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3

        181.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 중년남성이 심념처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기술하고, 그의 심념처 명상수행 어려움에 대한 맥락적 의미를 설명하며, 그가 심념처에 관한 명상수행 상담을 통해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심념처 명상을 어떻게 실천해나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보고자는 심념처 명상수행을 하면서 지속되는 멍한 통증, 반복되는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 그리고 알아차림의 대상에 대한 의구심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명상수행의 어려움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경제적 무능력으로 인한 강박적 불안과 위축감, 집안의 장남과 장손으로서의 의무적 부담감, 그리고 자신의 원하는 것과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며 살아야 하는 것 사이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이라는 맥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는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하여 멍한 두통, 불안과 위축감이 치유되었고, 반복되었던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마음이 알아차려야 할 대상들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되었다. 그는 마음 관찰 명상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러한 마음 알아차림을 통하여 일상의 삶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수용하여 그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급하지 않고 여유 있는 삶을 살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심념처 명상수행에 관한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중년남성의 생생한 심념처 명상수행 경험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치유와 변화된 삶의 모습을 내러티브연구로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이다. 셋째, 실무적으로는 향후 심념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심리적 고통해결에 관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4,500원
        182.
        2020.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명상심리상담사들의 영상관법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즉 연구참여자들의 영상관법 경험을 살펴보고 그 본질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7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녹음자료를 직접 전사하여 축어록을 만들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참여자당 3~4회, 1회당 1~3시간 정도가 소요되었고, 토즈와 같은 사설 모임 공간이나 연구참여자의 사무실에서 이루어졌다. 전사한 축어록을 Giorgi의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8개의 구성요소는 <삶에서 겪은 힘겨움>, <고통과의 직면>, <주저와 저항>, <심신의 치유와 통찰>, <도우려는 마음과 기대>, <상담자로서 느끼는 부족감>,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 <영상관법에 대한 이해의 확장> 등이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영상관법 경험의 본질은 자기 돌봄과 성장의 의미를 갖는다. 내담자로서 경험한 영상관법은 삶의 고통을 해소하고 심신을 치유하고 통찰하는 과정을 통한 자신에 대한 돌봄의 경험이었고, 상담자로서 내담자의 변화를 도우면서 영상관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성장의 경험이었다. 본 연구는 명상심리상담사들의 생생한 체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고, 명상상담을 경험할 내담자와 상담자들에게 명상상담의 핵심기법인 영상관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추가하였다
        4,800원
        18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요가치료법을 시행한 적이 있는 국내 전문가 3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 로 하는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의미와 치료의 핵심적 요소 및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국내 조현병 환자를 위한 요가치료법의 개발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현재 조현병 환자를 위해 요가 프로그램을 시행해오고 있는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그 범주들은 조현병 요가치료의 특징, 치료자 또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목표와 핵심적 요소를 드러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범주는 적은 양의 기초적 자세 수련의 필요성, 긍정적 체험의 필요성, 요가를 배우는 조현병 환자의 특징, 요가 지도자의 의연함, 지도자의 적극적인 언어적 안내와 표현, 동작의 자연스러운 배열(sequence), 각 아사나(동작) 사이에 이완이 필요함, 호흡 관찰하기, 신체감각과의 접촉 등 이다. 반면에 회기 내에 고급의 아사나(자세)를 수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거나 지도자의 안 내 없이 환자 스스로 명상을 하는 것 등, 강도 높은 수련과 지도자와 연결이 없는 수련은 비효과적이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가 실행하기 쉬운 요가 동작에 흥미를 증진시키고 지도자의 지속적인 안내와 격려로 회기 내내 환자가 계속 신체 활동과 호흡에 의식을 두면서 현실감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요가 프로그램을 조현병에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정의로 제시한다.
