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301.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PS 생성 유산균인 Leu. kimchii GJ2의 생리활성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Leu. kimchii GJ2 투여로 고지혈증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중증가율,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당 간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식이군 (HCD)이 다른 실험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증가된 혈청 중 GOT 및 ALP 활성은 Leu. kimchii GJ2 투
        302.
        200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장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발효시킨 초산발효액 (AJA: pH 3.2, acidity 2.0, brix degree 3.2)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쥐의 혈당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용 식이는 AIN-76 diet를 기본으로 하여 조제하였으며 실험동물은 5주령의 평균체중이 인 Sprague-Dawly계 흰쥐를 사용하여 정상대조군(NC), 당뇨 대조군(DM), 당뇨유발 후 체중 100 g당 AJA 1/2 희
        30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cloned an LTP gene (PoLTP1) from poplar (Populus alba × P. tremula var. glandulosa) suspension cells and examined changes in its expression levels in response to various stresses and ABA treatment. The full-length PoLTP1 cDNA clone encodes a polypeptide of 116 amino acids with typical characteristics of LTPs, notably a conserved arrangement of cysteine residues. Southern blot analysis indicate that two or three copies of the PoLTP1 are present in the genome of the investigated hybrid poplar. In addition, northern analysis of samples from soil-grown plants indicate that PoLTP1 is tissue-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leaves and flowers. The gene i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treatment with mannitol, NaCl and ABA, but not by either cold or woun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LTP1 is involved in osmotic stress responses in poplar plants and suspension cells.
        30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 oxyphenyltrizine; BEMT)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기능성 원료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UVA와 UVB의 화학적 자외선 흡수제이다. 그러나 BEMT는 실제 적용에 있어 여러 가지 결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EMT가 적용된 고형지질나노입자(BEMT- SLN)의 자외선차단제품 응용에 있다.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입도는 약 330 nm, 봉입율은 93.3 %, 결정화지표는 4.3 %였다. In vitro 방출 및 투과 실험 결과에서, BEMT는 SLN보다 O/W 에멀젼이 대체로 높았다. In vivo 실험에서 SLN의 BEMT 방출비는 80 % 감소하였다. 또한 in vitro UV 방어 효과 실험에서 SLN이 적용된 처방의 자외선방어지수(SPF) 값은 약 2.5배 증가하였다. 결국 SLN은 BEMT를 효과적으로 봉입하고 있었으며, 자외선 차단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30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능성화장품과 피부관련 의약품 분야에서 multi-lamellar와 liquid crystal의 구조가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다. 결합수와 고정된 유상을 함유하는 multi-lamellar 구조는 피부의 세포간지질의 lamellar 구조의 재건과 보습을 유지하는 작용으로써 보습기능이나 장벽기능의 복구에 우수하며, 이 지질들은 각질층에 침투하여 유지된다. 본 연구에서 고급 지방 알코올, 레시틴,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제조한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의 피부장벽 기능을 측정하였고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30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hwangryun(Coptidis Rhizoma) on lowering lipid and oxidative stress in the induced obesity rat was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in hwangryun treatment groups showed the low valu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s the increased hwangryun,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otal cholesterol decreased in all hwangryun treatment groups.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plasma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ll the treatment group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 in plasma and liver showed low values in all hwangryun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ll the treatment groups. However catalase(CAT) activity showed a tendence to increase in hwangryun groups, and in 200mg/kg hwangryun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a high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Summarizing the results above, hwangryun has the functional materials that lowering lipid and works with oxidative stress.
        307.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체지질구성,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 및 혈장 중성지질량은 과산화지질첨가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갈근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여, 대조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HDL-cholesterol량은 갈근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량은 정상군보다 과산화 지질처리군 모두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 처리군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및 간장 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과산화지질첨가군들 간에서는 갈근 처리군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첨가군들이 정상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갈근처리에 의해 하락했다.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과산화처리군 간에서는 갈근처리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30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33.1g (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310.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진열중 조도 처리에 따른 재래종 돈육과 개량종 돈육의 지방산화 및 육색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6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2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 5두를 도축하여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에서 5일 동안 숙성한 다음 의 암실 및 3,000 lux에 7일 동안 진열하였다.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반면(p 함량을 가졌다(p
        317.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고초, 감국 및 갈근 혼합 증류액이 비만쥐의 지질구성, 심장, 간장 및 신장의 해부조직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β-lipoprotein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유리지방산 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하고초와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하고초와 감국 혼합증류액 처리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Glucose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triglyceride 농도는 대조군보다 약물처리군들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약물처리군들 간에서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하고초 및 감국 혼합 증류액 처리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otal cholesterol 농도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HDL-cholesterol 농도는 하고초 및 갈근 혼합증류액 처리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DL-cholesterol농도는 약물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장의 해부조직학적 소견은 비만유도군들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확연하게 지방 축적량이 많았다. 그러나 하고초와 갈근 혼합 증류액 처리군은 여타 비만유도군들 보다는 지방 축적량이 적었다. 간장조직 및 신장조직의 지방축적 상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세 기관 모두, 지방축적량이 증가할 경우는 일부 조직에서 울혈상태를 나타내거나 혹은 핵의 형상이 비정상적인 형태를 취했다.
        318.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근의 생리활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HMG-CoA reductase 저해능과 in vivo 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유발된 흰쥐의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효능을 실험하여 검토하였다. In vitro 에서 연근 에탄올 추출물은 HMG-CoA reduct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In vivo 에서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효과는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정상식이만을 급여한 NC군에 비하
        319.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각 추출액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각 처리군 별 유리지방산의 농도는 청각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Triglyceride 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청각 처리군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며, 청각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했다. 혈액 내 total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농도는 청각 처리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HDL-cholesterol량은 대조군을 비롯하여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내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량은 청각 처리군 모두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 정상군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 농도는 청각처리군 모두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정상군의 수준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GSH-Px의 활성치는 청각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0mg/kg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의 활성치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SOD 활성치는 청각처리에 관계없이 정상군을 비롯한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CAT의 활성치는 청각 처리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