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2

        321.
        2001.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eus forskohlii Briq, of the family Lamiaceae yields a valuable secondary metabolity known as forskolin which is a labdane diterpenoid.. Coleus forskohlii is the only known source of this compound. Forskolin is used i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congestive cardiomyopathy and asthma. Morphogenic callus was induced from young leaves on MS medium augmented with NAA and BA. These calli, when subcultured on MS with KN alone gave rise to shoots. The regenerated shoot developed good root system on MS medium fortified with NAA. The fully grown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soil for acclimatization. Coleus plant is mainly infected by a fungi Lasiodiplodia theobromae which causes root rot disease. The fungal culture filterate (ECE) of Lasiodiplodia theobromae, has been used in regeneration media to find the MIC and further to select resistant plants to the pathogen. In the present study 40% ECF in the medium showed maximum inhibition and is there fore considered as the MIC level of Coleus forshohlii. This data could prove to be useful for the future for selecting a resistant C.forskohlii plant against the root disease caused by L. theobromae.
        322.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carbenicillin on the dedifferentiation an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f plant tissues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was evaluated, Inhibition effect for callus initiation was observed when leaf blade, root and petiole segments were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500 mg/L to 2000 mg/L carbenicillin and 0.5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The regeneration of horseradish shoots from leaf blade, root and petiole explants were decreased as the addition of carbenicillin increased from 1000 mg/L to 2000 mg/L i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of 6-benzylaminopurine (BAP) or kinetin. Especially, 500 mg/L carbenicillin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shoot induction when leaf blade explants were grown on hormone-free MS medium. It was suggested that the toxic effects of combinations of carbenicillin and 2,4-D may be due to high auxin activity levels.
        323.
        2000.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Korean native Seosanjong of ginger(Zingiber of officinale Rosc.) were induced through stem explants taken from in vitro shoot-tip cultures. Among the four concentrations of 2,4-D tested in Murashige and Skoog medium, 0.5 and 1 mg/L of 2,4-D was most effective in inducing embryogenic callus. Leaf explants did not express any new morphogenetic response in all 2,4-D concentrations tested. Plantlets transferred to hormone-free MS medium were developed and successfully acclimatized under greenhouse.
        324.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개화특성과 화기구조를 관찰하고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내 생장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병의 형성은 국내종은 서산종, 도입종은 태국종에서만 출현되었으며 화뢰당 소화형성은 서산종 8개, 태국종이 10개 형성되었으나 종자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개화기는 8월 18일에서 8월 25일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났고 1일중 개화시각은 오후 4시-5시 사이에 대부분 개화하였다. 3. 꽃은 장주화로서 주두상단에는 섬모가 나 있으며 수술은 연착약, 배낭내 태좌는 증축태좌 형태를 나타냈다. 화분은 원형과 타원형이 혼재되어 있으나 원형이 많았으며, 화분막은 2중 구조였다. 4. 약 유래 캘러스 형성에는 CM배지가 좋았고, 캘러스로부터 기관분화는 MS배지에 BA 2mg/l 를 첨가한 재생배지에 이식 후 40일경부터 부정근이 먼저 출현되고 배양 60일 후에는 줄기와 뿌리가 완전 분화된 정상적인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326.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더덕 (Codonopsis lanceolata)의 자엽기의 체세포배 는 생장조절제 를 함유하지 않은 MS고체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되었다. 체세포배로부터 줄기 재분화에는 2% sucrose가, 뿌리의 분화에는 8% sucrose가 가장 좋았다. 줄기의 생장은 2% sucrose가, 뿌리의 생장은 4% sucrose 농도에서 가장 좋았다. 자연산 더덕뿌리, 재분화 개체의 뿌리, 배발생 캘러스, 비배발생 캘러스에서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조사한 결과 각 조직간의 물질 함량은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고농도의 sucrose 함유 배지에서 재분화된 뿌리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자연산뿌리와 비슷하였다. 세포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의 유용물질 생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27.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탁배양에 의하여 fusaric acid 저항성인 세포주를 선발하고, 선발된 세포주들의 fusaric acid 저항성, 저항성의 안정성 및 식물체 재분화 능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20개의 세포주의 저항성 정도는 세포주에 따라 상이하였으나, 일반적으로 fusaric acid 감수성인 세포주보다 fusaric acid가 첨가된 배지에서 높은 캘러스 생장을 보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RF-9, RF-11, RF-15는 100 μM에서도 70% 이상의 높은 캘러스 생장을 나타냈다. Fusaric acid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5주 동안 계대 배양한 후, fusaric acid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10 μM에서는 모두60% 이상의 생장율을 나타냈으며, 100 μM에서는 약 30%에서 80%까지 생장이 억제됨을 보여 농도가 높아질수록 캘러스 생장 억제 정도가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Fusaric acid 저항성 세포주들의 식물체 분화능력은 세포주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50 μM fusaric acid 농도에서도 13개의 세포주들이 1개 이상의 줄기가 분화되었고 두개의 세포주는 분화가 되지 않았다.
