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9

        18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Citrus leafminer; CLM) and parasitoids in Jeju region, where the damage of CLM to the citrus farm has been recently increased. For this study, annual CLM mornitoring using sex pheromone traps were conducted in the citrus farm of Jeju from 2011 to 2015. The mean annual occurrence of CLS was 477,389 and appeared to increase along the temperature.
        18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resent study was made to assess annual changes on seasonal occurrence of Apiformes, commonly known as bees, as global warming apparently happens. Bees were collected from ten sites using a malaise trap for each site, and sample collection was made every two weeks from April to September in 2011 to 2014. In overall diversity, abundance and richness of bees appeared higher in northern sites, particularly Gwangneung and Hongcheon, than southern. The abundance of bees declined sharply in 2013 and decreased even further in 2014. Among the bee families the most decreased families were Halictidae and Andrenidae.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annual temperature fluctu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with collection data and weather data. Howev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decline of the be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of temperature although most of the bee families except Halictidae showed negative relation with temperature data(p < 0.05). In addition we also analysed the bee collection data and flowering data during spring in Gwangneung. Dufrene-Legendre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A) for latitudinal sites identified seventeen indicator species (p < 0.05) that were limited to northern region.
        18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asonal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mosquitoes and chigger mites are important for human populations.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vector species are not well - understood. Furthermore, global climate change makes it difficult to predict the population dynamics of vector spec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is vector spec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2015,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ree potential mosquito habitats using black light trap and BG-Sentinel trap in Gyeongi-do in April through October. Also, we collected chigger mite using sherman live traps in Cheorwon, Gangwon-do in April, September and October. From the survey, we collected a total of 11,649 mosquitoes in three potential mosquito habitats, and a total of 3,656 chigger mites from 54 wild rodents. In the samples, dominant mosquito species were Aedes vexans nipponii (Species Ratio 70%), Culex pipens pallens (SR 9.8%) in Gyeonggi area and dominant chigger mite species was Leptotrombidium pallidium (SR 59%) in Cheor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provide fundamental basis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under the global climate change environment.
        18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formation on spatial distribution and peak occurrence is important for site and time specific pest management. So, we investigated seasonal occurrence and edge distribution of major soybean pests by visual count in six commercial fields located in Andong from July 16 to October 23 in 2015. We found a total of 19 species in 10 families. The major pest during vegetative stage was Medythia nigrobilineata (Motschulsky) while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and Halyomorpha halys (Stal) showed peak occurrence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soybean. Aphis glycines Matsumura was found throughout the season. Seasonal density of M. nigrobilineata was 0.20 and 0.38/plant in edge and interior without significance, respectively. The infestation of A. glycine was also found similar between edge and interior. Immatures of R. pedestris and H. halys distributed more in edge (0.21 and 0.36/plant) than interior (0.12 and 0.12/plant), respectively. The application of these informations o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soybean pest was discussed.
