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매년 봄철 중국의 서부지역 및 몽골로부터 불어오는 황사 피해를 받고 있다. 황사발생은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중국의 서부지역은 장기간의 기후변화와 인간의 훼손행위로 인해 사막화가 급격히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을 비롯한 각국은 식물식재를 통한 사막의 생태적인 복원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막의 생태적인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중국 서북부의 대표적인 건조지인 빠이청(白城)지역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건조지에 1차적으로 침입한 강아지풀은 건조에 따른 토양의 염분농도 상승과 알칼리화와 더불어 Artemisia mongolica-강아지풀군락을 비롯하여 강아지풀-Cannabis sativa var. fruderalis 군락으로 천이하였다. 환경조건의 지속적인 악화와 더불어 강한 바람에 의한 증발량 상승으로 건조가 극심한 평지에서는 최종적으로 Artemisia mongolica 군락이 일부 잔존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간헐적인 그늘이 생길 수 있는 구릉지는 상대적으로 공중습도가 확보될 수 있어 다른 유형의 식생이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전 지역에 흔히 분포하는 남가새군락은 토양환경 악화와 더불어 남가새-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으로 천이하였고 낮은 구릉지 지형조건에서 환경악화와 더불어 건조와 토양염분 및 강알칼 토양에 강한 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이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 일대에서 건조에 강한 27과 49속 58종 4변종의 총 6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환경내성이 뛰어난 국화과식물이 27.4%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Artist-in-residence which gets chances to create by artists’moving and encounteringnew culture is heightening its level in 21th century.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ssue ofcultural diversity and the role of artists which is for city revitalization and sustainability areaffect residency program in the midst of highly proceeded globalization that internationalexchange. Therefore, in the aspect of creative city, a new model is creating by reuse of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Asia or Eastern country become the subject in residencyprogram management, the issue of cultural diversity is getting more important, programsbased on project not just residence are managing. Furthermore, it has inter-countrycooperating system in the rage of cultural management. It means that artists’space ofcreating activity has a new, social role in spontaneously we need to approach to followingmodel in Korea, as well.
본 연구는 화성시 복합복지타운 건립공사에 대한 설계안으로서 인문환경 및 자연환경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3가지 설계구상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문화+인간+공간이 소통하는 생명공간, 둘째 문화가 일상이 되는 공간, 셋째 사람이최우선인 공간을 조성하였다. 기본계획에서는 치유정원, 재활치료원, 놀이치료원을 도입하였고 교류 및 연대를 위한 공간,체험 및 운동공간을 조성하여 공간의 이용을 극대화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연구의 적지로 판단되는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습지 현황, 습지 유형, 습지식물의 특성, 그리고 훼손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성남시의 도시습지는 1차 조사결과 모두 16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산간습지 55개소, 하천변 습지 4개소, 묵논 및 묵밭 62개소, 웅덩이 37개소, 저수지 4개소 등으로 분류되었다. 1차 조사결과, 습지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된 107개소에 대해 2차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약 39%에 달하는 42개소가 규모가 작고 육지화되어 습지의 가치가 매우 낮으며 매립 및 배수화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학술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 27개소를 대상으로 수문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남시 도시습지는 아직도 양호한 수환경 조건과 다양한습지식물의 분포와 정착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184종류의 식물종 가운데 습지의존적인 식물은 75종류인 약 40.7%의 비율에 불과하며, 따라서 대부분의 습지가 육상역 식물종의 침입과 같은 인위적인 교란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습지식물 우세도 지수를 적용하여 습지의 보전상태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성남시 전체의 경우 지수 값이 약 3.7로 나타나 습지평가유보 단계를 벗어난 양호한 육상생태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남시가 중부내륙의 산악도시임을 감안할 때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산간습지와 묵논 및 묵밭의 발달은 비록 규모는 작으나 육상과 수계 생태계사이의 생태적 추이대로 생태적 거점역할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적인 공동체 삶을 위해 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보호되고 유지되어온 숲이다. 본 연구는 미군부대 이전부지 내에 위치하는 마을 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 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 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 현지 소산 식물상은 양치식물 2과 2속 1종 1변종으로 총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의 3분류군, 피자식물 중 단 자엽 식물이 5과 10속 11종으로 11분류군, 쌍자엽식물이 24과 39속 40종 3변종으로 43분류군로서 총 33과 53속 55종 4변종의 5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화 지수는 4.2%, 귀화율은 20.3%로 타 지역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마을 숲을 구성하는 식생단위는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찔레군락(Rosa multiflora community)의 4개 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졸참나무군락은 자연천이에 의해 도태된 소나무 대신 상대적으로 채광적응성이 뛰어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유형으로 교목 층뿐만 아니라 아교목 층에 까지 졸참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이탈과 가구 수의 축소, 도시화에 의해 마을 숲의 이용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이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으로 추정될 수 있는 졸참나무군락으로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을 거쳐 천이되는 유형을 보여주고 있었다.