        9,500원
        18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신을 위한 선물 구매 상황과 타인을 위한 선물 구매 상황에서 선호하는 재화 유형(물질재 또는 경험재)의 차이를 탐색하고, 이 차이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 단절 수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Amazon Mechanical Turk를 통해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연구 1과 연구 2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연구에 성인 100명이 참가하였다. 해석수준 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대상에 대한 의사결정 상황에서는 제품의 구체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고, 심리적 거리가 먼 대상에 대해서는 제품의 추상적 속성에 주목한다. 연구 1에서 자신을 위한 선물로는 추상적인 경험재에 비해 구체적인 물질재를 선호하고, 타인을 위한 선물로는 물질재에 비해 경험재를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 1을 확인하였다. 이어 연구 2에서는 감정적 단절 수준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가설 2와 일치하게, 감정적 단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을 위한 선물로는 물질재를, 타인을 위한 선물로는 경험재를 선호하는 경향성이 강해졌다. 본 연구는 선물을 받는 대상에게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선호하는 선물 재화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제안함으로써 선물 구매 행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한계, 가능한 추후 연구도 함께 논의하였다.
        4,600원
        18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ire offic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subsequent forest healing on their occupational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Thi s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fire office rsare called out for fire fighting, the more they see their colleagues with severein jur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and physical an xiety, the more they areex hausted. Moreover, for es thealing help store duce the irmental and physi calfatig uecaused by traumatic events, thu spreven ting them from suffering from burn out.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fire fighting, increased forest healing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sychotherapy,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 and creating a positive mind-set, can reducejobstress and help fire officers recover from it. Lastly, job stres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forest healing on burnout. This implies that burnout can be prevented when fire officers gain high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stress-relief strolling over a traumatic experience, and stronger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family can keep them from being emotionally drained,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4,900원
        18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과 코칭의 통합적 접근을 현장에서 시도하고 있는 상담사/코치의 경험을 통해서 그 구조를 확인하고 서술함으로써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상담과 코칭은 현재 부모, 자원봉사자, 소그룹 지도자, 목회자, 기업 등을 대상으로 여러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다. 상담과 코칭은 다른 접근과 방법론을 갖고 있지만, 내담자/고객의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여 성장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목적이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사면서 코치로서 현장에서 상담/코칭을 하고 있으며, 상담과 코칭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는 참여자 3명을 인터뷰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현장을 분석함으로 상담과 코칭을 통합하여 접근하는 그들의 공통적인 현상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따르고 있으며, 현상학적 연구의 목적은 경험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연구결과 코칭의 장점과 한계, 상담과 코칭의 차이점, 상담과 코칭의 통합, 상담사/코치의 시작, 상담사/코치가 되는 현실적인 준비, 상담사/코치로서의 어려움, 상담사/코치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 상담사/코치의 장단점, 상담과 코칭을 통해 얻는 즐거움, 상담사면서 코치로서 미래의 구성요소 10개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담과 코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합하여 접근할 때 상호보완이 가능하며, 내담자/고객의 문제 해결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고, 상담사/코치에게도 직업적으로 더 큰 만족과 즐거움을 줄 수 있음을 논의 하고 있다.
        6,000원
        187.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August 31, 2019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who worked in tertiar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Braun & Clarke’s thematic analysis method. Results: Four themes and eighteen sub-themes emerged as follows. ‘Falls resulted in fatal consequences, the importance of precaution education’, ‘Errors occurred due to incompliance to verification protocol’, ‘Responsibility for catching other people's errors’, ‘Hospital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atient safety’.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hich may have serious consequences and are not easily addressed. Programs to prevent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systems to guard against these incidents should be establishe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lso needs to be improved.
