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

        201.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소섬유보강폴리머(CFRP)는 경량이며, 성형성 및 작업성이 뛰어나 보수보강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연성재료인 철근과는 달리 CFRP는 취성재료이므로, 철근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설계접근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연성재료인 철근은 항복이후 요소사이의 응력재분배가 이뤄져 복합요소의 거동은 평균화된다. 따라서 복합요소의 응력 평균은 단위요소의 평균과 같고, 표준편차는 더 작아진다. 따라서 연성재료의 설계값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안전측, 실무적 접근에서 고정값을 사용한다. 반면 취성재료의 경우, 응력재분배를 기대하기 어려워 복합요소의 거동은 더 약한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복합요소의 응력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감소한다. 따라서 취성재료의 설계값은 요소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이 논문에서는 취성재료에서 정규분포를 가지는 단위요소가 요소 결합에 따라 와이블 분포를 가지게 됨을 증명하고, 이를 반영하여 하중이 작용하는 면적에 따른 물성치의 보정식을 제안하였다.
        20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behavior and ductility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as experimentally conducted under high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uctility index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20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rect tensile fracture behavior of steel fiber hybrid reinforced cement composite by strain rate. Experiment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SF suppressed the microcrack around the HSF at the strain rate 101/s, which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HSF.
        20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Local damage properties of amorphous metallic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by different fiber length. 30mm and 15mm length of amorphous metallic fiber was reinforced and fiber volume fraction was set to 1.0, 1.5 vol.%. Flexural test and high speed projectile impact test was performed. As as result, 30mm length of specimen showed more good flexural and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d to 15mm length of specimen.
        20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tructural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para-aramid fiber-reinforced RC beams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RCA) according to the main parameters which are RCA replacement ratio (0 and 30%) and para-aramid fiber volume fraction (0, 0.75 and 1.0%).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y reinforcing para-aramid fibers, compared with the natural coarse aggregate, the RCA, which exhibited low structural performance, improved load carrying capacity and ductility.
        20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tensile strength and aspect ratio of fiber on compressive and flexural toughness index of high- and normal-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SFRC). For this purpose, eight types of SFRC mixtures were made and tested.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toughness index of SFRC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tensile strength and aspect ratio of steel fiber.
        20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은 수축, 수화열 및 외부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외부 유해인자를 콘크리트 내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내구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최근 스스로 균열을 치유하는 자기치유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제어하여, 그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자기치유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VA 섬유를 혼입한 자기치유 모르타르를 제작하였다. PVA 섬유 혼입율에 따른 압축강도 및 휨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흡수율 실험을 통해 자기치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균열 폭의 감소로 흡수되는 수분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치유 생성물 분석을 통해 PVA 섬유 혼입에 의해 탄산칼슘 침전이 더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인 고인성․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의 경우 균질한 재료분포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굵은 골재를 배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굵은 골재를 배재한 섬유 복합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재료의 탄성계수가 낮으며 단위시멘트량이 높아 경제성과 효율이 낮은 배합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신규 구조물에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굵은 골재를 혼입하였지만 여전히 휨인성과 휨강도는 확보하고 있는 동시에, 균열 분산성능도 보유하고 있는 고인성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굵은 골재의 혼입량을 실험 변수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고, 결과에 따르면 고인성 모르타르의 기본 배합에 굵은골재를 잔골재의 25%중량비로 추가한 경우에서 가장 좋은 휨인성 그리고 균열분산 특성을 나타내었다. PVA섬유는 균열분산과 연성 증진에 효과적이었고, 강섬유 섬유의 경우 균열분산보다는 강도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20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낮은 인장강도 및 균열제어 능력 등의 약한 재료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년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로서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목표 압축강도 40 및 60 MPa 각각에 대해서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률을 전체 체적비로 1.0%로 설정하여 비정질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한 결과, 재령 365일 및 730일에서의 장기 길이변화율은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각각 30%, 25% 이상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융해 300 사이클 후의 내구성 지수는 90% 이상으로, 내동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고성능 섬유보강 복합체(HPFRCC)의 전자파 차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전도도, 전자파 차폐능, 역학적 강도를 조사하였다. 강섬유, 제강슬래그 미분말, 카본블랙이 전도성재료소 HPFRCC 배합에 첨가되었다. 또한, MWCNT를 수 분산 시켜 제조된 2% wt. CNT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HPFRCC의 전기전도도는 1% 카본블랙이 첨가된 시편을 제외하고는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다. 시멘트 매트릭스의 미세구조는 시간에 따라 변하였고, 그로 인해 HPFRCC의 전기전도성 네트워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0.083 S/cm의 전도도를 갖는 HC1 시편의 경우, 수분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72시간 60도에서 건조 양생한 후에 측정한 전기전도도가 0.0003 S/cm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전자파 차폐 성능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강섬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카본블랙과 제강슬래그 미분말의 효과는 미미하였다. 전기전도도와 전자파 차폐능의 상관관계는 이 연구에서는 뚜렸한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21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tensil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The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are investigated with various mixing ratio of glass fiber.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s 55∼620% and the flexural strength increases 55∼77%.
