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3

        304.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atistical SO_2 forecasting technique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esigned and developed to predict SO_2 concentration in Wonju City. SO_2 concentration data measured from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eorological factors data such as : wind speed, atmospheric stability, surfac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recipitation were used in Wonju City during the 1996∼1997. As the results, correlation model for forecasting was well fitted with some parameters including minimum temperature, wind speed and the SO_2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day.
        305.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hundred and thirty two ground water samples from the Ulsan area were divided into urban and non-urban groupings and were assessed between 1993 and 1996.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ings in the average value of the following water quality parameters: total hardness, nitrate, pH, iron, ammonia and chloride ion in the order of Z-score. Because total hardness, nitrate, and pH were also significant in ANOVA test, these three parameter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sensitive parameters of artificial pollutants. By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of Ulsan water quality to that of Kangwon-do, all of the major parameters(pH, KMnO_4 consumption, sulfate, chloride and hardness except nitrate) were confirmed as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306.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change point of the precipitation in Pusan area using the several statistical approaches. The data concerning rainfall are extracted from the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and monthly weather report issu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at Pusan is 1471.6 ㎜,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406.0 ㎜, less than the normal(1486.0 ㎜). The trend of the annual precipitation is continuously decreasing after 1991 as a change point. And the statistical tests such as t-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reveals that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f after 1991 is less than that of before 1991 at 10% significance level. And the mean annual precipitation in Kyongnam districts is also continuously decreasing after 1991 same as Pusan.
        307.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investigating heavy metal contents at specific areas, the method of selecting sampling points is important. A general method is, according to the law , random sampling of zigzag-form in the selected field. In this work, we studied whether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a certain method of selecting sampling points is a representative of heavy metal contents in the selected field or not. The selected field for this study is located on the lower Yangsan-river; Gasan-li, Mulgum-myon, Yangsan-gun, KyoungNam. 1 km away from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The heavy metals investigated were Cd, Cr, Cu, Fe, Mn, Ni, Pb, and Zn.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se metals quantitatively. The number of total sampling points were 24. We compared the total mean values with the mean obtained from various methods of selecting sampling points.
        308.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생산비 절감을 위한 성력재배의 측면에서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 보급되고 있는 건답 직파재배 안전성을 기후적으로 검토하고자 출아 조한의 파종기 결정에 대한 유효기준온도인 일평균기온 10℃ 출현초일과 80% 출현시기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가. 연차간('73~'92, 20년간) 변이는 일수로서는 약 20~30일, 표준편차(SD)로는 약 5~7일의 차이가 있었고, '88년 이후는 평균 출현초일보다 빨라져 영농면에서 큰 관심이 되고 있음. 나. 지역별 분포(기상청 관측의 56개 지점 분석)는 북부(대관령, 5월 1일)와 남부(부산, 3월 30일)간에는 약 30일 이상의 출현시기에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의 기후자원량 분석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음. 다. 일평균기온 10℃ 평균 출현초일은 80% 출현 시기보다 약 10일 정도 빠른 경향이며 라. 19개의 수도재배농업기후지대별 평균 출현초일과 80% 출현시기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다시 단순화시켜 구분하면 19개 지대는 7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음.
        309.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gainst to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 caused by the typhoons by mean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nsities of the typhoons and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The data are extracted from the "TYPHOON REPORT OF KOREA" and the "TYPHOON WHITE BOOK" issued by the Central Meteorological Offi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nnual mean frequency and the total number of the typhoon causing the disasters during 30 years (1956∼1985) are 2.2, 65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number appears in August followed by September and the third is July. And the degrees of themeteorolgocal disasters are alsio the same order. (2) The more serious disasters occurred by the TS degree typhoons, and the TS degree typhoons occupy the highest frequency. (3) The more serious disasters occurred by the TS degree typhoons, and the TS degree typhoons occupy the highest frequency. (3) The meteorological disaster per typhoon is most severe in August, and the July and September are alike in the degree of the disasters per typhoon. (4)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are approximately a proportional relation to the intensities of the typhoons. (5) The frequency of the Rain typhoon , Wind typhoon and Rain·Wind typhoon are about 2 : 1: 3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respectively. And the severe disasters occur more frequently by the Rain typhoon than by the Wind typhoon.