        4,600원
        188.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urnover experience of nurses who moved from a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to a general hospital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ove for them. Methods: This i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using Colaizzi's (1978) method.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11 nurses within 3 years after turnover to a general hospital at a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between April, 2018 to September, 2018. Results: The four theme clusters and thirteen themes emerged. The core theme licited I was “the journey to find-balance and leave.” Four theme clusters were; “advance to a dream job”, including ‘expectation for my work’, ‘my confidence and family pride’, “unstable my dream job” including ‘stand alone in a desert’, ‘crushed by extra work’, ‘torn protection’, ‘invisible future’, “my job that I wish to keep” including ‘unconditional patience for growth’, “I can't be a loser” is desperate selfinspiration’, ‘leaning on comfort and support', and finally “my place I found again.” including ‘being prepared to be by my side’, ‘restoring work-life balance’, ‘revealed my existence’, and ‘unsatisfied with new work’. Conclusion: Participants choose of turnover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stead of the romance of th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Thi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at values the comfort and relaxation in one's life prior to professional vision of nursing care as a nurse, and success. The result is meaningful as an understanding of effective job management for current-generation clinical nurses.
        4,300원
        189.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health culture nururing activities among small local community health leader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Data was collected vi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3 health leaders at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from May 14 to July 20, 2018.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CAQDAS), NVivo Pro 12. Results: Health leaders encouraged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health programs through persuasion and with responsibility. Community health leaders experienced confidence and formed good habits, communicating and harmonizing with their residents. As a result, they became positive health role models.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health leaders’ competence and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is necessary, take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into account. Also,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health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its residents is required.
        4,500원
        190.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학교 연구학교인 C 중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미래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당시와 1학년 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과학긍정경험(Shin et al., 2017)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에게 과학 수업에서의 나의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리고 간단히 그림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여 수정·보완된 분석틀(Luehmann, 2009)에 의거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미래학교의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통해 과학관련 진로포부,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 정서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주체성과 능동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즉각적이고 충분한 피드백 을 통해 궁금한 것을 해결하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의미 있는 인식을 경험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데 미숙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맥락을 구상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19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the first known to introduce and analyze food-related content among the records left by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 a naval attaché dispatched as part of a U.S. delegation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ketches and memos by Foulk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types of foods, table composition, and intervals between serving the nine rounds of food from the rural government office, which Foulk ate during his local trip, h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tarter (‘preliminary table’ or ‘hors d’oeuvre’) before the main table and that it was served before the main dish.
        4,900원
        19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한 후, Q표본인 33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 1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33개의 진술문을 Q분류를 통해 자료수집 후,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1유형 ‘전공실무경험을 통한 자신감 강화형’, 제2유형 ‘갈등관리를 통한 대인관계역량 강화형’, 제3유형 ‘현장적용을 통한 직무역량 강화형’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인식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와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 코칭을 적용한 대학 수업에 대한 후속연구와 교육분야에서의 Q방법론을 활용한 추후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5,400원
        19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dopts the viewpoint that understanding linguistic aspects of different groups is efficient to promote a person's world view, which leads to increasing intercultural sensitivity(IS). The first goal is to examine the IS of the entir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different languages. The second goal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S according to students'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rough surveys at a school accepting diverse languages. As a result, first, the overall IS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to be in the Adaptation phase(AP) indicating ethnorelative world views. Second,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MS) were found to have higher I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and to face solving communication issues with students of different backgrounds in the AP. General students are first found to have some issues left in the Minimization phase they need to solve, but an indepth analysis has shown that they are also in the AP since they face solving the similar issues to MS. This study, finally,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dealing with multicultural languages.
