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1

        20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phosphate adsorption on kaolinite, 31 P MAS NMR(magic angle spinn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has been used for kaolinite reacted in 0.1 M phosphate solutions at pH’s from 3 to 11. There are at least 3 different forms of phosphate on kaolinite. One is the phosphate physically adsorbed on kaolinite surface (outer-sphere complexes) or species left after vacuum-filtering. The second is the phosphate adsorbed by ligand exchange (inner-sphere complexes), and the third is Al-phosphate precipitates which are pH dependent. Most of the inner-spherer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are mainly on hydroxided Al(aluminol) rather than hydroxided Si(silanol). These are pertin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hosphate adsorption experiments on silica gel and γ-Al2O3 as model compounds, respectively. The two peaks with more negative chemical shifts(more shielded) than the ortho-phosphate peak (positive chemical shift) are assigned to be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The 31 P chemical shifts of the Al-phosphate precipitates are more negative than those of inner-sphere complexes at a given pH due to the larger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The chemical shifts of both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are more negative than those of inner-sphere complexes at a given pH due to the larger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The chemical shifts of both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become progressively less shielded with increasing pH. For the inner-sphere complexes, decreasing phosphate protonation combined with peak averaging by rapid proton exchange among phosphate tetrahedra with different numbers of protons is though to be the reason for the peak change. The decreasing shielding with increasing pH for surface precipitates is probably due to the decreasing average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combined with decreasing protonation like inner-sphere complexes.
        206.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있어서 인산 시비량 차이(0, 5, 15, 25, 35 kg/10a)에 따른 차풀의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 적정 인산 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1998년 9월까지 시험하였다. 개화기까지의 일수는 인산 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지연되었다 초장, 본당 분지수 및 엽수, 경직경, 엽록소 측정치 등은 인산 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본당 고엽수는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생초수량은 무인산구에서 3,291kg/10a이었으나 인산 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25kg/10a과 35kg/10a 시비구에서는 각각 10a당 5,200 kg과 5,230kg이었으나, 두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건초, 조단백질 및 TDN수량도 생초수량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조단백질, 조지방, 가용성무질소물, TDN 함량은 인산 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많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은 낮아졌다.
        20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쥐 초기 배아의 형태형성에 영향을 주는 세포질내 인자의 기원과 작용기작을 연구하기 위해 단백질 합성과 단백질 활성화 효소 (protein kinase)의 억제제를 처리한 배아의 세포질로 재조합된 배아에서 발생과 RNA합성, 단백질 인산화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 (CHX)가 함유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1-세포 배아의 제핵된 세포질을 두 개의 전핵을 모두 가진 절반의 1-세포 배아와 재조합한 P+P-CHX군의
        211.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o optimum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o get a higher yield and a quality of an onion(Allium Cepa L.) from 1993 to 1994. Three fertilizer levels were applied with 120,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100, 200 and 300kg/ha of P2O5 during the onion growing season. After harvesting the onion, it was storaged at given deposit. The growth and yield of the onion were better at the fertilizer levels of both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of both 200 and 300kg/ha of P2O5 than at the level of 120kg/ha in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P2O5 in plant was decreased with reduced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he rotting rate was higher at the levels of both 360kg/ha in nitrogen and 300kg/ha in P2O5 than the other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sprouting rate tended to be high at 240kg/ha of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21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리소솜 acid phosphatase(LAP)를 포함하는 리소솜 산성 가수 분해 효소는 세포 내,외 성분의 분해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미 양서류의 다리 재생 과정에서 LAP의 효소 활성도는 탈분화시기에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산 도룡뇽의 일종인 axolotl(Ambystoma mexicanum)의 다리 재생 가정에서 정상적인 다리 재생 조직과 retinoic acid (RA)가 처리된 다리 재생 조직에서 LA
        215.
        199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nual forage crops have been increasingly important for conpensating insufficient forage production of perennial pastures took place for short interval.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ward composition and NㆍP fertilization on forage production and intercompetition of subterranean clover-Italian ryegrass and berseem clover-Italian ryegrass. The two clovers were grown in the field at the clover/ryegrass ratios of 0/100, 25/75, 50/50, 75/25 and 100/0 where no, N (200 kg /ha), P (50 kg /ha) or NㆍP fertilization was done. Each crop was separated after harvest and drying. Relative Crowding Coefficient (RCC), aggressivity and Relative Yield Total (RY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harvested dry matter of each crop. Berseem clover-ryegrass mixtures produced greater yield than subclover-ryegrass mixtures as a result of higher yields of the two component species. In the former forage yield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rate of clover up to 75%, while in the latter the highest yields were obtained at more than 50% of the clover. In the mixtures N stimulated the growth of ryegrass, whereas P did only that of subclover. The two clovers produced more forage than the companion grass under no and only P fertilization although the reverse result was true under N or NㆍP fertilization, but the annual forage yield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N and P, N, P, and no fertilization. The mixture yields were overyielded compared to the Expected Yield. Although generally RCCs and RYTs of subclover were higher than those of berseem clover in the mixtures differing the composition rate or under no and only P fertilization, those of the former clover were lower under N or NㆍP fertilization. In the clover-ryegrass mixtures, ryegrass acted as an aggressor and became more aggressive under P fertilization.