        328.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 of Colocasia esculenta Schott. Effect of supplemental plant growth regulators and genotype difference were investigated on dormant bud tissue for proliferation. The plant regeneration ratio,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the best upon mixed treatment of 0.8mg/L IAA and 2.0mg/L zeatin. Both leaf weight and root weight were heavy upon culture in a dark condition. The leaf and root weights were heaviest in 6Pie sucrose concentrations. In several collected area the heaviest one was Binnangxin and then in the order of Suwon, Wanju and Puan. Genotype differences of tuber diameter and tuber weight were found in Suwon. Tuber weight was found in the order of Suwon (862mg) >Wanju(723mg) >Puan(649mg) >Binnangxin (424mg).
        329.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탱자의 미성숙배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재분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탱자 배발생 캘러스들은 3% sucrose와 44.4 μm BA로 처리된 ½MS배지에서 광조사(2,000 1x, 16h)시에 미성숙종자의 배로부터 유도되었으며 식물체 재분화는 MS배지에 5.0 μm BA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탱자는 배양2~3주경에 담황색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배양5~6주경부터는 딱딱한 녹색의 캘러스로 변하였다. 기내 재분화는 3% sucrose와 5.0 μm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직접 유도되었다. 또한 배양 12주 후에 Multishoot가 재분화되었으며, 배양 16주 후에 뿌리가 형성되었다. 또한 뿌리가 형성된 식물체들은 토양으로 옮겨져 완전한 식물체로 잘 자랐다. 광학 현미경 관찰시 탱자에서는 배양4주경에 하얀색의 조밀한 배양된 세포들이 나타났다. 배양6주경부터는 세포들이 신장되면서 배발생 돌기가 나타났으며 주변의 세포들은 액포화 되었다. 또한 배양12주경에는 미성숙 잎에서 발달된 유낭과 전형성층을 관찰하였다.
        330.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using in vitro plantlets of germinated seedlings from different cultivars of lettuce (Lactuca sativa cv. Chongchima, Chongchuckmyun, Jeokchima, Jeokchuckmyun). Shoot formation were observed from all cultivar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and 0.5 mg/L BA. In all cultivars, when cotyledon was cultured, the number of shoot per explant was more greater than that hypocotyl and leaf disc were cultured. Shoot formation rate (91.7%) was high in a cotyledon culture of cultivar, Chongchukmyun. The growth of multiple shoots derived from the cultivar, Chongchukmyun, was most effective on medium containing 0.5 mg/L BA and 1.0 mg/L GA3. When shoots were transferred on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roots were effectively differentiated. Rooted plantlets were acclimated on pots for further propagation.
        331.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allus from the hypocotyl region of immature embryo of Citrus junos Sieb. was efficiently induced in the ½ MS medium containing 45uM BA after 8 weeks culture. The callus was developed into the two callus type, embryogenic callus and nonembryogenic callus,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visual examination depending on color and appearence. In vitro regeneration of callus established efficiently in the hormone-free MS medium from the embryogenic call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change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embryo, the embryo was formed in the MS medium. The embryogenic and nonembryogenic callus, and the various stages of the somatic embryo were examimed the changes of esterase activity, and their isozyme patterns as well. The protein content and esterase activities was gradually incre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mbryo. Total protein pattern were different by the SDS-PAGE and were appeared strong band of 23 KD in the torpedo stage. The pattern of the esterase isozyme was exhibited a difference between embryogenic callus and nonembryogenic callus. It was appered pI 6.0, 8.0, 8.2 in the embryogenic callus. Also the new band of pI 4.75 was appeared in the cotyled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of esterase activities and isozyme patterns are importen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citrus.
