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

        20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Firs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69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Ulsan, Gyeongju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market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radical innovation. Thir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radical innov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Fif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cal innov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the market orient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radical innovation. The market orientation and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4,200원
        20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산업은 문화콘텐츠산업의 핵심으로 불릴 정도로 수익성이 좋고 산업구조상 파급효과가 커 서 산업정책의 주된 진흥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게임산업은 경제성장에 이바지할 뿐만 아 니라, 문화증흥에 기여하여 문화국가 이념을 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며, 이용자의 행복추구권과 제작자의 표현의 자유를 증진시킨다. 그 결과 대 한민국은 2006년 세계 최초로 게임에 관한 독립 된 법률을 제정하여 게임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한국 게임산업의 미래를 장미빛으로 평 가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는 역 설적으로 게임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해 제정된 게 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과 그에 기초한 규제 때문 이라고 보인다. 현재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가 혁 신을 저해하고 있다며 평가되는 지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규제가 비대칭적이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규제가 비현실적으로 단행되고 있다 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등급 분류 기능을 민간 자율로 이양하고 게임물관리위 원회는 사후관리와 연구업무에 집중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는 데에 중론이 모아지고 있으며, 조만간 같은 방향으로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도 개정 될 것으로 보인다.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 논의를 살핀다. 다음으로 오늘날 급변하는 게임산업의 현실에 비추어 현 행 규제방식이 적정했는지를 알아본다. 만일 현행 규제방식이 적정하지 않다면 논의 중인 개선방안 이 타당한지 검토한다. 이를 통해 규제를 혁신의 단초로 만들 수 있는 묘안을 모색한다.
        5,700원
        20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계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 정책 추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창조경제 문헌 검토를 통해 문화⋅콘텐츠, SW 산업 등 외국에서 정의되었던 창조경제의 범위를 협의의 창 조산업군으로 정의하고, 우리 정부에서 제시한 고기술⋅첨단제조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을 추가적으로 포괄하여 광의의 창조산업군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각 산업군 별로 창조경제 의 핵심 동인 중 하나인 ICT기반 혁신에 따른 투입-산출의 연도별 증감액을 추정하고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창조산업 내 ICT 기반 혁신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경기 하락세에서도 광의의 창조산업에서의 ICT기반 혁 신이 전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협의의 창조산업군에서는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증가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첫째로 기 존의 창조경제 성과지표가 투입 역량 중심으로 되어 있어 가시적 효과를 산정하기 어려운 상 황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산출 중심의 성과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 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창조산업 파급효과가 단순히 해당 산업군의 규모 추정에 그쳐 추상 적이고 모호하였다면, 본 분석에서는 창조산업의 전체 규모 중에서 ICT기반 혁신활동이 설 명하는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산출하여 효과 산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7,800원
        20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구매자-공급자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기술혁신 성과창출에서 공급 자 조직 학습역량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에 종사하 고 있는 중소기업 221개사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검증 결과, 공급자 의 기술혁신 성과에 대한 구매자의 직접지원(기술인력 지원, 기계도구 및 검사장비 지원, 설비사용 교육)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구매자의 간접지원(지식, 노하우, 가치, 정보 공유)은 긍정적이며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을 위한 추가 검증 결과, 공급자의 학습역량과 구매자의 간접지원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한 반면 에 구매자의 직접지원과 공급자의 학습역량 간에는 완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구매자의 간접지원이 공급자의 기술혁신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8,000원
        20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표준화를 통한 제품의 호환성 확보는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경쟁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부응하여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과 기업 내 표준화 교육 활동 및 그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업종 중소기업 약 900여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표준화 교육활동은 기업의 생산 및 품질개선 정도와 R&D 활동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 투자비율은 표준화 교육활동이 생산 및 품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표준화 교육 활동, 교육성과, 혁신활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소기업 및 관계기관의 의사결정자가 혁신 및 표준화 활동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5,400원
        20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해외 및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표준(standards)과 기술혁신 (technological innovation)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동향과 주요 연구과제를 파악하고 전망한다. 먼저 표준과 기술혁신의 상호작용에 관한 쟁점을 다루고 혁신단계별 및 혁신유형별로 표준 의 역할과 관련된 쟁점들을 파악한 다음, 거시적 및 제도적 차원에서 표준과 기술혁신의 관 계를 다룬다. 이를 토대로 기술혁신연구 금번 특집호에 실린 표준 관련 논문들을 구분하고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표준과 기술혁신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를 전망한다. 아직도 국내에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연구동기 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5,400원
