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5

        281.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arly stages of reading, word decoding skills are prerequisite to reading. Word decoding involves word discrimination, phonemic decoding, and understanding of meaning. In this process, phonemic awareness enables students to examine language independently to manipulate its component sounds, and to use letter-sound correspondences to read and spell word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the primary school English textbooks fail to provide systematic language structure focus to facilitate efficiently student acquisition of the English phonemic system. Therefore, many students suffer from lack of word decoding development as well as encoding development, particularly in the 5th and 6th grades. This study explores the English phonemic awareness of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est for phonemic awareness was developed and Korean students' phonemic awareness was examined. The test deals with six areas: phonemic segmentation, phonemic manipulation, syllable splitting, blending, oddity, and invented spel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any students showed successful results in phonemic segmentation and oddity. However, they have difficulties with syllable splitting and invented spelling. While students have strengths in the awareness of consonants except for r-l, f-p, and b-v, they suffer from lack of awareness of vowels. Secondly, errors of invented spelling and blending showed that students have differing development stages of phonemic awareness, e.g., some students master the phonemic system perfectly whereas others perceive only the alphabetic sound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 balanced approach to reading is necessary in the early reading in the Korean context.
        6,900원
        282.
        200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urnover awareness of key member of Research & Development Division working in electronic R&D laboratory. Through the analysis of 106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depth interview with R&D key member who is evaluated as core researcher in their laboratory, this study obtain the practical informations on the understandings of their organization environment and extend of turnover awareness etc. The result shows that many researcher have the mind of turnover to improve job stability and develop their career. They think they are key member themselves as a core competent member in their organization, but think their performances are not recognized by the organization as they expected level.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many of them haven't find their visions in their organization.
        4,000원
        28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증(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 3은 식중독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000원
        285.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일반적인 인지이론을 조종사 기술의 범위로 확대시켜, 조종사가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상황인식을 하는지를 제시문과 비행 장면 일치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측면의 변인에 따라 상황인식이 전문성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비행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행 상황 변인들과 비행 요소의 내용을 나타내는 비행 상황 변인들 모두 비행 상황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작업기억은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상황인식의 바탕인 인지적 과정을 나타내는 구조화통합 모델의 이론적 틀 안에서 설명되어진다.
        4,800원
        28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모색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주민참여관리제도의 이론적 토대와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봉구의 초안산근린공원을 찾은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공원에 대한 관심도, 공원의 관리현황에 대한 인식, 공원관리에의 참여의사 등을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75부의 설문지 중 유효표본은 63부였다. 응답자들의 공원에 대한 관심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공원의 관리현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공원관리에의 참여의사에 있어서 응답자들은 비교적 강한 참여의사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노령층과 고소득층, 공원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응답자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공원에 대한 관심도 수준에 따른 공원관리에의 참여 의식 차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4,000원
        28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과 2001년 5월 9월 사이에 각각 750명과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67.7%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 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9%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0%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를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스타링크의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6%나 되었던 반면 2001년 7월부터 실시된 유전자재조합 표시제의 시행에 대해 알고있는 소비자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4,000원
        288.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toward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Daegu and B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awareness regarding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were low, while consumers' concerns for them were high, (2)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irradiated foods are safety of irradiated foods, dose permitted for food irradiation, benefits of irradiated foods, kinds of permitted irradiated foods, and legislations of food irradiation, and (3)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environmental hormones ar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hormones, standards for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hormones, materials releasing environmental hormones, methods to prevent environmental hormones, and kinds of environmental hormones.
