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8

        341.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유발된 횐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400 mg/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고,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중 ALT와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342.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 순천지역 들판에서 채취한 수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살펴보았다. Rancimat와 TBA 방법을 이용하여 국화과 식물 중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을 선발하였다. 유지 산화안정도에 대한 실험에서 BHT와 ascorbic acid가 각각 3.86과 2.43 AI(Antioxidative Index)를 나타냈고 한련초 잎이 1.51 AI를 나타냈다. 이것은 서양민들레 잎이 유지산화안정도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한편 건조된 분쇄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산화 억제에 대한 TBA실험에서 저장 4주 째에 BHT, ascorbic acid가 각각 0.05와 0.09 TBARS치를 나타낸 반면, 서양민들레 잎은 0.12의 수치를 나타내 대조구 1.01 TBARS치 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를 보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 등의 국화과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식물체들은 기존의 인공 항산화제에 대한 하나의 대체수단으로서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 을 시사해 주었다.
        343.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에 자생하는 삼지구엽초와 중국산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삼지구엽초의 항산화활성은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는 증류수와 에탄올 1:1 혼합용매 추출물에서 7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2. 간암, 폐암, 유방암 세포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국내산에서 각각 85, 91, 85%로 나타났으며 이 추출물을 0.4g/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 정상세포의 생존율은 70% 이상으로 유지되어 세포독성이 낮았으며 국내산이 중국산 보다 면역증진능이 높고 혼합용매 추출물에서 254%의 활성을 나타냈다. 3. 삼지구엽초 추출물들에서는 돌연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항돌연변이성은 낮게 나타났다. 4. 간 기능 증진효과는 국내산이 124%의 활성을 보여 중국산보다 높았다. 5. 고혈압 관련인자의 작용에서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관련효소(ACE)에 대한 활성억제율이 높았고, 혈당 상승 관련효소 (α-glucosidase)에 대한 활성억제율은 87%였으나 국내산과 중국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이러한 결과로 국내산 삼지구엽초는 중국산에 비해 항산화, 항암, 간 기능 증진, 고혈압 억제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높아 생약으로서의 활용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34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HCT) administration on the biochemical parameters of function in liver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treated rats. Houttuynia Cordata thunb (200mg/kg) was administeres into rats intraperitoneally for four weeks , seven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CDD(1㎍/kg). We examined the antioxidative enzymatic activity by measuring the level of AST, ALT , SOD and Catalase in serum and liver tissue of rats. HCT group showed 49% of inhibitive effect in AST activity compared to TANO group. ALT level of HCT group was decreased to the level of NO group. SOD and Catalase in TANO group were lower than in NO group, but SOD and Catalase in HCT group were increased by 46% and by 50% respectively compared to TANO group.
        345.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추출물 단독의 항산화 활성과 홍삼추출물에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와 복분자(Rubus coreanus Miq.) 추출물을 농도별로 보충 급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 Dawley rat에 이들 추출물을 8주간 섭취시킨 후 희생시켜 간장 cytosol중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T 등의 항상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급여군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특히 홍삼 단독보다는 삼백초와 복분자를 보충급여시 상승효과가 높았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높았다.
        34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 보존제,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 신소재의 발굴을 위한 전단계로서 국내산 약용식물 160종 209점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및 linoleic acid 과산화 저해 등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13.5μg/ml의 RC50을 보인 α-tocopherol을 대조구로 하였을 때 쥐손이풀 지상부, 뱀무 지상부, 이질풀 지상부, 오동나무 잎이 각각 19.3μg/ml, 22.5μg/ml, 23.9μg/ml, 및 27.2μg/ml로서 우수하였고, linoleic acid과산화 반응에 대해서는 고로쇠나무 잎 등 38점의 식물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4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amine the mechanistic basis for differential sensitivities to chilling and subsequent recovery between two rice (Oryza sativa L.) cutivars, a chilling-tolerant japonica type (Ilpumbyeo) and a chilling-susceptible indica type (Taebaekbyeo), changes of physiological responses and antioxidant enzymes were investigated. Both cultivars at 3 leaf stage were exposed at a low temperature of 5~circC for 3 days and subsequently recovered in a growth chamber at a 25~circC for 5 days with 250 mmol m-2 s-1 .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leaf fresh weight, relative water content, cellular leakage, lipid peroxidation, and chlorophyll a fluorescence showed that the chilling tolerant cultivar had a high tolerance during chilling. However, the chilling-susceptible cultivar revealed severe chilling damages. The chilling-tolerant cultivar was also faster in recovery than the chilling-susceptible cultivar in all parameters examined. We analyzed the activity and isozyme profiles of four antioxidant enzymes which are: superoxide dismutase (SOD), caltalase (CAT),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glutation reductase (GR). We observed that chilling-tolerance was due to a result of the induced or higher antioxidant enzyme system, CAT and APX in leaves and SOD, CAT, APX, and GR in roots. Especially, we observ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illing-tolerant cultivar and -susceptible cultivar in CAT and APX activity. Also in isozyme profiles, CAT and APX band intensity in the chilling-tolerant cultivar was distinctively higher than in the chilling-susceptible cultivars during chilling and recovery. Thus, the cold stability of CAT and APX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tolerance mechanism of chilling in rice plants. In addition, the antioxidative enzymes activity in roots may be more important than in that of leaves to protect chilling damage on rice plants.