        216.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산흡착력이 매우 크고 유효인산함량이 낮은 제주도 화산회토에 있어서 단옥수수 적정인산시비량을 밝히고자 1986년 제주(제주통)와 서귀포(남원통)에서 인산시비량( 0, 8, 16, 24, 32kg/10a)에 따른 단옥수수 교잡종 Golden Cross Bantam 70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사일수는 무인산구에서 보다 인산 16kg/10a 이상 시용에 의하여 1~2일 단축되었다. 2. 간장, 착수고, 10a당 생간엽 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상품성 있는 이삭의 정균 길이 및 무게는 서귀포에서 보다 제주에서 컸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큰 경향이었다. 4. 주당 또는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10a당 이삭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차곡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인산시료와 단옥수수 가격을 고려한 적정인산시비량은 약 26kg/10a로 추정되었다.
        217.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의 현장려 품종중 단경형과 분지형 두 품종에 대한 인산의 시비수준에 따른 생육시기별 지상부 생육 및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가. 광합성량은 초기(파종후 6주까지)에는 풍년깨가 후기에는 광산깨가 높았으며, 두 품종 모두 인산10a당4 시용구에서 광합성이 가강 높았다. 나. 인산의 시비수준에 따라 식물체의 무기성분 함량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별 인산함량은 파종후 3주가, 질소와 가리는 파종후 6주가 가장 높았고, 엽분석결과 인산함량과 지방과는 0.48*, 가리함량과 탄수화물과는 0.57**로서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다. 개화최성기(7월 15일)의 광합성능력과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간에는 품종별로는분지형인 광산깨가 인산시용량간에는 10a당 4kg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라. 참깨의 품종별 종실중은 풍년깨는 10a당 4kg시용구가, 광산깨는 10a당8kg시용구가 가장 많았으나, 동일종실중에 대한 함유량은 두 품종 모두 인산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대되었다.
        218.
        198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차드그라스와 라디노클로버의 경합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기존초지에서 분주하여 동일한 밀도로 단·혼파조합을 조성하고 경합구로서 지상 및 지하를 투명아크릴판으로 격리처리하고 질소 및 인산비료를 시용하여 시비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였다. 년4회 예취를 통한 목초수량에서 라디노클로버는 오차드그라스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고 LAI, 초고, 분얼력에서도 약세였다. 특히 혼파시에는 라디노클로버가 하부에 위치하며 수평엽의 초형을 가져 광리용 이 불량하였고 경합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인 수량감소가 있었다. 이들의 경합상태를 지상부 경합과 지하부 경합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지하교 경합에서 라디노의 상대적 열세가 더욱 심하였고 이는 오차드그라스의 왕성한 근군확장과 양수분리용에서 유리하였기 때문이었다. 질소의 시비는 오차드의 경합력을 더욱 촉친하였고 인산의 시용은 라디노의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였으나 오차드에 미치지 못하였다. 혼파구의 수량은 오차드그라스의 단파수량보다 적었으나 두 초종의 평균인 'Expected Yield' 보다는 높아 혼파는 유리하였고 경합의 형태는 오차드그라스에 의한 '과잉보상'으로 오차드그라스는 라디노에 비하여 23.5% 가량 우점도를 나타내었다.
        219.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녹두재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녹두의 지상부 형질,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종실성분 변화를 구명코자 숙전 및 개간전에 질소, 인산, 가리의 시비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태는 토양류형에 관계없이 식물체 중앙부인 제5절간 > 기부절간 > 상위부위인 제9절간 순으로 굵었으며 특히 제5절간은 3요소시용과 상관이 있었다. 2. 식물체 상위 4개 절위의 엽병각은 숙전에서보다 개간전에서 증대되었다. 3. LAI는 어는 생육시기에서나 숙전에서 높았다. 특히 3요소 시용 및 3요소+퇴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개간전에서는 인산의 효과가 현저하였다. 4. 개화후 20일의 LAI가 클수록 건물중 및 종실수량은 많아졌으며 NAR은 낮아졌다. 5. 숙전에서는 가리시용, 개간전에서는 인산시용에 의한 주당협수의 증가로 종실수량이 증가하였다. 6. 종실성분중 유지함량과 단백질함량과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7. 종실수량에 크게 영향하는 것은 개체당 협수로서 협수와 종실수량과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20.
        198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냉해 경감을 위하여 인산 및 붕소의 시용효과를 구명코저 인산을 10a당 10, 20kg, 붕소를 0, 3, 5, 10, 20, 30kg을 분벽기, 유수형성기 및 감수분열기에 시용하고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15-18℃ 로 냉수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시용후 3일경부터 염색이 황변하며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생육후기에는 염색이 암갈색으로 착색되고 엽선단의 양록이 말리며 고사되었다. 한편 조립의 선단부에도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분벽기와 유수형성기에 10a당 5, 10kg의 붕소 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감수분열기 처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광합성능력과 붕소시용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분벽기 시용구에서는 붕소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한편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어도 이에 비례하여 광합성능력은 별로 증대되지 않았다. 4. 근활력은 대체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처리구가 다소높았다. 특히 분벽기에 10a당 3, 5, 10kg의 붕소처리구에서 높았다. 5. 붕소처리에 의한 출수촉진효과는 붕소의 시용시기가 빠를수록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고 붕소수준간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구에서 3-7일의 촉진효과를 보였다. 6. 붕소처리는 등숙에 영향을 미쳐 인산수준 및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한 구에서 약간 높아졌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