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0

        285.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rator’s direct weighing method was applied for investigation of household waste generation. At least 28 days, eachhousehold member measured and recorded the weight of garbage discharged with plastic garbage bag, food waste, andrecyclable waste. Collected garbage record books were used as input data in Microsoft Excel,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done with Minitab 16 software. By generator’s direct weighing method for household waste generation, garbage dischargedby plastic bag, food waste, and recyclable waste were 130.5, 98.2, and 187.9g/capita/day, respectively. Difference inaverages of per capita garbage discharge between Seoul, Gyeonggi, Incheon, and Chungbuk were no statisticallysignificant. And as the number of house member decrease, per capita garbage discharge increase numerically, but there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28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과 안녕감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 5월 12일에서 8월 말까지 약 4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8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18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응, 자아탄력성, 교사지지, 가족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과 안녕감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의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제고를 통해 문화적응을 향상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28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그 구성원들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를 통해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 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삶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해당 부부는 낭만적 연애를 통해 결혼에 이르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변인들의 반대와 편견, 제도적 무관심을 겪고 있었다. 부부는 경제적 곤란과 차별적 시선을 겪으면서도 가족의 화목을 도모하고 있었으며 이주민 공동체와 방글라데시의 친족적 연망 속에서 초국가적 삶을 살고 있었다. 가족 구성원들은 모두 이중언어 사용자였으며, 부분적으로 이슬람 전통과 문화를 체화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또 한국 거주가 길어짐에 따라 이주민 남성은 한국에서의 영구 거주를 결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 연구를 통해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교육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해당 가정의 부부는 다문화적 배경에 대해 개방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으며 자녀들이 차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배우자 여성은 자녀들에게 아버지의 권위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을 지켜나가고자 하는 남편을 지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해당 여성은 자녀들이 다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의 시선을 내면화하지 않도록 자신부터 이러한 차별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이상을 기초로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이 속한 국제결혼가정의 이주경제적 맥락, 문화적 맥락, 사회적 맥락, 가정적 맥락과 그 구성원들의 삶과 교육의 관련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울러 부계 국제결혼가정 및 다문화 일반에 관한 정책적, 학술적,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88.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가정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를 조사하고, 출신국가, 한국생활기간,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출신국가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습관형성 범주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고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교육, 어머니의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 어머니의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내용, 한국의 가족관계 이해에 대한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기간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양육과 건강 범주에서 유아의 건강진단과 아플 때 간호하는 방법, 유아의 안전사고와 위급한 상황에 조치하는 방법, 유아의 영양에 대한 지식과 바른 식사습관을 갖게 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한국어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수준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를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유아의 양육과 건강 범주에서 유아의 건강진단과 아플 때 간호하는 방법, 유아의 발달 범주에서 유아의 성격과 사회성 발달에 관한 내용,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대한 내용, 부모와 유아간의 의사소통 범주에서 유아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 유아가 다른 사람의 말을 귀기울여 듣는 태도를 갖게 하는 방법, 자녀교육 방법 범주에서 유아가 실생활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 어머니의 한국적응 범주에서 어머니의 여가활동에 대한 정보 및 교육, 어머니의 직업에 대한 정보 및 교육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9.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소재한 2곳의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친화적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00,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 보전 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31, p< .05). 이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활동이 환경 보전 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환경교육은 가정과 연계가 되었을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290.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조사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고,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표 달성을 위해 선별된 활동 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충청 남·북도의 군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의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영역에서도 신뢰감 및 개방성 영역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고는 체감 인터페이스 기술이 선사한 가능성이 게임의 영역에서 실재적으로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경험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족 구성을 갖는 7가족을 선발해 1달간의 게임 플레이를 관찰한 후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최종 설문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실증적인 체감형 게임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체감형 게임이 그동안 게임에서 소외되었던 기성세대와 여성과 노인을 게임 문화로 이끌어 게임으로 소통하기를 시도하며 가정의 새로운 놀이 문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9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증에 가정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878명의 응답을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외국인 혐오증 척도를 개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가정요인이 외국인 혐오증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외국인 혐오도에는 부모 학력, 부 종교, 부모 정치성향, 부모와의 친밀도, 가족구조, 거주지, 성별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혐오도는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편부·편모·기타 가정의 학생이 양부모 가정 학생에 비해, 농어촌에 거주하는 학생이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부모의 정치성향은 아버지 요인과 어머니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부직업, 모종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혐오도를 약화시키는 데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주고 있으며, 아울러 외국인 혐오증 개념이 우리나라에서 주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는 다문화 수용성과는 차별화된 학술적, 정책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29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ite of the government's various efforts to reduce food waste, the food waste in Korea has increased about 3%every year, mainly due to the growing population, number of households, and income. Food waste occurs in the processesof production, transportation, distribution, storage and cooking of food ingredient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liabledata about how households - a major food waste source - store and treat their food and how much food waste they produce.In this regard, we thought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act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fromhouseholds in order to reduce the country's food waste, which is why we monitored kinds, storage periods, treatment,and waste of food consumed in 100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normally store their foodingredients in refrigerators - on average 33 kinds and 35kg of food are stored - and some of them stayed there for upto 3 years. Moreover, not a small portion of the food is thrown away nearly untouched, mostly because people tend topurchase too much food at one time or they don't know or miss their expiration dates. The amounts of food waste bytype were in the order of vegetable>side dish>frozen food>fruit>seasoning. Also, we suggest effective and realisticmeasures to reduce food waste and promote a more desirable food consumption culture.