        4,300원
        289.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억은 상황인식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상황 인식의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기억과정들이 조종사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조종사가 상황정보를 회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기억과정들을 비교하였다. 즉, 조종실 계기판에 제시되는 상이한 형태(공간적 및 언어적)의 상황정보에 관한 조종사의 기억을 즉각회상과 지연 회상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2에서는 조종사의 상황인식 민감도를 측정하였고, 그 민감도와 실험 1에서 수집한 여러 회상기억 측정치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두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전문성 효과가 상황정보의 활동기억보다는 장기기억에서 나타났고, 상황인식 민감도를 높이는 데 요구되는 상황정보의 기억표상이 전문성 정도에 따라 달랐다. 실험결과의 이론적 설명이 심리학의 전문성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4,300원
        29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는 세계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위생관리기법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법적으로 도축장에 연차적으로 의무적으로 적용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HACCP를 국내 도축장에 시행하는데 있어 기본토대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HACCP이 시행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HACCP 시행주체인 영업자(124명), 종업원(363명) 및 HACCP 담당공무원(170명)의 HACCP 시행능력 및 인식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HACCP의 이해정도는 도축장 영업자가 34.7%, 종업원 21.1%, 관계공무원이 57.1%으로 공무원이 비교적 HACCP에 대한 이해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HACCP 수행의지는 영업자 93.5%, 영업자 88.9%, 공무원 93.6%으로 모두 시행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도축장에서의 HACCP수행의 가장 큰 잇점은 도축장 위생수준의 향상(54.1%), 식육판매증가(17.6%), 위생 식육수출증가(7.5%)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행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도축장 경영난(33.2%), 도축장의 낮은 시설수준(27.3%), 종업원의 낮은 위생의식(19.4%), 및 HACCP의 이해부족(12.3%)으로 나타났다. 현 시점에서 도축장에서 효과적인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조치로는 도축장의 시설수준향상(36.6%), 교육과 훈련을 통한 HACCP기반 확대(19%), HACCP시행 도축장을 위한 특혜부여(11.8%), 그리고 정부와 산업체간의 긴밀한 협조체제(10.3%)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도축장 영업자에게는 그들 자신만의 효율적인 HACCP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국내 도축장의 HACCP 시행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제공함으로서 정부등 관련업계에서 HACCP 시행 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HACCP는 도축단계에서 식육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위생관리기법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의 시행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HACCP시행주체들은 인식하고 있으며, 도축장에서 HACCP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HACCP 시행에 대한 식육업계의 강력한 의지가 가장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292.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consumers'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food biotechnology was conducted during May through August of 2001 with a random sample of 750 Korean consumers. More than 70% of the respondents was exposed to some informations related to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The greatest benefit of the development of GM foods was thought to be the remedy for the food shortage in the future. More than 90% of Korean consumers wanted GM foods labeled. About 20% of the respondents would buy GM foods voluntarily, whereas over 50% would not until they found out more. Mor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buy herbicide-tolerant GM soybean but buy vitamin-enriched GM soybean. It seemed to be that many Korean consumers do not make decisions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GM foods not on the basis of biotechnology but on the basis of the words) used to describe the products, such as herbicide and vitamin. Only 4% of Korean consumers responded that GM foods were the greatest safety-threatening factor of Korean foods and that the most interested information on food labels was whether the food was produced by biotechnology.
        4,000원
        294.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ticipants of this 1998 survey included 100 physical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located in Andong City. 77.7%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ir twenties and 20.2% in their forties. 46.4% of the participants were 3rd year students at a junior college, and 1.0% were college graduates. 67.6% of the participants had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nd 1.0% 16 years experience in their field. 59.6% of the participants were married. Regarding questions about occupational satisfaction, many of the participants replied "normal" for the first and third questions, and few answered "very much".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normal" for all the questions concerning their work environment with few replying "very much". With regards to awareness of the physical signs of fatigue, "occasionally, ye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s. Regarding awareness of the psychological signs of fatigue, the similar proportions of participants answered "occasionally, yes" as that for "feeling nothing". Similarly, with regard to awareness of the neuro-sensitive signs of fatigue, there was a similar ratio of participants answering "occasionally, yes" and "feel noth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are many causes of fatigue amongst physical therapists. Improvements in daily nutrition, mental health and general well-being are important in tackling these problems. It appears that fatigue amongst physical therapists may be cumulative and due to prolonged working hours To promote better daily functioning and early recovery from fatigue, appropriate assignments of working and resting hours are necessary. They would also benefit the prevention of symptomatic problems in the waist and shoulder.
        4,300원
        295.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level of health. A total of 499 people living in Seoul and the viciniti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the October 1997 to the January 1998. Among the 532 answers collected 33 was imcompleate data, and 499 answer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program. The most worried disease was cancer(27.6%), indigestion(23.0%), liver trouble(14.8%) and high blood pressure(14.8%). The perception of Korean on health and food habit indicated that food habit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as appeared in 28.9% of the subject. Eigh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health food is necessary for the health.
        4,000원
        299.
        199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30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sess the early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types of messages that their mothers give to them about nutrition and to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the uncooperative eating behaviors most frequently when they had breakfast and vegetables. In these cases the most frequent mother's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was encourage eating some of each food. Children's eating problems as perceived by mothers were mainly low dietary intake and an unbalanced diet. The most frequent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in the presentation of new foods were telling the child taste them and general nutrition about the new food. General topics in nutrition the mothers had discussed with their children were about nutrients, food groups, food transformations and food origins. Children whom mothers provi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topic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concepts of food transformation, food origins and the total nutrition knowledge score. It is clear from this study that preschool children begin to learn about nutrition through these parental messages. Both parents and caretakers of young children should recognize the potential importance of these early interaction pattern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