        18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는 국내 해충상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 모델에 따라 남방계 곤충의 서식 지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휴면 기작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과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 로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두 해충은 계절적 발생 양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배추좀나방은 이른 봄철과 가을기간에 발생하고 여름 기간 중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파밤나방은 늦은 봄철에 나타나기 시작해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남방계 곤충이 계절적 발생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이들이 갖는 고온에 대한 감수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두 곤충의 내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열처리(42℃)에서 배추좀나방 유충은 40 분 노출에 100% 사망률을 보인 반면, 파밤나방 은 대부분의 유충이 80 분의 노출에서도 생존하였다. 이러한 내열성은 두 곤충 모두 이들의 발육시기에 따라 상이했다. 배추좀나방은 4령 유충과 성충이 가장 높은 내열성을 보인 반면, 파밤나방은 1령 유충에서 가장 높게 나타냈다. 두 곤충 모두는 37℃에서 30 분간 전 처리 후 고온에 노출시 키면 생존율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내열성유기는 두 곤충 모두 혈림프의 글리세롤 함량 증가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파밤나방의 경우는 열충격단백질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여름기간 배추좀나방의 발생이 없는 것은 이 곤충의 고온에 대한 높은 감수성에 기인 된 것으로 보이고, 반면에 파밤나방은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보유하여 여름 기간에도 발생을 지속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4,000원
        18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침엽수 인공림에서 산림 유역내 및 유역출구점에서 용존물질 농도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경기도 국립수목원 소재의 침엽수 시험림에서 pH, EC, 양이온, 음이온, 산중화능을 조사하였다. pH는 평균 6.87로 봄에 낮은 경향을 나타내는데, 수관층에 포집된 강하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EC는 평균 58.4μS/㎝으로 강수량이 적은 봄에 이온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 계류수에서 높을 값을 나타냈다. 양이온과 음이온은 강우로 인해 봄과 가을철에 높게 나타났다. 다른 유역과의 수질 비교에서 EC는 강우량이 많은 여름철에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NO3 -는 강하물 및 시업의 영향으로 계류수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대상유역의 경우, 계류수내 pH와 ANC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태안군 정산포와 황도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종조성과 생물량의 계절적 변화가 바지락 생장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저서미세조류는 총 122종이 관찰되었으며, 정산포에서 85종(계절별 30-45종), 황도에서는 92종(32-57종)이었다. 연평균 엽록소 a 의 농도는 정산포에서 79.75 ㎎/㎡였고 황도에서 151.50 ㎎/㎡였다. 갯벌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의 연평균 세포수는 정산포에서 13,255 cells/㎠이었고 황도에서 15,943 cells/㎠였다. 정산포에서 Cylindrotheca closterium, Gyrosigma sp.와 Navicula sp.가 우점하였고 황도에서는 Amphora sp.1., C. closterium, Detonula pumila, Navicula sp.와 Merismopedia sp.였다. 또한, 두 연구정점에서 최대의 세포수를 나타낸 종은 Paralia sulcata였다. 정산포 바지락의 소화기관에서는 계절별로 18-31종의 미세조류가 분류되었으며, 황도 바지락 소화기관에서는 19-25종의 미세조류가 동정되었고 P. sulcata는 모든 계절에 바지락 소화기관에서 확인되었다. 바지락의 연평균 비만도는 정산포에서 연평균 0.42로 황도의 0.57에 비해 0.15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바지락의 먹이원인 저서미세조류의 풍도와 엽록소 a 의 농도는 바지락 생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200원
        18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est seasons on backfat thickness and age at 90 kg body weight in Duroc pig populations. Data of a total of 40,228 Duroc pigs performance tested from 2005 to 2014 were used. The effects of sexes, years and seasons of the tests were significant (p<0.01) for the both traits. The least squares mean of the age at 90 kg body weight of the pigs tested in 2014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pigs tested in the previous years. And the pigs tested in spring reached 90 kg body weight faster than the pigs tested in the other seasons. The least squares mean of backfat thickness of the pigs tested in autumn was thicker than that of the pigs tested in the other seasons. Pigs tested in spring had the thinnest backfat. There were seasonal variations in the least squares mean estimates of the age at 90 ㎏ both in male pigs (134.06 to 134.36 days), and in female pigs (139.47 to 139.65 days). Seasonal variations were also detected in least sqaures means of the backfat thicknesses in male pigs (11.31-11.34 ㎜) and in female pigs (13.05-13.07 ㎜). The simple and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reeding values estimated using the trait values unadjusted for seasonal effects and those using the trait values pre-adjusted for seasonal effects trait values were all unity, for the both trai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justment of the trait values with regards to seasonal variation had no effects on the estimates from genetic evaluations.
        4,000원
        18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 자연 상태에서 월동한다. 안동지역에서 이른 봄부터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 랩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성충 발생 시기를 주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연중 4 회의 성충 발생 피크를 보였다. 월동 집단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지 역 집단 간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내한성, 약제감수성 및 발육속도에서 뚜렷한 집단 특성을 나타냈다. 분자마커로 집단변이를 분석한 결과 월동세대의 높은 집단변이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 집단 사이의 생물적 특성 차이 를 나타냈고, 이들의 높은 유전적 분화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이들 집단 사이의 개체들의 이동에 따른 유전적 교환이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했다.
