 30℃, 1% 황토유황에 48시간 단독 침지할 때 가장 효과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위 처리조건으로 소독한 종자가 육 묘, 이앙, 출수기를 거치면서도 100%의 높은 방제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에서 1% 황토유황으로 침지한 처리구에서는 포장에서 78.2%의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또한, 온탕소독만 수행한 처리구에서도 60℃, 10분간 충실히 수행될 경우 효과적인 벼 키다리병 방제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지만 온탕처리 후 황토유황으로 추가 침지함으로서 많은 양의 종자를 소독할 때 좀 더 나은 키다리병 방제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농가에서 온탕소독기와 종자소독기 둘 중 한가지 만 구비하더라도 황토유황을 이용하여 충분한 소독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보 다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제조방법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황토유황의 특성상 농가의 경영비 절감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식용유와 계란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이용하여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 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파프리카의 담배가루이 약충에 난황유를 처리하였을 때, 94.5%의 높은 사충률을 보여 화학농약인 피리다벤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토마토의 담 배가루이 약충에는 41.4%의 사충률로 식물추출물인 님오일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토 마토에서 난황유 처리구와 님 처리구에서 성충의 사충률은 유사하였다. 난황유는 파프리카 와 토마토에서 담배가루이의 산란에 각각 75.8%와 52.7%의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친환 경재배 포장에서 난황유를 2회 사용하였을 때 파프리카에서는 100%, 토마토에서는 무처리 구 대비 38%의 가루이류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wo herbal plants, basil (Ocimum basilicum) and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for their potential as repellent plants in the management of striped flea beetle (Phyllotreta striolata), in organic production of chinese cabbage. It was confirmed that striped flea beetle avoided these two herbal plants in olfactometer experiment. We conducted field experiment in which the suppressive effect of the two selected herbal plants and cruciferous crops preferred by striped flea beetle were evaluated through cultivating as inter crops and border crops, respectively. In inter-cropping experiment, unlike in vitro test, the density of striped flea beetle was low in basil- or mustard-intercropping cultivation plot, but high in lemon balm-intercropping cultivation plot. In border cropping experiment, the density of striped flea beetle on chinese cabbage in lemon balm or basil cultivation plot were approximately zero.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think that border cropping of lemon balm or basil can be used to reduce preventively
        1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ontrol effect of entomopathogenic microagent against Spodoptera exigua on organic chinese cabbage. In laboratory condition, insecticidal activity of 4 commercial BT pesticides against S. exigua were lower than 10% against second instar S. exigua.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were 33.3%, 83.3% and 100% at the concentration of 1×102, 3×102, 1×103 nematodes/ml, respectively. Mixture of BT and nematode showed growth inhibition against S. exigua larvae. S. exigua nucleopolyhedrovirus (SeNPV) of 105 PIBs/ml showed more than 70% insecticial activity. The yield of SeNPV was increased as in higher initial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NPV, food supply, and growth temperature increased. In greenhouse experiment, the control value of BT and nematode mixture treatment was higher than BT and nematode treatment alone against S. exigua. In treatment of 107 PIBs/ml of SeNPV, S. exigua was controlled completely. In farm condition, mixture of microbial agent and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showed higher control value against lepidopteran pest including S. exigua than BT single treatment.
        1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organic rye to provide dairy farmers with safe organic feeds. Also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mount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verage 760~786 kg/ha) than i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353 kg/ha) (p<0.05).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s and the single-sowing of rye tended to improve by increasing the level of nitrous fertilization rather than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crude protein on the rye according to the mixed-sowing of legu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ture (average 8.29~9.90%) than in the single (average 4.93%) (p<0.05). The comparison by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for the rye in 50 kg N/ha than in fertilization treatments (p<0.05).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mount in the single-sowing of rye was average 46.86% and has lower than average 49.96~50.12% of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especially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with 54.55% in 150 kg N/ha for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p<0.05). The breeding ability of annual organic livestocks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feed value of ry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3.72~4.12 heads)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verage 2.26 heads) (p<0.05). By summarizing above results, the mixed-sowing of legume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the feed value of rye for increasing organic livestock breeding ability in southern area of Gyeongbuk regions, and the study for identifying the appropriate fertiliza-tion level using livestock excretions is further necessary.
