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6

        261.
        200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해콘텐서용 알루미늄박의 직류에칭에서 1M 염산욕에 부식억제제로 1M 황산을 첨가했을 때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치 피트의 밀도, 에치 터널의 길이와 직경,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황산이온은 부식억제제로서 염소이온보다 시료의 표면에서 에치 피트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에치 터널의 직경은 감소하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표면적이 커지고 또한 정전 용량 값이 증가하였다. 황산이온을 첨가하였을 경우 전류 밀도가 0.9A/cm2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정전 용량 값이 작지만 그 이상에서는 정전용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000원
        262.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hydrostatic extrusion process of copper-clad aluminum rod through metallurgical joining. In this study, the rigid plastic finite element program, HICKORY, is used to analyze the steady state extrusion process of the bimetal rod. Simulations are performed for copper-clad aluminum rod with several extrusion ratio to give the distributions of effective strain rate, equivalent stress and hardness. Experiments are also carried out for aluminum-inserted copper rod at room temperature. It is found out that finite element predictions are generally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The detail comparison of the extrusion loads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those by experiments are given.
        4,000원
        26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젖산균의 생육은 10㎍/ml의 알루미늄이 첨가된 broth system에서 정상적으로, Streptococcus속보다는 Lactobacillus속이 더 높은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냈다. 알루미늄 50㎍/ml이 첨가된 배지에서 24시간 배양시킨 젖산균에 축적된 알루미늄 양은 3.52∼4.93㎍/g wet cell로 3.08㎎의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7 보다 높았으며 젖산균 중 Lactobacillus bulgalicus ATCC 11842의 축적량이 가장 높았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균체내의 알루미늄 분포상태는 세포벽에 49.1%, 원형질막에 27.3%, 세포질 23.6%로 나타났다.
        4,000원
        265.
        199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imide를 입힌 SiO2 wafer상에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의 두께 및 소둔 여부에 따른 hillock의 거동을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증착된 상태의 박막에서 성장 hillock이 관찰되었으며 박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hillock의 크기는 증가한 반면 밀도는 감소하였다. 소둔 후 hillock의 평균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밀도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hillock 밀도의 감소는 견고한 wafer상에 직접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에서와 다르다. 이는 유연한 polymide 박막에 의한 응력 완화로 응력유기 입계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hillock 이 추가로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큰 hillock이 성장하면서 작은 hillock을 흡수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000원
        268.
        1998.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O2 기판과 dimethylethylamine alane(DMEAA)을 반응소스로 하여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전 전처리 가스 종류와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증착속도의 차이와 미세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iN기판에 증착된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증착전 수소 가스에 의한 전처리한 경우 아르곤이나 헬륨에 의한 전처리에 비해 빠른 증착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르곤 플라즈마 전처리나 플라즈마 전처리 하지 않고 SiO2기판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였을 경우에 비해 수소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해 알루미튬증착시 잠복기(incubation time)가 감소하였으며 치밀한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3,000원
        269.
        1998.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올린을 용해시킨 황산용액을 에탄올에 주입함으로써 알루미늄황산염의 침전물, AI2(SO4)3·18H2O을 제조하고, 그것의 열분해거동을 검토하였다. 합성된 고순도의 침전물은 약 2μm크기의 판상형태의 입자들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에탄올속으로 카올린을 용해시킨 황산용액의 주입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생성된 침전물의 결정사 크기는 감소하였다. 침전물의 탄수 및 탄황산에 대한 겉보기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11.9Kcal mol-1 과 48.2kcal mol-1 이었다.
        4,000원
        270.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w foaming acidic degreasing agent(LFADAs) were prepared by blending sorbitol, n-octanoic acid, MJU-100A, Tetronix T-701, Na-dioctyl sulfosuccinate, Demol C, and phosphoric acid. The physical properties of LFADAs tested with aluminum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 when 3wt% LFADA-6 was performed at 70℃, the degreasing rate was 95% which is comparitively good, and the percentage of etching was 0.275% which was found to be less than that of commercialized product. When 20wt% of LFADA-6 was added at 65℃, the percentage of derusting was 92% and the good defoaming effect proved by following low foaming power tests respectively : Ross and Miles, and Ross and Clark methods.
        4,000원
        27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ining of AIN ceramics to W and Cu by active-metal brazing method was tried with use of (Ag-Cu)-Ti alloy as insert-metal. Joints were produc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temperature, holding time and Ti-content in (Ag-Cu) alloy Reaction and microstructural development in bonded interface were investigated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by SEM/EDS, EPMA and XRD. Joint strengths were measured by shear test. Bonded interface consists of two layers: an insert-metal layer of eutectic Ag- and Cu-rich phases and a reaction layer of TiN. Thickness of reaction layer increases with bonding temperature, holding time and Ti-content of insert-metal.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wth of reaction layer is a diffusion-controlled process. Activation energy for this process was 260 KJ/mol which is lower than that for N diffusion in TiN. Maximum shear strength of 108 MPa and 72 MPa were obtained for AIN/W and AIN/Cu joints,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variables, joint strength and thickness of reaction layer was also explained.
