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2

        26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류의 기생성 천적인 쌍꼬리진디벌(Binozys communis)의 진딧물 밀도억제을 조사하기 위해 천적:진딧물을 1:15, 1:10, 1:5의 비율로 접종한 결과, 1:10으로 접종 시 5일차에 첫 머미가 발생하고, 진딧물의 총 개체수도 감소하기 시작하여 8일차부터 진딧물보다 머미의 수가 많아졌다. 쌍꼬리진디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알에서 머미까지의 발육기간은 짧아지며 20℃에서는 15.7, 25℃에서는 11.1일, 30℃에서는 10.0일이었고, 암컷 성충의 생육기간은 20℃에서는 3.1일, 25℃에서는 2.5일, 30℃에서는 1.5일이었다.
        26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분 간격 자동 잎면적 분석을 통해 온도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섭식과 발육을 조사하였다. 20, 25, 30℃의 세 온도에서 피망 잎을 배지에 부착하여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제공하였고 하루에 한번내지 두번 새로운 잎을 갈아주었다. 30℃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탈피 직후 섭식을 즉시 시작하여 1회 섭식은 10~15분 지속하고, 60~90분 간격으로 섭식을 하였다. 이러한 섭식 행동은 약 30~50시간 지속되며 탈피 직전 10~16시간 동안은 섭식이 중단되었다. 탈피 후 앞서의 섭식 패턴은 다음 영기에서 동일하게 반복되었다. 25℃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영기 내 섭식 기간은 약 32~53시간 지속되며 탈피 전 비섭식 기간은 16~22시간 지속되었다. 20℃에서는 영기 내섭식 기간은 60~133시간으로 크게 증가하고 비섭식 기간도 11~38시간으로 다른 온도에 비해 길어졌으며 다른 온도와 달리 7령충까지 발육하였다. 2령충에서 고치 형성 전까지의 발육 시간은 20℃에서는 39046분(27.1일)이 소요되었고 25℃에서는 17626분(12.2일), 30℃에서는 14168분(9.8일)으로 조사되었다. 각 온도별 유충의 섭식량은 영기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였다.
        263.
        201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후기 서화고동의 수장과 감상은 명대말기 문인 문화의 수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는 서적의 수입을 통해 수용되었고, 당대의 문집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의 서화고동의 수집과 감상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서 수장가들은 고동, 서화라는 명칭이 들어가는 건물을 가질 정도로 많은 서화고동을 수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명청대의 고동기 방제의 경향을 따르고 있어 상주 대 고동기를 비롯해 명대 선덕로의 방제가 주요한 수집과 감상의 대상이었다. 조선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은 주로 鼎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현재 남아있는 것들은 대부분 18~19세기 조선에 유입된 것들이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열기로 인한 감식서도 등장하는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이운지」권5 <예원감상>의 고동은 당시 고동기 수집과 감상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동천천록』, 『준생팔전』 등 명청대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대표 서적을 인용하여 작성한 것이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고동록」에도 당시에 유행하였던 고동기의 종류와 등급 등을 언급하였는데, 박지원은 인용 근거를 명시하시 않았지만 『준생팔전􋺸의 내용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유구와 박지원이 인용한 『준생팔전』의 내용 중 고동기 등급과 평가에 대한 것은 북송대 편찬된 『선화박고도』를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지배층의 고동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문왕정과 선덕로로 대변되며, 문왕정은 유교적 대의명분이 강하였고, 선덕로는 명대이후 향로의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기 때문에 조선 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따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9,500원
        26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milk, which is a representative western food, has a more than 100-year history in Korea, the preference is controversial. This study examined the milk history of Choseon in 1884~1938. This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regarding the westerner’s records and advertisements. Westerners who visited Choseon in 1884~1895 (1st period) recorded the eating habits of Choseon,i.e., no milk consumed, even in insufficient food situation. Among the westerners, medical missionaries began to show or/and recommend condensed milk for sick children. In 1896~1909 (2nd period) newspapers, general shops in Hanseong for westerners showed advertisements of dairy products. In the 1900s, condensed and raw milk were advertised through newspapers. Domestic ranching systems to produce raw milk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mainly by Japanese. In the 1910s (3rd period), raw milk and condensed milk were advertised in newspapers. Since the mid-1920s (4th period), dairy products were bisected into condensed and powdered (dried) milk. Moreover, many Japanese manufacturers appeared in the advertisement in the 1920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lk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 of an enlightenment food in Korea since the late 1900s, but the old negative wisdom, unfamiliar taste, and high price of milk at that time limited its appeal.