일산 거주 초등학생 33명 66안 (9.01±1.16, 세 2004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 굴절검사, 각막지형도검사 및 A-scan Ultrasonography 를 실시하고 2년 동안 변화도를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와 제조 및 임상에서 콘택트렌즈 피팅에 관한 참고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2년간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818±0.704 D(p=0.000) 근시쪽으로 변하고, 안축장은 0.310±0.309 mm(p=0.000) 증가했으며, 각막정점 곡률반경은 -0.007±0.033 mm(p=0.000) 변하고, 각막난시는 -0.024±0.367 D(p=0.590) 변화하였다. 각막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비구면계수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고, 비구면 계수의 변화도는 10° 반경 0.005±0.092(p=0.691), 20°반경 0.003±0.076(p=0.692) 및 30° 반경 -0.012±0.063(p=0.127) 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비구면계수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각막 정점 곡률반경, 안축장은 상관성이 없었고, 2차 측정시 비구면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으나(r=0.283, p=0.021), 변화도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0.009, p=0.945). 근시군에서는 각막 정점 곡률반경 (1차 : r=-0.399, p=0.014, 2차 : r =-0.361, p=0.028) 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변화도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0.410, p=0.012). 비구면계수와 각막난시는 낮은 상관성이 있었으나 (1차 : r=0.354, p=0.032, 2 차 : r=0.427, p=0.008), 변화도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r=-0.012, p=0.945). 반면, 비근시군은 비구면계수와 제시된 안광학상수 사이에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비구면계수과 관련된 각막의 비구면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성장기 학생의 각막 형상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해서는 근시안에 대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청주시와 청원군 내 금개구리 (Rana chosenica) 개체군의 지역적인 분포를 밝히고 금개구리 울음소리의 시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1/50,000 지도상에 2×2km2의 총 226개 격자를 만들고, 이 중 53개 (총 격자의 23.5%) 격자를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가장 많은 개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개체군을 선정하여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울음소리 개체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53개 격자 중 4곳에서 1번 이
If we take account of the ‘Architectural Tradition’ which aims a construction of better environment, we can see that this tradition has ended historically toward Utopia. It is a continual trend from ancient Greece to contemporary epoch in each transitional periods and especially in the Renaissance Era. Utopia is an ideal commonwealth in which inhabitants exist under perfect conditions, ideally perfect places or state of things. The plans of utopia are complete projects of image, its goal is a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eras. Its plans are characterized by rigid geometrical pattern as circle and square, which contain generally center․axis․symmetry․enclosure. Recent urban and architectural circumstances no longer reflect utopian visions. Since the latter of the 20th century, it appears dystopia on the contrary. Therefore, the utopian ideal city and architecture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the era unlike the continuity of its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and historical meaning of Eupchi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 of Eupchi based on analyses of published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in 1392, set up Eupchi in a position to effectively govern the whole country. Eupchi was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and became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Eupchi was established based on techniques taken from the capital. Following precedence in the capital, Eupchi was transformed with spaces for Confucian ceremonies. The cityscape of Eupchi was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Such transformation of Eupchi represents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evelopments found in Eupchi spread around Korea, and mark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urbanization. The Joseon Dynsasty used similar techniques from the capital to establish Eupchi. However, I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Eupchi and the capital.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that walls could protect not only the capital city but also the country from foreign enemies. Protective walls were required for a capital, but not for Eupchi. In addition, Eupchi did not have commercial institutions supported by the Dynasty. This further demonstrates that different planning principles were used at Eupchi.
