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2

        20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 and poly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fruits of mulberry (Morus alba L.) we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the anthocyanin-copigment complex were investigated. The copigmentation substance selected in non-anthocyanin fraction from mulberry for the study included: phenolic acid (hydroxybenzoic acid) and flavonoid (quercetin-3-O-β-D-glucopyranoside). The copigmentation effect increased with the copigment content. UV irradiation had a stronger degradation effect on the copigmentation complex than heating at 80℃. The non-anthocyanin fraction of mulberry and isolated flavonoid (quercetin-3-O-β-D-glucopyranoside) from mulberry fruit predominated over other copigment substances.
        20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venia dulcis Thunb fruits were successively extracted with hot water, water, methanol,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The crude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potential antioxidant by measuring scavenging against DPPH free radicals, reducing power, superoxide radicals, and protection of protein damage and cultured cells from a lethal dose of hydrogen peroxide (H2O2). In all chemical assays used, the hot water extract of H. dulcis fruits, which contained 61.14±2.57 (Tannic acid mg/g extract, n=3) of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 exhibited highest activity in in vitro models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ssa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on of protein damage. In addition, the hot water extract protected cultured RAW 264.7 macrophages from a lethal dose of H2O2 and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 in RAW 264.7 cells.
        203.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29 fruits and vegetable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plum (1.06 mg GAE/g fresh weight) and cherry (0.95 mg GAE/g fresh weight) were high, whereas those of banana, carrot, and cucumber (each at 0.07 mg GAE/g fresh weight) were low. I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apple mango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92.8%) among the 29 ethanol extracts tested, followed by paprika (75.4%), beet (75.3%), and cherry (75.1%). In the inhibition assay, cherry (34.95% inhibition) and grape (31.03%)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among the 29 fruits and vegetables examined.
        204.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자가 제조하여 포도의 저장 중 병해발생 방지에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sulfite 화합물의 아황산가스 발생 정도와 지속 기간을 측정하고 아황산가스 발생 조절 및 간이 검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도의 저장 중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 cinerea의 포자 발아와 균사생장은 각각 400 ppm과 3200 ppm의 아황산가스 농도 조건에서 억제되었다. 5종류의 sulfite 및 bisulfite 화합물 중 sodium
        205.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산화염소수 발생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성원료인 농도(0.01-0.1%)와 gas 투입량(100-1,000 g/hr)에 따른 chlorite, chlorate, FAC 및 chlorine dioxide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Chlorate, FAC 및 chloride dioxide 생성량은 및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염소수 최적 생성조건은 0.1% , 900 g/hr gas 농도였으며 발
        206.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ve samples (Bakwoonbae, Chungsilbae, Sandolbae, Dolbae, and Chuwhangbae) of Pyrus species differing in their origin of production were analyz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vitamin 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wo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metho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hungsilbae extract (20.35 mg/g)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pears. Vitamin C content in five Pyrus species ranged from 420.32 μg/g in Sandolbae to 659.75 μg/g in Bakwoonbae. Chungsilbae also ha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6.56%) and reducing power (0.35).
        208.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를 혼합한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혼합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설계된 실험조건에 따라 제조된 혼합음료의 당도는 9.77-11.5 , pH 는 3.0정도 이었다. 음료의 색도는 뜰보리수의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산의 함량은 현미식초의 혼합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페놀성 물
        209.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뜰보리수의 부가가치 향상과 새로운 식품자원의 개발을 위한 뜰보리수 추출물과 현미식초의 혼합음료를 개발하고자 혼합조건에 따른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제조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차였다. 음료의 색, 풍미, 맛 그리고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을 경우 유의성이 있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풍미는 현미식초의 함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맛은 색도와 같이 뜰보리수의 함량이 낮은 혼합구에서 가장 높았다. 음료의 기호도는 뜰보리수 추출물의 함량이 낮
        21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자생 감귤 17종에 대하여 탈색소효과(depigment effect)를 연구하였다. B16 멜라닌 생성세포(B16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tyrosinase 및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연구한 결과 대조군 대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3종의 미성숙 온주밀감(immature Citrus unshue), 팔삭(Citrus hassaku), 진지향(Citrus sinensis × reticulata)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와같이 도출된 감귤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세포 생성(melanogenesis)에 영향을 미치는 tyrosinase, DOPAchrome tautomerase (TRP-2)와 DHICA oxidase (TRP-1) 단백질 발현을 실험한 결과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들 중 미성숙 온주밀감은 tyrosinase와 TRP-1 단백질 발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미성숙 온주밀감은 모든 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UV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서 기대할 수 있다.