        349.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천연 항산화제를 찾아내기 위해 42종의 한약재를 대상으로 항산화능을 검색하였으며 그 결과 DPPH에 대해서는 가자, 소목, 지유, 복분자, 초두구 등이 Linoleic Acid 과산화에 대해서는 정향, 양강, 건강, 창이자, 괴화, 마두령, 초두구 등이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DPPH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던 가자, 소목, 지유, 복분자, 초두구 등의 LDL 산화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한 결과 5가지 한약재 모두 알파토코페롤보다 높은 효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자는 실험된 42종의 한약재 중에서 DPPH 소거능 (3.08 μg/ml)이 가장 높았으며 이 값은 알파-토코페롤의 (13.52 μg/ml)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였고 LDL 산화 억제 효능에 있어서도 21.55 및 (43.1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53% 및 73%로서 알파-토코페롤의 21% 및 23%보다 2~3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350.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
        351.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352.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
        353.
        2002.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terial of Rhodiola sachatinensis collected from an alpine region of the west-northern China. For analysing the effect, 1 used Rhodiola sachatinensis's rhizome and cultivated callus. In EtOAc, BuOH, H2O separation the plan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ut not in Hexane.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EtOAc(RC50,35(g), BuOH(RC50, 43(g), H20(RC50, 50(g) fraction and MeOH extract(RC50, 50(g) of the Rhodiola sachatinensis was comparable to that of synthetic antioxidant BHA(RC50, 14(g) and α-Tocopherol(RC50, 12(g).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ere 18,009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val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as 46.93%.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ere 32,435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valine, histidine, lysine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as 56.07%. was 56.07%.
        354.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재배한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 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의 물추출물에서 37∼47%였으나, 에탄올추출물에서 57∼70%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자실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 ppm에서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19∼48%로서 균사체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55.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fty-four Korean native and 28 foreign rice varieties harvested in 1998 and 1999 were examin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that is measured to a chemiluminescence and superoxide radical intensity, by the flow injection chemiluminescence (FI-CL) system and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In the chemiluminescence measurement by FI-CL, radical scavenger activ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rice varieties between origin types of rice varieties, and between storage periods. GinSun and Hongchoengdo, colored rice exhibited high electron scavenging effect by ESR.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gments of rice varieties may play important antioxidative roles and that it may be possible to breed rice varieties with higher antioxidative potentials.
        356.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첨가 해물만두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시판 만두, 해물만두 및 20% 김치첨가 해물만두 추출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간접돌면변이원으로 알려진 aflatoxin B을 첨가한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및 YG 1024에 만두 추출물을 5 mg/plate 농도로 처리한 후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 20% 김치첨가 해물만두의 돌연변이 저해율이 47% 및 61%로
        358.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ohenolic compound from extract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were water-soluble extract 7.98%, methanol extract 12.30% and ethanol extract 11.63%. The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at the levels of 0.5% were higher than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BARS(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issues microsome induced with Fe++/ascorbate,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errdctively suppressed in liver and spleen. I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thiocyanate method against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but BH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showed to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35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36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β-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50 = 0.5μg/ml이하)와 줄기 (RC50 = 0.5μ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 ~ 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β-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β-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β-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β-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