        21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ensile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CFRP) with and without epoxy resin were compared by direct tension test. Although the strength contribution of resin is generally neglected because it is relatively infinitesimal and hard to be evaluated on-site application, resin enables CFRP itself to have higher strength and stiffness by arranging the layout of carbon fiber bundle, by decreasing the stressed effective length and by stress redistribution between fibers.
        21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before and after core compression tes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ultrasonic pulse velocity before core test, the column member ultrasonic pulse velocity after core test,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specimen were analyzed by fabricating a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ollow column member.
        21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electromagnetic pulse shielding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by Fiber type. Hooked-ended steel fiber, Smooth steel fiber and Amorphous metallic fiber were reinforced 2.0 vol.% in cement composites respectively. The electromagnetic pulse shield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IL-STD-188-125-1.
        21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composites(HFCC) according to binder replacement ra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ingle-axial tensile strength of HFCC were evaluated according to binder replacement rete. As a result of the test, the compression strength decreased as binder replacement rates increased, and B-20 mix properties expressed the most ideal tensile strain-stress curve.
        21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laboratory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basalt, glass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Epoxy resin was used as the polymer for this composite material.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was based on the criteria specified in ASTM D3039 / 3039M. Moreover,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with 100 kN capacity was used in this experiment. Results of the performance of each composite material were analyzed. In case of fiber typ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llowed by basalt fiber and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with the elastic modulus of 37.03 MPa and 33.10 MPa, respectively.
        21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absorption protection agen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to evaluate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h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method presented in KS F 2711.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performance against chloride ion was improved by 56∼71% when the coating material was applied.
        21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joints in this construction are formed through the bonding shear evaluation method during the placement of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The evaluation items include push-off tests for homogeneous UHPC + UHPC. The experimental samples comprised a monolithic placement as the baseline, two levels for the separated placement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strength of concrete, and five levels for the interface treatment. The bonding shear performance for the homogeneous UHPC + UHPC construction linearly increased with the width and depth of the grooves used for the interface treatmen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grooves and their cross-sectional areas only slightly influenced the bonding shear performance. The optimal interface treatment method for the homogeneous UHPC + UHPC construction grooves was at least 30 mm.
        21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rect tensile fracture behavior of fiber hybrid reinforced cement composite by strain rate. Experiment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VA suppressed the microcrack around the steel fiber at the strain rate 101/s, which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steel fiber.
        22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 of confining pressure on the shear strength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s) was investigated using a new shear test setup. Different confining pressures were applied and maintained to the specimens prior to shear testing. The shear strength of UHPFRCs was obviously sensitive to the confining pressure: the higher confining pressure produced higher shear strength. The confined shear strength could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unconfined shear strength, confining pressure, and tensile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