        1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 on Korean design code, previous design code had not considered the effect of pavement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however recent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Method, 2012) allowed to consider the effect of pavement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and efforts to apply the stiffness of pavement to the deck continue. Meanwhile, research on the effect of ultra thin bridge deck overlay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is inadequate, previous study was limited in about fatigue stress and performance between pavement layer and the orthotropic steel deck. In this study, according to changing of pavement layer stiffness application, pavement materials, pavement thickness and steel deck thickness, analysis of shear stress. In addition to base on this result, consider effectiveness of ultra-thin pavement stiffness application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1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작물 재배에 따른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피해 경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년간 수행되었다. 콩 참깨 호박 네마장황, 대파를 전작물로 재배하였으며, 대조구로 휴경처리구와 병원균 무접종구를 두었다. 전적물 재배 후 마을을 파종하고 재배하면서, 흑색썩음균핵병 이병주율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2013년 흑색썩음균핵병은 병원균 무접종구, 콩, 네마장황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014년에는 네마장황, 콩, 대파처리구에서 흑색썩음균핵병 이병주율이 낮았으며,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처리구 별 마늘의 수량은 2013년에는 콩, 네마장황, 대파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2014년에는 콩, 네마장황, 대파처리구에서 높았고, 호박처리구에서 가장 적어 이병주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콩-마늘과 네마장황-마늘재배체계가 흑색썩음균핵병을 억제하기 위한 윤작체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1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업에서 생물자원으로서 담수 클로렐라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유기농 생태계로부터 담수 녹조류를 분리, 동정하고,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의 수온은 12.4~28.2℃, pH는 6.1~8.5이었다. 담수 녹조류를 분리할 때 고체배양법이 액체배양법보다 오염도가 낮고 분리 빈도가 높았다. 전국 9개 지역, 6개 담수 녹조류 서식처로부터 총 115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담수 녹조류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질소원으로는 NaNO3과 KNO3, 탄소원으로 Na2CO3를 사용하였고, macro media의 구성 성분 중 MgSO4 · 7H2O과 CaCl2 · 2H2O를 분리하여 제조한 BGMM(BG11 Modified Medium)배지를 고안하였다. 담수녹조류는 배양 후 4일째부터 급격히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8일째부터 흡광도가 감소하였다. 공시한 7개의 균주 중 CHK008 균주가 배양 7일째에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였다. 담수 녹조류 배양에 적합한 BGMM 배지의 pH는 6~7이었고 조사되는 빛이 강할수록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5종류 당류 중에서 Glucose와 Galactose를 첨가하였을 때 클로랄라의 생육이 좋았다. 순수 분리한 16개 녹조류 균주의 균총색은 녹색, 진녹색, 연녹색을 나타내었고, 11개의 균주가 형광현미경하에서 강한 형광 빛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16개 균주의 형태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C. vulgalis, C. sorokiniana, C. pyrenoidosa, C. kessleri, C. emersonii, and Chlamydomonas sp.의 2개 속 6개종으로 동정되었다. 담수 녹조류의 세포 크기는 종마다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담수 녹조류의 세포형태는 구형이었다. Chlamydomonas sp.는 타원형이었고 Chlorella sorokiniana는 구형과 타원형이 섞여 있었다. 6개 녹조류 종류 중 Chlamydomonas sp.를 제외한 모든 균주는 편모가 없었다. Chlamydomonas sp. 1개 균주와 C. sorokiniana 5개 균주는 세포에서 점질물을 분비하였다.
        1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 배추재배를 위한 주요 해충 방제를 위한 push-pull 전략 수립을 하고자 유인 또는 기피식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2012년 충남 서산의 유기농 배추재배농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 배추잎벌레, 진딧물, 비단노린재 및 갈색노린재에 대한 메리골드, 호밀, 부추, 상추, 치커리, 농우-치커리, 쑥갓, 트레비소 및 겨자채 등, 9가지의 식물에 대한 유인 또는 기피효과를 평가하였다. 10종의 유인 및 기피식물 중에서, 호밀과 치커리는 갈색날개노린재와 비단노린재를 각각 강하게 유인하였다. 진딧물은 다른 식물보다 호밀에 선택적으로 유인되었다. 겨자채는 비단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순으로 유인하였다. 비단노린재는 상추와 부추 혼작처리에 유인되었다. 유기농 배추포장에서 쑥갓, 트레비소, 청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처리는 배추잎벌레, 배추좀나방, 비단노린재, 진딧물, 갈색날개노린재의 발생을 강하게 기피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선발한 해충 유인 및 기피식물은 배추의 종합적 해충방제를 위한 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a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CO2 emission of Modular bridge quantitatively. Preferentially, Modular bridge was separated steel girder bridges, concrete girder, concrete slab bridge and analyzed process in doing configuration W.B.S system.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guidelines, each process was divided into material,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calculated by division in detail the materials and fuel so it planned that quantitative assessment can be achieved.
        1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sland areas have disadvantageous conditions compared to inland are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separated, surrounded by seas, isolated. However, as the problems with separation that ultimately caused regional underdevelopment in island areas have been eased by the artificial works linking an island to land and the societal perspective on littoral districts has changed from productive view to consumptive view, the population trend in the island areas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ditions. But it is the reality that the population trend in the island areas has almost never been analyze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overall demographic transition in eup/myon-level island areas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establish flexibly and accurately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island areas in rural As a result, as the regional conditions of island areas become more various, the potential and conditions of development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these trends will be more intensified. In response,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island areas in rural have to be reorganized a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