        207.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ongdaemun Fashion Town, a representative clothing wholesale and retail market in South Korea, is a traditional market that was form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then, the market system has strengthened and, as of now, Dongdaemun Fashion Town can produce various products in batch production and is characterized by a quick market response (Jung, Choo, & Chung, 2007). Furthermore, all fashion-related functions are available, making Dongdaemun Fashion Town an industrial cluster where all related businesses and services are locally concentrated (Ko, Choo, Lee, Song, & Whang, 2013). These characteristics of Dongdaemun Fashion Town relieve market trade cost and build a unique production system. It is positioned as a central clothing wholesale and retail district with the function of a national wholesale market. This Dongdaemun Fashion Town system creates services that customers demand through cooperation, partnership, or outsourcing between various suppliers and various resources (Nam, Kim, Yim, Lee, & Jo, 2009). Thus, Dongdaemun Fashion Town is a system space composed of subordinate markets with unique taste functions; here, a systematic network between the suppliers is significant. It produces value co-cre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However, few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co-value created through co-production or co-innovation from Dongdaemun Fashion Town. Also, the shift from product-centered thinking to the customer-centered thinking implies the need for an accompanying shift to the customer-based strategy. It also refers the necessity of strategy to improve customer equity (Rust, Lemon, & Zeithaml, 2004).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on co-creation research to make cyclical growth of traditional market and customer equity.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ngdaemun Fashion Town’s co-production, co-innovation, and value co-creation are investigated and each of the subordinate aspects is investigated. Second, the influence of co-production, co-innovation, and value co-creation on customer equity driver is analyzed.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types of suppliers’ (wholesale/retail) influence relationship are analyzed. In total, 300 samples by wholesalers and retailer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ed SPSS 21.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AMOS 18.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insight into the influence of Dongdaemun Fashion Town’s co-production, co-innovation, and value co-creation on customer equity by wholesalers and retailers. The study concludes with outlining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208.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the years, luxury has built-up a reputation as recession proof industry. Even though the industry growth has slowed down in the mid 2000s, luxury firms have managed to cope with economic contingencies and shortening traditional demand by widening their clientele base to prestige mass consumption ― the “masstige clientele”. Doing so, luxury firms have been pursuing a dual strategy by wooing aspirational consumers as well as their traditional elite customers, thus managing the challenge of handling both a differentiation strategy based on scarcity and uniqueness, and increased volumes of sales. This has been a trend in mature market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ut was significantly fostered by expanding into emerging markets. Sector specialists thus expect China to remain a major structural growth area in the medium term, where the number of both high-end clients as well as new aspirational consumers will substantially increase and influence firms strategy.
        4,000원
        209.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world of luxury is harboring an endangered species: that of the independent companies! In an increasingly-challenging and globalized luxury environment, companies are fighting to escape from the ever-growing clout of luxury “conglomerates” - Swatch Group, LVMH, Kering, and Richemont. As of 2015, these “big four” own more than 100 brands and are maintaining a constant pace of acquisitions , relying on vertical integration to secure supplies (and deprive competitors of them) which has particularly insidious consequences for independents. Most independents are struggling to survive and end up being acquired or going out of business. Interestingly, this same movement towards consolidation is rendering brands more and more uniform, thus creating opportunities for players able to craft unique offerings for niche luxury clientele. Innovation is the path to follow in this challenging journey. Based on a multiple case study analysis of innovative independent luxury companies, we have identified four innovation strategies (Hoffmann & Lecamp, 2015). “Back to the roots” include independent companies innovating in the essence of luxury: extreme quality and extraordinary craftsmanship to create the ultimate sensorial and emotional experience. For companies like Vignes, Thomas Mercer, Mirazur by Mauro Collagreco, Norlha and Brunello Cucinelli, luxury is rooted in a terroir and a sense of purpose permeates this endeavor. “Code breakers” are playing with product and societal codes to culturally innovate and build the icons of today and tomorrow. Examples include Martin Margiela and Miuccia Prada in fashion, Fernando & Humberto Campana in furniture design, and HYT in watchmaking. “Eagle in the aquarium” companies are disrupting the way luxury companies create, deliver and capture value. Globalization and digitization are powerful enablers to reconfigure resources at the levels of funding (e.g. crowdfunding), design (e.g. 3D design), manufacturing (e.g. 3D printing), distribution (e.g. online platforms), marketing and communication (e.g. online social networks). “Game changers” are building breakthrough innovations at the product and business model levels. Comme des Garçons, Etudes Studio, Iris Van Herpen, MB&F, and W Motors are independents taking bold initiatives in a fascinating and inspiring journey. Managerial implications and venues for future research will be highlighted during the conference.