        4,000원
        272.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test were undertaken in order to estabilish the effect of different milling variables on dimension and quality of aluminium flake powder. Milling conditions such as initial powder size, milling container rotation speed, milling time, and ball size were varied to produce aluminium flake powder. Flake powder could then be obtained with size range from 15 m to 40 m with a maximum specific surface area of 5 /g by controlling milling conditions. Diameter of milled powders with different milling container rotation speed and ball size were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theoretical model. The best flake powder was obtained in milling condition of initial powder with average size of 19 m, mill container rotation speed of 80 rpm, balls of 9.5 mm diameter, and milling time of 40 hours.
        4,000원
        274.
        199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type(100) 실리콘 기판과 TiN(50nm)/Si 기판에 dimethylethylamine alane(DMEAA)을 반응소스로 하여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온도와 유량, 반송가스 종류에 따른 방향성, 증착속도, 미세구조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기판온도, 반송가스 종류 및 유량에 따라 100-650mn/min으로 다양하게 조절되었다. DMEAA의 증착 활성화에너지는 TiN 기판에서는 약 0.leV이었고 Si와 SiO2 기판에서는 각각 약 0.23eV, 0.24eV이었다. 알루미늄 박막의 방향성은 증착속도의 감소에 따라 (200)에서 (111)방향으로 변하였다. 증착된 알루미늄 박막의 불순물 함량은 산소의 경우 0.2at%, 탄소의 경우 1.8at.%이었다. DMEAA 소스에 의한 알루미늄의 증착속도는 반송가스가 Ar 일 때 보다 H2 가스를 사용하면 증착속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반송가스에 의해 SiO2표면의 흡착 H 농도가 증가하고 흡착 H가 소스 가스와 반응하여 핵생성 site 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알루미늄 박막의 비저항은 표면 미세조직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값은 약 3-7μΩcm이었다.
        4,000원
        275.
        199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된 A6061기 입자분산강화 복합재의 열간압술가공에 있어서 압출특성에 미치는 강화입자의 종류, 빌렛특성 및 암술조건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6061기 복합재료의 열간 압술 전단 변형저항에 미치는 강화입자종류의 영향은 Si Cw > A12 O3f > A12 O3f > Si Cp의 순으로 되었으며, 모든 강화입자에서 부피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Kw값도 증가하였다. 압출조건, 강화입자의 첨가량 및 첨가입자의 평균입도에 관계없이 A12 O3p가 첨가된 복합재의 열간압출가공에 필요한 소요압력은 Si Cp의 경우보다 컸다. 압출압력은 압출 다이스 반각이 커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은 나타났다. 이것은 다이스 반각에 의해 생성되는 빌렛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전단마찰응력(m k3)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압출시 압출온도 상승은 저온에서 ~50˚C 정도 증가하였으며, 압출온도가 500˚C 이상이 되면 압출재 표면에 극심한 tearing이 발생하였다. 강화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이 현상은 더 심하게 되었다.게 되었다.
        4,000원
        277.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kinds of coagulants such as aluminum sulfate, PAC, PASS are being used to treat drinking water resulting in residual aluminum ions in the water.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high intake of aluminum ion may cause neurological dieseases such as Alzheimer's diesease and presenile dementia. Because of the possible adverse effect, WHO and EEC recommand to regulate residual aluminum. The autorities in Korea also has plan of regulating residual alunimum from 1995. Bu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range of residual aluminum ion concentration when the aluminum sulfate, PAC or PASS has been used as a coagulant. Therefore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range of residual aluminum ion concentration after using aluminum sulfate, PAC, and PASS. Furthermore the effect of turbidity and alkalinity have been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1. Most of the residual aluminum ion concentrations were within $10^{-6}$ and $10^{-5}mole/l$. Three coagulants have not showed any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residual aluminum concentration up to 50 NTU. However PAC has showed the least residual aluminum in high turbidity water over 100 NTU. 2. The low alkalinity water having 25mg/l as $CaCO_3$ has showed less residual aluminum than the water having 50mg/l alkalinity.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cant. 3. Even the lowest residual aluminum concentration was over 0.05mg/l. Therefore the process to reduce residual aluminum would be necessary in water treatment plants.
        4,200원
        279.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uminum was deposited on aluminum oxide powders using a fluidized bed reactor at atmospheric pressure. The aluminum oxide powders were irregular flakes with acute angl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26 . The fluidized bed was formed by flowing argon gas at the velocity of 60 cm/sec. The optimal fluidization condition was obtained with the reactor designed to be tapered so that the fluid velocity decreases as the fluidizing gas goes up along the reactor. Aluminum was deposited by flowing TiBA(Triisobutylaluminum) evaporated at through the fluidized bed reactor heated to 350~.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by XRD and EDAX confirmed the coating of aluminum and an SEM micrograph showed the conformality.
        4,000원
        280.
        199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본식물에 대한 Al독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이농도별(1.0, 2.5 및 5.0mM)수용액과 대조구로 지하수를 모래를 채운 화분에 삽목한 개나리와 플라타너스의 삽수에 1993년 4월 28일부터 6월 16일까지 주 3회씩 처리하였다. 6월 16일 삽목묘를 굴취하여 생장관련형질(신초의 생장, 엽수 및 엽록소함량)과 뿌리의 길이를 처리간 비교하였다. 모든 생장관련형질들(신초의 생장, 엽수 및 엽록소함량)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뿌리생장의 경우 개나리삽목묘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플라타너스삽목묘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