        4,200원
        26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focusing on anchogongs(按草工) in yeonggeonuigwes(營建儀軌), which were recorded with few details and in unsettled transcriptions. First,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anchogongs in 18th censtury are analyzed by comparing to anchogongs in more detailed early 19th century yeonggeonuigwes and those in extant buildings. Second, with the resul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are presumed in changing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in those uigwes. In 18th century uigwes, most of anchogongs are functioned as matbo-anchogongs and only four anchogongs in a gate building were used as jongryang-anchogongs. It is mainly because the sorts of buildings in 18th century yeonggeonuigwes had only several varieties: most of the buildings belonging royal shrines.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had been changed for reflecting functional developments of anchogongs in 18th century. However, reflections were much later than changes of actual functions.
        4,000원
        266.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업비밀 보호기간은 판례가 만들어낸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시간적 범위로 퇴사자의 퇴직시점(퇴직 전 업무이탈이 있으면 업무이탈 시점)부터 Head-start 법리에 의해 계산된 리드타임 상당기간(그러나 대개는 경업금지기간과 일치) 동안 진행하고 종료한다. 이러한 영업비밀 보호기간은 결정적인 이론적 결함이 있다. 바로 절대적 비밀성 이론 채택의 오류이다. 영업비밀의 비밀성은 절대적 비밀성이 아니라 상대적 비밀성이라고 전 세계적으로 정리된 지 오래이고 이는 우리 부정 경쟁법은 물론 TRIPS 협정에도 반영되어 있고 Head-start 법리를 계수한 우리나라 최초의 영업비밀 판결인 모나미 판결도 이를 전제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나미 판결 바로 다음에 이루어진 다이아몬드 판결이 모나미 판결의 Head-start의 법리를 차용하면서 “당사자 사이”에 비밀성이 해제되면 영업비밀이 소멸 한다는 취지의 절대적 비밀성 이론을 이에 결합 시켜 영업비밀 보호기간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만들고 이는 퇴사자의 퇴사시점부터 진행하고 어떠 한 이유로도 연장불가하다고 하였다. 그런데 절대적 비밀성 이론은 부정경쟁법과 TRIPS 협정에 반하여 위법⋅부당하다. 영업비밀 보호기간이라는 중간적 도구를 폐기하고 본래의 Head-start 법리가 제대로 복원되어야 한다.
        4,900원
        267.
        201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covers up social activism of Jeju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Jeju 4.3 Incident. Jeju Buddhism launched the activist movements for pending issues of Jeju society after political liberation of Korea. Buddhists in Jeju were trying to restore their own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and establish political autonomy of Jeju residents. However, Jeju Buddhism suffered from the severe oppression accompanied by their activist movements. Even now, the aftermath of 4.3 Incident still remains ineradicable to Jeju Buddhism. A lot of Buddhist monks were victimized with other Jeju residents without any judicial proceedings during anti-guerilla pacification operation. In addition, their properties including temples and Buddha statues were also devastated or plundered by the repression forces. For reconciliation of Jeju 4.3 Incident, we should pay attention to dedication of Buddhist activists and their sufferings under political violence during the 4.3 period.