        332.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vitro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derived from germinating mature Impatiens seeds. The induction of organogenetic tissue was also influenced by the cotyledon and hypocotyl.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higher in hypocotyl than in the cotyledon explant with Thidiazuron and a NAA medium.
        333.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산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runus yedonesis)의 미성숙 접합자배로부터 체세포배를 직접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들 직접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 시킬 수 있었다. 0.1mg/L GA3 와 0.1mg/L BAP 또는 0.5mg/L GA3와 0.1mg/L BAP 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고 80~93%로 체세포배가 직접 발생하였으며, 그 중 정상적인 구형 또는 심장형의 체세포배 비율은 43~58%, 자엽상의 비정상적인 체세포배 비율은 42~57%로 나타났다. 자엽상의 비정상적인 체세포배는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계대배양하면 16주 이후부터 신초가 다수 발생되었고, 이들 신초들은 0.5mg/L I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80% 이상의 발근을 보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또한 종자 성숙 시기에 따라서 정상적인 체세포배는 만개 후 30일된 종자의 접합자배에서 전체 62.5%가 직접 발생되었으나 45일된 종자의 배에서는 37.5%가 발생되어 종자가 성숙할수록 체세포배의 직접적인 유도율은 점차 낮아졌다.
        334.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ica 벼의 원형질체들로 부터 효과적인 식물체 재분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배형성 진탕 세포 배양체로 부터 나출된 원형질체들을 feeder cell들이 agarose에 embedded된 배지 표면에 놓인 filter membrane 위에 배양하는 것이다. Feeder cell로서 Lolium multiflorum 세포배양체를 사용했을 때가 Oryza ridleyi를 사용했을 때보다 효과적이었고, 원형질체 평탄효율은 세포 배양체 age에 따라 달랐지만 최고로 0.68% 까지 증가되었다. Carbohydrate source로서 maltose를 사용하거나 maltose와 sucrose를 1:1로 조합했을 때가 sucrose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고, 고농도의 agarose를 이용하여 원형질체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dehydration시켰을 때 또한 재분화율이 괄목하게 증가되었다. 식물체 재분화율은 control 캘러스로부터 3.1∼30.6% 였지만 dehydration처리한 캘러스로부터는 30.7∼70.7%까지 증가되었다. 원형질체로 부터 유도된 식물체들은 형태적으로 정상이며 개화했다.
        339.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amines, salt strength. sucrose and gelling agents on the regeneration of plantlets by meristem culture of Aloe arborescens Mill. and Aloe vera L.. Shoot multiplication was more effective when 10mg/ l spermine in Aloe arborescens and 1mg/ l spermidine in Aloe vera added into MS medium than when other polyamines were treated into media. A quarter strength of MS medium was effective for rooting of shoots regenerated.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45g/ l) was more effective for shoot regeneration. Addition of 4g/ l gelrite into the medium was effective for in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Aloe than that of agar or other concentrations of gelrite. When plantlets regenerated from meristem culture were transferred to pot. survival rate of plantlets was 80% on perlite and was 95% on vermiculite. respectively.
        340.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배양을 통해 유도된 벼의 품종 Zhonghua 8의 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를 유기한 캘러스로부터 현탁배양을 실시하였다. 원형질체 분리 는 이러한 현탁배양된 캘러스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오래되고 미세한 현탁배양세포를 사용했을 때 어린 현탁배양세포보다 원형질체 나출율이 증가되었다. 원형질체는 feeder cell 없이 agarose embedding 방법에 의해 0.5 mg l01 2,4-D, 1.0mg l1 NAA와 0.5 mg l1zeatin이 첨가된 KPR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분열이 일어났으며 microcalli가 형성되었다. 원형질체의 plating 효율은 0.20~0.54% 범위로 나타났으며, 원형질체로부터 유도된 microcalli는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 2.0 mg l1 kinetin과 0.5 mg l1 NAA가 첨가된 MS 배지에 옮겨 주었다 실물체 재분화 빈도는 현탁배양의 line에 따라 2~l2%였다. 원형질체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온실에서 종자를 맺었다었다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