        21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 간 R&D협력과 제품혁신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한다. 더 나아가 R&D협력의 유형을 공급사슬상의 협력(수직적 협력)과 경쟁사와의 협력(수평적 협력)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흡수능력과 R&D협력의 상호관계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했다. 연구결과,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이 제품혁신이 정(+)의 관계가 있다는 기본 가설을 지지되었으나, 수평적 협력이 수직적 협력보다 제품혁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기업의 흡수능력을 잠재적 흡수능력과 실제적 흡수능력으로 구분하여 R&D협력과의 상호작용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의 상호작용효과는 제품혁신에 정(+)의 관계를 가졌지만,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흡수능력을 세부적으로 분류함에 따라 흡수능력을 논의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4,800원
        21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이 직면한 혁신의 장애요인을 자금부족과 정보부족으로 조명하 고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혁신의 장애요인인 자금부족은 수 직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보부족은 수직적 협 력과 수평적 협력에 정(+)의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기존 연구들은 R&D협력의 선행요인으로서 기업 내부의 활동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혁신 의 장애요인으로 확장하였다. 또한, 경쟁의 구도가 기업과 경쟁사 사이의 기업 간 경쟁에서 서로 다른 협력 집단들 간의 경쟁구도로 변화함에 따라 R&D협력 유형을 범위를 수평적 협 력까지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5,500원
        21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Financial Effect Measurement (FEM) models which measures both the improvemen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Quality Control Circle (QCC) and activities of Six Sigma. Concepts and principle of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CIS), Balanced Scorecard (BSC), Time-Driven Activity Based-Costing (TDABC) and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PM) are applied in order to develop the 4 FEM models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of all, FEM using CIS depicts the improvement effects of production capacity and yield using relationships between demand and supply, and line balancing efficiency between bottleneck process and non-bottleneck processes . Secondly, cause-and-effect rel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is used to present Critical Success Factor (CSF) effects for QC Story 15 steps of QCC and DMAIC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and Control) of Six Sigma. The next is FEM model for service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that uses TDABC to calculate the time-driven effect for improving the indirec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st object. Lastly, FEM model for TPM activities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improvement effect model of TPM Capital Expenditure (CAPEX) and Operating Expenditure (OPEX) maintenance using profit, cash and Economic Added Value (EVA) as metrics of enterprise values. To better understand and further investigate FEMs, recent cases on National Quality Circle Contest are used to evaluate new financial effect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paper.
        4,300원
        21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as developed. To develop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two analytic technic was used. First one i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give weight to each main index. Second one is fuzzy set theory to represent ambiguous index to numerical value. Finally,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model was achieved in combination with the same weight to AHP analysis and fuzzy set theory. With these result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an know important poi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innovation capability evaluation.