        296.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분석적-종합적 사고와 사후가정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고·대학생 운동선수들 418명(남 284명, 여학생 134명, 단체종목 234명, 개인종목 184명)이며, 분석적-종합적 사고 질문지와 사후가정 질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분석적-종합적 사고에 따른 사후가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이들 변인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적-종합적 사고에 따라서 사후가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서양적인 분석적 사고가 강할수록 자기와 관련된, 동양적인 종합적 사고가 강할수록 타인과 관련된 사후가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적-종합적 사고와 사후가정 및 이에 대한 하위요인들은 대부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적-종합적 사고는 사후가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태도-인과성 요인이 가장 강력한 예언변수로서 분석적 사고는 자기와 관련된 사후가정에는 정(+)적으로, 타인과 관련된 사후가정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적-자기관여적 사후가정, 종합적-타인관여적인 사후가정의 설명을 제시하여 비교문화적인 측면에서 선수들의 후회심리학을 살펴보았으며, 선수들의 후회심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제언했다.
        297.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중 기온이 비교적 높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가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형태는 크게 전력과 취사용 연료 로구분된다. 캄보디아는 총 에너지 소비량 중 30%를 수입하고 있는 국가로, 전체 인구 중 31%만이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데, 도시 지역은 거의 100% 전력화되어 있는 반면, 농촌 지역은 전력화율이 13%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크다. 취사용 연료의 경우, 선진국에서는 도시가스나 LPG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자원이나 공급망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상당부분 자연 자원인 장작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장작 사용은 산림 훼손으로 인한 환경 문제뿐 아니라, 사용 시 실내 공기질 오염에 의한 건강상 위해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대도시인 프놈펜시의 경우, 전력화 문제보다는 취사용 연료 개선 문제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캄보디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장작을 대체할 수 있는 Clean Cooking Fuel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기술 원조에 대한 관심도 높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에서 캄보디아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축산분뇨를 이용한 Biodigester를 보급하여, 취사용 연료로 사용하도록 추진하고 있으나, 부지 확보가 용이한 농촌지역에는 다수 적용사례가 있지만, 도시지역에는 적용 및 확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무장작을 대체할 연료로 프놈펜에서는 LPG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2000년 이전 전통적인 취사연료인 장작과 숯 사용이 80% 이상을 차지하던 것이 2003년에 들어서 40%로 감소하고, LPG 사용이 50%로 증가하였다. LPG의 사용은 장작 사용보다 건강상 문제를 줄여주긴 하지만 화석연료 사용이라는 면에서 해결해야할 과제는 남아있다. 벌목에 의한 숯을 대체하기 위해 코코넛 껍질을 고형연료화 하여 취사용 연료로 보급하는 사례나 Biogas 시설을 방문하여 프놈펜에서의 활용 상황 및 문제점에 대해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코코넛 껍질 고형연료화 시설은 폐자원의 가격이 비싸 경영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축산 분뇨를 이용한 Biogas 시설의 경우 기계 수리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인건비 등 운영비용이 생산품 판매가격으로 충당되지 않아 시의 보조금이 없이 운영할 수 없는 상황에 있었다. 현장 조사 결과 및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기타 이용 가능한 폐자원 및 적용 가능한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을 검토하여, 취사용 연료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98.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가정에서 먹고 남은 의약품의 경우 배출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아 일부 발생되는 폐의약품을 종량제봉투에 담아내거나 화장실, 주방 등을 통해 배출되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 4대강 유역 주요 하천수에서 의약물질 15종이 미량 검출된바 있다. 폐의약품의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국민건강과 생태계 보전측면의 실태파악 및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느낀 환경부는 2008년 4월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폐의약품 회수・처리사업을 실시하여 2010년 7월부터 전국으로 확대 실시 중에 있다. 그러나 여전히 폐의약품 수거체계의 불편함을 느껴 기존의 배출형태를 나타내고 있어 정부는 향후 폐의약품 회수 방법의 개선 및 홍보 등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의약품의 구입, 보관, 처리형태 등 폐의약품에 대한 실태파악을 위해 모니터링 시범가구를 선정하여 실제 가정이라는 배출원 현장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폐의약품 발생 실태 및 회수방안 개선에 활용하고자 조사하였다. 참여한 대상 가구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거주 98가구로 주거형태 비율에 따라 단독주택 35.7%, 아파트 64.3%의 비율로 3개월간 폐의약품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정에서 보관하는 의약품 중 15%가 폐의약품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로 환산할 경우 2011년 폐의약품 회수량의 27배 수준이 가정에서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버려지는 약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약국 폐의약품 수거함 확대 > 인센티브제 도입 > 의약품 수거체계 개선 > 포장규모 다양화 > 언론홍보 및 교육 순으로 나타나 폐의약품 수거함 확대 등 수거체계 개선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의약품의 적정한 처리를 위해 폐의약품 배출장소를 약국, 보건소외에 보건진료소, 지자체 주민센터(읍・면사무소), 편의점 등 접근성이 좋은 장소를 추가 설치하거나 폐의약품 회수의 날 지정, 약 봉투에 폐의약품 회수 안내 문구 삽입, 수집된 폐의약품은 월 1회 이상 소각처리시설로 운반, 처리, 가정내 폐의약품 분리배출 확대를 위한 홍보강화 등 다양한 폐의약품 회수방안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