        4,800원
        26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개화기 분묘를 둘러싼 소송에 관한 것이다. 우선 분묘를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제의 제정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1900년 분묘소송에 관한 법제의 개정을 통해 전통법제에서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던 민·형사 구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895~1905년까지는 ≪大典會通≫의 분묘에 관한 규정들이 재판의 法源으로 적용되었던 것에 반해, 1905~1909년까지는 ≪刑法大全≫의 분묘에 관한 규정들이 재판의 法源으로 적용되었다. 특히 ≪刑法大全≫에서는 그 전시대의 법전과 달리, 양반이 아닌 평민들도 10보의 분묘한계 규정을 두었다. 그래서 개화기에는 양반이 아닌 평민들도 분묘에 관한 소송을 쉽게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聽訟期限 규정을 두어 20년이 지난 분묘소송은 수리하지 않았다. 그리고 분묘소송에 관한 재판 실무를 알아보기 위해, 『舊韓末 民事判決集』에 등장하는 200여건의 분묘에 관한 민사판결을 분석하였다. 이 판결들을 통해 분묘에 관한 소송이 발생하였을 때의 민사실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첫째, 분묘 소송은 원토지소유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분묘를 만든 暗葬 혹은 勒葬의 경우에 시작되었다. 둘째, 분묘 관련 분쟁이 발생하면 당시 재판소의 판사들은 ≪大典會通≫ 및 ≪刑法大全≫의 규정을 충실히 적용하여 판결하였다. 셋째, 20년이 도과하면 더 이상 심리하지 않는다는 聽訟期限 규정은 분묘소송에서도 중요한 논거였다. 넷째, 분묘소송에서는 확정적인 법규범 이외에 앉아서도 서서도 안 보임(坐立具不現) , 情, 理 등 법원리 규범을 재판의 법원으로 원용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재판소에서는 당사자 간의 화해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였다.
        26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제국기에는 우리 역사에서 최초로 재판소가 등장하여 사법과 행정이 분리되었다. 이때 범죄자를 수사하고 기소하는 역할을 하던 검사제도가 도입되었다. 처음의 검사는 행정관을 겸하기도 하였으나, 1905년 이후에는 일본에서 공부하여 서양의 법과 제도를 공부한 검사가 점차 많아졌다. 당시 검사는 범죄를 수사하고 기소하며, 사법경 찰관리에 대한 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의 검사의 오늘날과 다른 점은 체포 구금 된 수용자에 대한 석방권(保放權)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일부 민 사사건(산송) 등에서는 검사가 재판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대한제국기의 검사들의 활약을 살펴보면, 오늘날 바람직한 검찰상을 제고하는 모범이 되는 사람이 몇 명 있다. 안병찬 검사는 사건 처리가 너무 공명정대하여 해당 지역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가지 못하게 막기도 하였으며, 안중근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였을 때 안중군의 변호를 맡으려 하였다. 이후 안병찬은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조국 해방을 위한 삶을 살았다. 헤이그 밀사로 유명한 이준 검사는 상관의 부당한 압력에 굴복하지 않는 기개를 보여 주었다. 대한제국기 검사제도는 공익의 대변자로서의 검사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는 의미, 현행법상 검사의 권한과 의무의 대부분이 규정되었다는 의미가 있다. 당시 위정자들이 일제에게 속절없이 나라를 빼앗기고 있을 때, 검사들의 공정한 업무처리와 독립정신은 재조명할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5,500원
        27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내시설재배에서 천마의 생육단계를 균사활착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휴면기로 구분하고, 최적온도 및 배양기간을 설정하였으며, 괴경비대기에 변온처리를 하였다. 천마의 균사활착기는 20℃에서 30일, 괴경형성기는 25℃에서 120일, 괴경비대기는 6~24℃에서 60일, 휴면기는 5℃에서 30일로 처리하여 총 배양기간은 240일로 설정하였다. 실내시설재배는 노지재배보다 균사활착기는 30일 단축되었고, 괴경형성기는 30일 연장되었으며, 휴면기는 120일 단축됨으로써, 전체 재배기간이 약 120일 단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밀폐된 실내시설재배에서 온도 조건을 제어하면 천마를 연중생산 할 수 있는 생육모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7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CT 기반 스마트 표고재배시설을 활용하여 표고재배의 과정을 후숙관리, 발이관리, 생육관리 및 휴양관리 4과정으로 나누어 6월부터 10월까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여름철 재배사 외부 25~35oC의 고온환경에서도 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설정한 방향으로 제어되었다. 여름철 대표적인 재배용 품종 ‘산조701호’와 신품종 ‘산조717호’를 이용한 재배시험 결과 ‘산조701호’의 경우 353.7 g/봉, ‘산조717호’는 270.4 g/봉으로 ‘산조701호’가 높은 버섯생산성을 나타내었다. ICT 기반으로한 스마트 표고재배시설을 활용한 표고재배는 재배과정별 환경조건 설정으로 재배가 어려운 고온의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재배환경 관리가 가능하였으며, 재배품종에 적합한 환경제어 범위를 연구한다면 버섯생산 안정화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7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memorial address, namely the mookseo-myeongs(墨書銘), written at the members of the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In this paper, I pursued to declare the systematic origins by the comparison the Buddhist buildings with the other buildings, on the focused the written patterns. Furthermore, I tried to examine the transitional trend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supposed that the mookseo-myeongs of the Buddhist buildings were not used for the a memorial address for the ceremony of putting up the ridge beam, so to speak the sangryang-muns(上樑文), but the prayer address(發願文) to memorize the donations of the believers for the constructions. Second, it is supposed that ‘the short sangryang-muns’ were originated in the mookseo-myeongs of Buddhist buildings and the other ancient prayer addres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Dynasty, those were established in the formal literary styles. Third,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the long sangryang-muns’ were partially used in the several royal palaces. In the late, those were widely used not only in the royal palaces but also in Buddhist buildings, but those literary patterns were rarely changed from the former types.