        4,000원
        19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 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 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 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 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 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 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 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9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연안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분포 특성과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연안 18개 정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규조강 37종, 와편모조강 22종, 유글레나조강 1종, 규질편모조강 3종 및 은편모조강 1종으로 나뉘었다. 현존량은 1.2×10³ -246.6×10³ cells/L(평균 24.8×10³ cells/L)의 분포 범위를 보였으며 5월에 가장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Leptocylindrus danicus, Chaetoceros affinis, Pseudo-nitzschia pungens 및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이 출현하였다. 해양환경 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pH, 용존산소, 클로로필-a 및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규산규소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계절 변동은 등밀도선 상의 수온(T)-염분(S)도로 구분한 수괴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 분포와 관계가 있었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다원척도 분석을 한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인 분포는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
        4,000원
        19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2000, the damages of hemipteran pests have severely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proper monitoring methods and investigate seasonal occurrences of the two apple-infesting stink bug species by the year and to evaluate the orchard rate of infestation and rate of damaged apple. Also the preferences of stink bugs to the crabappl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in orchards. Compared data obtained from monitoring methods using visible counts,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r mercury light traps, the occurrence density of apple-infesting stink bugs (Plautia stali and Halyomorpha halys) could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in aggregation pheromone trap than visible count or mercury light trap. The occurrence densities of two species during growing season were low in 2013, but increased in 2014. From the investigations at 25 orchards of eight districts was the infestation rate was at 16.7% in 2013 and 62.1% in 2014 . The occurrence density of stink bugs in crabapples was highest in ‘Purple lemoine’ followed by ‘Professor sprenger’ ‘M. baccata’, ‘Robinson crab’, ‘Sandong pingguo’, damaged fruit rate. The number of damaged holes was high in order as ‘Hopa-A’, ‘Sandong pingguo’, ‘Adam’s crab’, ‘Professor sprenger’, ‘Purple lemoine’.
        19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quitoes are vectors of many human diseases such as Japanese encephalitis, vivax malaria, west nile fever, dengue fever and yellow fever.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mosquitoes are not well-understood. Moreover, the global climate change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address and predict the population dynamics of mosquito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is medically-important pest throughout landscap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nation-wide surveillance program to monitor insect vectors. In 2015, mosquitoes were collected using black light traps and BG-Sentinel traps in Gyeonggi-do at every two weeks from April to September. Three types of potential mosquito habitats were selected for surveillance: urban area (Suwon), cattle shed (Yongin) and wild bird refuge (Gwangju). Among the three habitats, female mosquitoes were first caught on April 4 by BG-Sentinel trap in the urban area. The highest density of female mosquitoes in the traps was recorded in July in the urban area (134 ± 84 per trap); the highest density was observed in June in the cattle shed (2473 ± 1319) and wild bird refuge (21 ± 15) (mean ± SE). The dominant mosquito species were Culex pipens pallens (91%), Aedes vexans nipponii (79%) and Anopheles sinensis (33%) in the urban area, cattle shed and wild bird refug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emale mosquitoes were most abundant in the cattle shed habitat type.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dominant mosquito species varied among the habitat types surveyed. This nation-wide monitoring program for medical pests will provide fundamental basis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under the global climate change environment.
        20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sect community structure from different habitats. We performed day and night collection at three different habitats (mountain, coast and rural area) of island Deokjeok, island Soya and island Mungap from May to September in 2014. A total of 3,482 individuals of 725 species, 119 families belonging to 10 order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 dominant species was Corymbia rubra (Cerambycidae) despite a very low percentage of the species among the catches. Results of ANOVA tes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habitats typeon species diversity. Also, combination of seasons and habitats type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with species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A) result identified 121 significant (p < 0.05) indicator species; one species for the habitats cluster, 93 species for the season cluster and 27species for combination of habitats with sea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