        4,000원
        21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의 급속한 발전, 글로벌화된 시장 및 사회환경은 기업들에게 전통적 관료제에서 강조해 온 효율성 뿐만 아니라 혁신과 품질에 대한 경쟁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료제를 넘어서 참여, 평등, 협동의 원리가 강조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기업모델이 등장하면서 인사관리 또한 통제중심에서 몰 입지향 인사관리(commitment oriented HRM)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체주의적 기 업의 구조적 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장패널조사(WPS2011) 자료를 토대로 하여 우 리나라의 인사관리 및 노사관계에서 사업장내 인사이슈에 대한 근로자참여(즉,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조 직의사소통 (참여)의 관계와 이들 활동이 혁신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검정결과, 첫째 몰입 지향 인사관리특성을 갖춘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소통이 모두 활발히 이루어지는 사업장일수록 혁신활동 및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지향 인사관리와 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는 상향, 하향 및 수평(노사) 조직의사 소통 모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의 주요 목적이자 가치인 사회적 효용(social utility)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향 및 하향의 조직의사소통 방향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근로자간 (수평) 의사소통의 질이 모두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회, 기업 및 사업장 차원(단위)에서 몰입지향 인사관리(또는 참여적 노사관계)가 토착화되기 위하여 향후연 구에서는 인사 및 노사이슈에 대한 인사부서와 근로자대표기구 및 근로자의 (모범적인) 역할관계의 정립 과 그에 관한 다양한 실증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5,500원
        21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EO의 혁신성, 학습적 문화, 정보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 한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김해시에서 활동하 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12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CEO의 혁신성과 학습 문화는 각각 기업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기업의 혁신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혁신은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며 대기업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원 이 부족하지만 CEO의 경영 스타일과 학습적 문화와 같이 거대한 자본을 들이지 않는 혁신활동으로도 기업의 혁 신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소기업에게 있어 혁신이 기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에 중소기업의 CEO는 실무적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달리 혁신성과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6,100원
        21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2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를 이용하 여, R&D협력과 내부R&D투자와의 양방향성 관계를 규명하고, 내부R&D투자와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의 내부R&D투자와 R&D협력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두 개의 방정식을 설정하고 SUR 모형으로 동시에 추정하였고 내부R&D투 자와 R&D협력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국내 R&D 활동에 관한 기존 문헌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R&D협력, 내부R&D투자 및 기술혁신과 정의 구조적 체계를 감안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R&D협력과 내 부R&D투자의 관계는 서로 양방향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내부R&D투자는 기술혁신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내부R&D투자와 R&D협력간의 양방향성과 보완성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높이는 것이 R&D시스템의 효율성 제 고에 도움이 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6,400원
        2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chiev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irm is required innovative activities and competences. Howeve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is hard to achieve a superior performance because they possess low competences. So, this paper identify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by firm size in motor and electronics industry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innovation activities and compete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using firm-level data provided by Korea Innovation Survey (KIS). The empirical evidence presented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industry and firm size.
        4,500원
        21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big issue in business management recently. However, employ's job satisfaction is appeared as low. In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those long-term employs.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is prioritized by AHP analysis based on results of survey to compare to the results of previously studied research. A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by comparing the facts in two different groups of occupation.
        4,300원
        21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domestic market, global competition is intensifying in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capacity building of SM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diagnostic indicator placed on the purpose. In this model, the results of applying several companies overall global innovation pilot enterprises and non-rated global innovative companies award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and the ability to believe the show. Non-global innovation companies, the relative firm size factor and R&D investment and patent number of factors are lacking appeared shone This is a common small business nature of the majority of companies small and R&D investment, the absolute amount is insufficient to reflect that, but the global innovator in the case of firm size and the relatively large amount of investment that never shows.
        4,000원
        220.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수준에서의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의 거대한 도전은 이제까지의 이윤추구 위주의 기업 활동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업은 경제적 주체임 과 동시에 사회적, 환경적 책무를 가진 사회적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 활동이 새로운 현상으로 발흥함에 따라 기업의 정체성, 활동 동기와 비즈니스 모델 진화에 대한 기술혁신 관점에서의 확장된 논의가 요청된 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에 있어 기업의 역할에 주목하고, ‘전환지향적 기업’ 개념을 제출함으로써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서만 고려되어온 기업의 개념을 사 회적 문맥 하에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업이 전환활동에 참여하는 동기,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및 전환을 위한 조직 및 전략 등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의 새로운 범주의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론 및 사례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비즈니스 모델 혁 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혁신, 조직적 혁신, 사회적 혁신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 고 각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기술 (인지)적, 조직적, 시스템적 차원에서 장애요인에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 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기업전략과 시스템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