        211.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들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6종의 엽채류 및 4종의 과채류를 대상으로,재배유형(재래농법 및 유기농법)및 유통 경로 (대형마트 및 유기농전문점)에 따른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을 선택 감별배지, 자동 세균 동정 시스템, 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수세하지 않은 농산물에 부착한 세균 집락 수는 농산물 균질액 1 mL(농산물 0.1 g) 당 범
        212.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 발굴의 일환으로 뜰보리수 열매를 이용하여 성숙과정 중의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롯한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뜰보리수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능의 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213.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lignans, eleutherosides B and E, in Acanthopanax sessiliflorus fruits and their fermented wine. The lignans were quantified by a reversed-phase system using a gradient of H2O and acetonitrile as a mobile phase within 20 min. The analys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in 20 min.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s Band E as main active principles of Acanthopanax species were measured in A. sessiliflorus fruits (1.15 and 8.49 μg/mg, respectively), their fermented wine (0.45 and 1.33 μg/mg, respectively) and wine residues (no detection).
        214.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과채류 152건을 대상으로 아황산염류의 자연함유량과 인위적인 사용실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모니어-윌리암스 변법을 사용하여 이산화황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가공하지 않은 14품목 42건에 대한 이산화황 분석결과 평균검출범위는 이었으며, 각 품목별 평균으로는 무가 8.97 mg/kg으로 가장 높았고 양파가 8.04 mg/kg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공한 23품목 110 건에 대한 이산화황 평균분석결과 검출범위는 이었으며,
        215.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뜰보리수의 영양성분의 함량과 성숙 증에 이들 변화를 조사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들보리수의 수분함량은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당도 (brix)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탄수화물(무질소화합물)은 성숙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수용성 단백질과 달리 성숙중에 증가 하였다. 유리당 함량은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의 함량은 성숙 중에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16.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 후에 실시되는 고 이산화탄소(60및 )의 전처리(3, 6, 12시간)가 '일천백봉' 복숭아의 상온 유통 중 신선도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6시간 이상 전처리할 경우 상온 유통 중 호흡, 에틸렌 발생, 과피 변색 및 연화 현상이 둔화되었으며 유통기한 중 조직감이 향상되었다. 상온에서의 부패 현상도 및 를 6시간 이상 처리함으로써 크게 억제시킬 수 있었다. 복숭아과실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상온 유통중 변화하
        217.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쓰가루 사과 과실과 백향 복숭아 과실에서 1-MCP 처리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쓰가루 사과는 수확 직후 1회의 1 또는 5 ppm의 1-MCP처리에 의하여 2주간의 저장 기간 중 품질의 지표인 과육의 경도와 적정 산도의 저하가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1-MCP의 처리는 지속적으로 과실의 호흡을 억제하였으며 에틸렌 생성의 개시 시점을 늦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백향 복숭아에서는 수확 후 반복적인 1-MCP의 처리에 의해서만 약간
        218.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 껍질 추출물을 Sephadex LH-20 및 MCI-gel CHP 20 column을 이용하여 2개의 주요 탄닌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NMR, IR, FAB-mass 등을 이용한 구조 동정 결과(+)-catechin, (+)-gallocatechin으로 확인되었다. 소석회와 보조응집제로 정제 탄닌을 처리할 때 얻어진 탁도, T-N, T-P 및 CODcr 제거율은 gallocatechin이 catechin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19.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식물쓰레기 퇴비사용에 따른 감 과실의 특성 변화는 경도, 당도 등이 증가하였으며, 상주 둥시의 경우 색이 더욱 밝아지고 과육이 황색빛을 많이 띄게 되고, 갑주백목의 경우 색이 다소 어두워지는 반면 붉은색을 많이 띄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Total phenol 함량과 가용성 탄닌은 음식물쓰레기 및 음식물 퇴비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떫은맛이 다소 줄어들리라 판단되었고, 비타민 C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여 상큼한 맛을 더 많이
        220.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뽕나무 열매(오디)를 이용하여 천연항산화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디로부터 페놀성 물질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페놀성 물질의 추출은 60 ethanol을 사용하여추출하는 것이 수율이 가장 좋았으며, rutin과 isoquercetrin의함량이 높았다. 추출된 오디 추출물의 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 본 결과 ABTS는 80 추출물이 약 98의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