        310.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색종잎담배의 추엽 품질등급별 수량 비율과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평균기온의 경우 1,2 등엽 수량비율은 4월 하순 및 7월상순의 특성치와 5%, 5월하순의 특성치와는 1% 수준의 부상관을 나타냈다. 2. 최고기온의 경우 1,2등엽 수량비율은 5월 하순에서부터 7월상순까지의 순별 특성치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최저기온의 경우는 1,2등엽 수량비율은 4,5하순의 특성치와 1% 수준의 부상관, 5월상순, 6월상순, 7월중순의 특성치와는 1% 수준의 정상관을 나타냈다. 4. 평균기온의 영향도순위는 4,5 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정방향은 7월하순 > 5월상순이고 부방향은 5월하순과 7월상순이였다. 5. 최저기온의 부방향 영향도순위는 4, 5 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5월상순 > 6월상순 > 6월하순이였다. 6. 일조시수는 1, 2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4월중순과 7월중순을 제외한 전생육시기의 순별 특성치와 유의상관을 나타냈다. 7. 일조시수의 정방향 영향도순위는 5월하순 > 4월하순 > 7월하순 > 7월중순이였고 부방향 영향도순위는 6월하순 > 5월상순 > 6월중순 > 5월중순이였다. 8. 강수량은 1, 2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정방향 영향도순위는 6월하순 > 7월중순 > 7월하순이고 부방향 영향도 순위는 4, 5월하순이였다.
        311.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잎담배품질(등급별 수량분포비율)에 관여하는 개별 기상환경요인의 영향도 및 관계를 시기별로 분석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엽 고품질인 1∼2등엽의 수량분포비율은 34.6%이고 저품질인 4∼5등엽은 40.4%이었다. 2. 품질등급별 수량분포비율의 년차변이는 5등엽에서 가장 높았고 2등엽에서 낮은 변이를 나타냈다. 3. 기상환경요인중 시기별 년차변이는 강수량과 일조시수에서 높았으며 최고기온에서 가장 낮았다. 4. 강수량은 6월 상순 > 5월 하순 > 6월 하순순으로 년차변이계수가 높았다. 5. 일조시수는 7월 하순 > 6월 하순순으로 년차변이계수가 높았다. 6. 고품질엽의 수량분포비율에 미치는 시기별 기상요인의 영향도를 보면, 가) 평균기온 : 정방향으로는 5월 하순과 중순에서 영향도가 크고 부방향으로는 5월 하순과 6월 상순에 크게 나타났다. 나) 일조시수 : 정방향으로는 6월 중순 > 6월 하순 > 5월 하순순으로 영향도가 크고 부방향으 영향도순은 5월 상순> 5월 중순이었다. 다) 강수량 : 정방향의 영향도순위는 5월 상순 > 5월 하순 > 5월 중순이고 부방향은 6월 중순과 6월 상순에서 영향도가 크게 나타았다.
        312.
        198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ime to time the light weight distribution has been discussed, It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preliminary design state because of its influence on the available deadweight. Up to the past, the Light weight distribution acting on the ship has been estimated graphically by means of integraph or approximately by the simplified calculations. Recent development has made it possible to use Lloyd's coffin method or Robb's coffin method for Bulk Carrier, Tanker, Cargo ship where the hull weight is distributed based upon the CB The hull weight distribution is then super-composed by number of fixed weights(i.e. machinery , equipment, etc.) The authors built up the method by which the Light weight distribution is calculated using a computer. In the usual calculations, the higher accuracy is aimed at, the longer time would be taken, therefore the accuracy would not be so good as to be expected if the time is restricted. The method using a computer can dissolve these and calculated accurately in shorter time the Light weight distribution with less data.
        313.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맥의 육종에 있어서 곡립형질의 효율적인 선발자료를 얻고자 2조대맥 10품종을 공시하여 곡립형질의 유전력, 유전적 획득량, 상관관계, 경로계수등을 통계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곡립형질들 중에서 곡피 (H=0.886), 분상질(H=0.848), 곡립형성비수(H=0.823)등은 유전력이 높고, 수량(H=0.526), 곡립폭(H=0.420)등은 유전역이 비교적 낮았다. 2. 기특되는 선발효율은 곡피(52.7%), 분상질(31.8%), 선입률(23.0%), 등이 높고, 곡립장(6.2%), 곡립폭(3.7%), 곡립후(8.7%) 등이 낮았다. 3. 맥주의 품질을 위하여 선발의 대상이되는 실용형질중 천립중, 분상질 Protein간의 상관관계는 다소유의성이 있었으나 곡립형질과 수량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천립중, 곡피 및 수량의 선발은 이들에 대하여 직접효과가 큰 곡립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선발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보였다. 5. 분상질 및 Protein을 위한 선발은 곡립후, 곡피 등과 수량간의 부의 간접효과를 개선하고 수량의 직접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