        7,000원
        19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그간 수행된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 경험을 다룬 연구 중 질적 연구를 선택하여 질적 메타 분석을 실시하고 중도입국청소년들의 교육 적응 과정에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메타분석방법은 유사한 주제에 대하여 수행된 질적 연구물을 선정하여 종합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해석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분석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주제어 검 색을 통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출간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 정된 연구 논문은 총 13편이다. 선정된 개별 연구물에 대해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참가자, 주요 연구주제 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들 간 비교·종합에서는 각 연구에 참여한 중도입국청소년의 배경 특성과 이주 계기 등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연구의 연구결과를 비교하고 종합하는 과정에서 중도입국청소 년의 교육관련 경험을 이들의 적응에 부정적 측면으로 작용하는 위험요인과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으로 범 주화하였으며, 각 하위 범주는 개인차원, 가족차원, 학교/교육기관, 사회문화 차원으로 구분하여 개별 연구 에서 제시한 세부 내용을 분류하고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 적응을 도 울 수 있는 지원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7,700원
        19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 경험을 HCI의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비교ㆍ분석하여 사용 경험의 긍정적인 요소와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현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인 애플의 시리, 구글의 구글어시스턴트, 삼성의 빅스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고 2차로 약 2주간 UI/UX 디자인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맥락질문법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사용자 경험 허니콤(user experience honeycomb) 7가지 사용성 원칙을 5가지로 재구성하여 유용성, 편의성, 시각적 매력성, 신뢰성, 만족도에 대한 질문을 진행하였다. 이후 재구성한 사용성 원칙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rating 및 시스 템 사용성 척도 (SUS) 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4,000원
        19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이주여성의 배움 경험이 이주한 사회에의 적응만을 위함이 아니라 자기성찰을 위한 변화임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주민들 다수는 선주민에 비해 배움의 기회와 조건 등이 사회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움 경험을 유지하는 이주여성들은 과연 무엇을 배우는지, 이런 배움이 자신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이 경험들이 향후 미래에 어떤 쓰임새로 작용하기를 기대하는지 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이주여성들은 외형적 자격을 갖추기 위한 배움과 함께, 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배움을 함께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주여성들은 다양한 배움 경험을 통해 개인의 역량과 상황인식능력을 향상시키며 삶의 태 도를 변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셋째, 이주여성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가치의 상승과 성장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었다. 나아가 다문화공동체에서 각자의 역할을 찾는 사회적 쓰임새로 확장되었다. 배움 경험 은 이주여성에게 자신을 재인식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삶의 가치와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향후 이주여 성들이 각자의 삶을 스스로 계획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적극적 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5,800원
        197.
        202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정폭력은 사회폭력의 반영이기도 하지만 그 자녀에 있어서는 폭력에 대한 학습의 장으로 영향을 끼쳐 성인이 된 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아동이 가정폭력과 학대에 노출되어 살아갈 때 아동의 자존감 발달에 큰 영향을 주어 아동의 사회적, 지적, 정서적 발달과 정상적인 능력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아동기의 직접적인 폭력 경험뿐 아니라 간접적인 폭력 경험, 즉 부모 간 폭력 목격의 수준이 높을수록 성인기에 친밀한 관계의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더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 폭력 경험 아동의 사회적응으로 인한 여러 원인을 분석하여 사회적응을 효과적으로 하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전반 적인 현황을 요약하면,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아동이 경험하면서 목격과 직접경험이 거의 함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400원
        20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 한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교육복지 경험에 대해 개별적이고 독특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성 한부모가족은 개인적인 경험을 드러내는 것을 불편해 하는 경향이 있고, 개인적 상황이 매우 다양하고 민감한 부분이 있어 그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한부모가 된 후에 생계와 양육· 교육을 감당하게 된 3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어려움과 독특한 내용을 ‘이야기화 된 경험’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ly(2007)가 제시한 삼차원 연구 공간 내에서 경험의 시간성, 의사소통을 통한 관계능력-사회성, 분석공간으로의 집 안과 집 밖에서의 삶-장소에 집중하였고, Harry F. Wolcott가 제시한 기술(description), 분석(analysis), 해석(interpretation)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만 지원되는 아동양육비, 교육비, 생계비 지원 노력을 일반 한부모가족에게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나 돌봄 기관과의 지속적인 연계와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나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남성 한부모가족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여러 제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 한부모가족을 내러티브로 접근하여 자녀교육 관련 복지를 좀 더 개인적으로 집중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