        4,900원
        278.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매향’ (Fragaria × ananassa Duch.cv. Maehyang)의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모주의 생육과 자묘 생산량 증대를 위한 최적 배양액 공급 농도 구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모주를 2017년 3월 22일 코코피트가 충진된 딸기 재배용 포트(64 × 27 × 18cm)에 정식하였다. 배양액은 뿌리 활착을 위해 11일 동안 EC 수준을 0.6dS·m-1의 농도로 점적 테이프를 이용하여 공급하였다. 뿌리 활착 후, 딸기 모주의 EC를 각각 0.6, 1.2, 1.8dS·m-1의 수준으로 처리해주었다. 정식 후 100일 째에 딸기의 모주와 자묘의 생육 특성을 측정하였다. 모 주의 초장은 EC 0.6dS·m-1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모주의 크라운 직경은 EC 1.8dS·m-1 처리에서 유의성 있게 두꺼웠다. 지상부와 러너 생체중 및 건물중 모두 EC 0.6, 1.2dS·m-1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런너의 개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묘 수는 EC 1.2dS·m-1 처리에서 16.7개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딸기 세 번째 자묘의 생체중 및 건물 중은 0.6dS·m-1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딸기 자묘 수는 1.2dS·m-1 처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지만, 육묘기간 동안 딸기의 묘소질 측면에서는 낮은 EC 수준이 긍정적 인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매향’ 딸기의 육묘기간 동안 수경 재배용 배양액의 EC 수준을 0.6dS·m-1로 공급하는 것이 모주의 생육 및 자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9.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eismic design, the approximate natural period equation is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country. Korea is currently using what is prescribed by KBC 2016. The natural period is a physical quantity related only to the stiffness and mass of the structure. If the mass is constant, the natural perio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stiffness.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lateral force capacity inherent in the current approximate natural period equation. To grasp seismic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lateral resisting forc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know the lateral resisting capacity, the analytic model buildings were designed to have the exactly same as approximate natural period specified in the current standard, and nonlinear push-over analysis was perform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base shear coefficient and roof drift angle etc were discussed and evaluated.
        4,000원
        280.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zuka Sirakawa’s theory on the Chinese Characters before the Warring States Period is a system theory. The theory includes several kinds of content as followed: First, the causes of Chinese Characters birth. Sizuka Sirakawa thought that characters creation is to express something sacred. Second, the resources of Chinese Character symbols. Sizuka Sirakawa thought, Chinese Characters are etiquette reflections, developing from the symbols which have the sacred nature. Third, Chinese Characters functions. Sizuka Sirakawa thought that to the ancient Chinese people, Chinese Characters had extraordinary power before the Warring States period. Fourth,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Sizuka Sirakawa thought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mainly used in activities of offering sacrifices and casting inscriptions. The last, the essence of Chinese Pictographic Characters. Sizuka Sirakawa believed Chinese Pictographic Characters not as pictograph characters, but as symbolic characters. However, based on the facts and the logic, we can prove that the five points have some mistakes.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