안질환이 없는 일산 거주 학생 163명 325안(초등학생 90명, 중학생 73명, 10.99± 2.08세, 2004년 기준)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시하여, 1년 동안의 변화도를 연령별(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 및 굴절이상도별(근시군과 비근시군)로 분석하여 한국인에 적합한 콘택트렌즈의 설계와 제조 및 임상에서 콘택트렌즈를 피팅하는데 참고할만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년 동안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368±0.413D 근시 쪽으로 변화하였고(t=16.068, p=0.000), 1차 및 2차 측정에서 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의 평균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으며(1차 측정: t=-3.696, p=0.000, 2차 측정: t=-3.016, p=0.003), 평균 변화도는 초등학생군에서 더 컸다(t=2.698, p=0.007). 근시군과 비근시군의 평균 변화도는 근시군에서 더 컸고(t=2.703, p=0.007), 초등학생군에서도 근시군에서 더 변화하였으며(t=3.002, p=0.003), 중학생군에서는 근시군의 변화도가 더 컸으나 유의성이 없었다(t=1.586, p=0.115). 30°반경의 비구면계수는 1차 및 2차 측정 모두 초등학생군과 중학생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변화도는 중학생군에서 음(-)의 방향으로 좀 더 컸지만 유의성은 없었다(t=-1.711, p=0.088). 전체 대상에서 근시군의 변화도가 비근시군보다 더 컸고(t=1.873, p=0.062), 초등학생군에서도 근시군의 변화도가 더 컸으며(t=2.273, p=0.024), 중학생군에서는 비근시군에서 좀 더 변화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t=-0.508, p=0.613). 전체 대상자의 각막 형상은 대부분 prolate 형상이었고, 비구면계수(Q)가 -0.4≤Q <-0.2의 범위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분포가 가장 많았고, 중학생의 근시군에서 분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구면계수는 근시군보다 비근시군에서 좀 더 양(+)의 방향인 값을 가졌으며, 비구면계수와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상관성이 없었다(r=-0.035, p= 0.526).
부산의 대표적인 해안림 지역 태종대, 이기대, 몰운대, 암남공원 4개소에 대해 식생구조 및 현황을 파악하여 그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부산지역 해안림의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몰운대와 태종대에서 사스레피나무가 다수 관찰되는 반면 이기대는 천선과나무, 암남공원에서는 사스레피나무와 산벚나무가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urban forest and the ecologically healthy and continuous green belt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vegetation in Madong Park, Iksan-City. The flora of Madong Neighborhood park was composed of 65 families, 153 genera, 169 species, 19 varieties, 2 formae or 196 taxa.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in this area have represented such as Th-D4- Rs type in biological type, erect form (35.71%), in growth type, 21 taxa in naturalized plants. The life form spectra investigated from Iksan neighborhood park was recognized as the following Th :21. 9%, H:17.4%, Th(w):11.7%, G:9.7%, M:6.6%, Ch:5.1%, HH(Th):4.1%, HH: 1. 5%. By the Z-M method 2 plant communities was recognized PÍ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Ínus rigida community. The pattern of successional trend of tree species might be suggested : p. rigida and P. th unberglÏ • Q uercus variabjJis and Q acutissima • Q serrata community. Finally, The vegetation of the Madong neighborhood park must not allowed any more. Nothing can be better than native states in preserving the ecosystems.
Throughout her plays, Christina Reid explores the lives of women in Belfast and successfully offers a bold interrogation of other facets of Belfast history from a Protestant women’s perspective. Reid’s examination of the politics, entrenched in the private and public lives of Northern Irish women, is the central focus of The Belle of the Belfast City. In the play, the current political unrest in Northern Ireland is set in relation to sexual and racial minorities, which in turn, are enforced by the misogyny embedded in sectarian violence and religious dogmatism. Far
from simplifying these questions, Reid takes extra care to show how the familial, social and political facets are all connected to the perpetuation of the prejudice surrounding idea of the Other and the nation. In addition to this, this play also combines the experience of exile in relationship to gender and sectarian violence through the stories of Belle, Dolly’s half-black granddaughter. As a narrator and inheritor of the matrilineal heritage, Belle by her existence raises questions about the national and racial categorizations of politics.
In this play, while male authority uses the female body to marginalize and exploit it, Reid successfully turns the victimized female body into a site of resistance and subversion of that authority. In addition to the family photographs, the songs and dances that are performed through the medium of the female body are unmistakably subversive. While the female voice and body within Jack’s idea of nation are objects of repression and silence, however, the women’s bodies and voices are freed and released in the ritual of female bonding that celebrates the subversive potential of the feminine body. With these theatrical devices, Reid carefully depicts and subverts the portraits of women whose roles and images have been imagined in the discourse of conflict-ridden Belf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behavior and customers' intention to engage in voice of dissatisfaction responses.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nclusion of past behavior improved the predictability of the voice of dissatisfaction response intentions. Furthermore, the mediat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past behavior was mediated by mediator. In the contests of voice behavior, the effect of past behavior on intention was not mediated by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eanwhile, subjective nor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behavior and the intention to engage in voic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