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6

        36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앵초, 설앵초와 애기나리를 인위적으로 저온 처리하여 조기에 휴면 타파시켜 동계 생산에 필요한 저온요구시간을 구명하고자 저온시간을 각각 300, 500, 700, 900시간으로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 앵초는 700시간이상, 설앵초와 애기나리는 모두 500시간 이상 저온(5℃)을 받으면 화경장이 신장되고 개화율도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휴면이 완전히 타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앵초, 설앵초와 애기나리의 동계생산을 위해서는 5℃의 저온에 500~700시간 이상을 두었다가 온실로 옮겨 재배하면 2월 상순에 분화상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362.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alpine plants have speci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echanisms in addition to their structural adaptation in order to survive under extreme conditions. The photosynthetic organs of Pinus pumila were used to examine the seasonal changes in sugar concentration, antioxidative enzyme, and lipid peroxidation. The concentrations of sucrose, glucose, fructose and reducing sugar were the highest in the leaves in April. But sugar contents in buds and inner barks did not respond sensitively on temperature change. Meanwhil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responded sensitively on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SOD in all tissues maintained high activity in April. Meanwhile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rapidly in June but the increase of anthocyanin content was not enough to prevent their tissues from the damage by the exposure of high temperature or other stress. In conclusion,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P. pumila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oluble sugars and SOD activity in their tissues in order to overcome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 But in summer, these stress defense system against high temperature might be disturbed slightly. This results in the increase of malondialdehyde (MDA) contents in three tissues by lipid peroxidation.
        36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황 (Ephedrae Herba)과 복분자 (Rubus Fructus)의 추출 수율은 60℃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100℃ 물 추출물에 비해 1.6배 이상 높게 추출되었으며, 이는 추출 시 초음파 처리에 의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작용으로 인하여 기존의 고온 물 추출보다 호율적인 추출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 면역 세포는 마황, 복분자 60℃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1.0g/l 농도에서 각 1.64, 1.68배 이상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이 관찰되었고, 단순 100℃ 물 추출물 보다 평균 30% 이상의 생육 증진을 확인하였다. 면역 세포의 생육도는 복분자의 60℃ 초음파 추출물들이 각각 T, B 세포에서 13×104 cells/ml와 10×104 cells/ml을 나타내어 단순 100℃ 물 추출물의 경우와 비교하여 4일째에 높은 면역 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cytokine의 분비 실험에서는 T세포의 IL-6는 복분자 60℃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13.9×10-4 (pg/cell)로 가장 높은 분비 효과를 나타내었고 물 추출물에 비해 70%의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100℃ 열수추출물들보다는 60℃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인간 면역세포인 T 세포의 IL-2를 비롯한 유용활성 물질의 분비를 촉진시켜, 물 추출물보다 20% 이상의 활성 증가를 보였다. Macrophage의 NO- 활성 실험에서 복분자는 물추출물은 15μM와 초음파 추출물은 22μM을 나타내었고, 복분자와 LPS의 혼합처리 시 23μM와 31μM을 나타내어 복분자가 가장 높은 활성을 그리고 초음파 병행 추출에 의한 시료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초음파 병행 추출을 통한 생리활성 효과를 확인하였고, 이외의 새로운 공정의 개발을 위한 추출방법을 확립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66.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of O-J-I-P trans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leaves of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smanthus insularis, Chloranthus glaber and Asplenium antiquum)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in winter, in order to select the stress indicators for diagnosing physiological states of plants under low temperature. In the O-J-I-P transients of these species,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O-step and lower in P-step in winter than in summer. Particularly,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P-step in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three plant species, indicating that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is the most sensitive to low temperature. Of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derived from O-J-I-P transients of four subtropical plants, Fm, Fv/Fo, ABS/CS, TRo/CS, ΦPO and ΦPO/(1-ΦPO)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Fo, Sm, N, ETo/CS, ETo/RC and Ψo/(1-Ψo) depending on temperature drop in winter. Therefore, these parameters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estimating low temperature stress and diagnosing physiological states of plants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in winter.
        368.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related with low temperature germination and emergence in rice.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s) 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a cold-susceptible Tongil-type rice var
        36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ty-four F1 hybrids derived from crosses among eleven temperate japonica rice cultivars were grown and evaluated for traits related to cold tolerance including days to heading and spikelet fertility in the cold-water irrigated plot (17℃) and
        37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2O5/TiO2 catalysts promoted with Mn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in NH3. The effects of promoter content, degree of catalyst loading were investigated for NOx activity while changing temperatures, mole ratio, space velocity and O2 concentration. Among the various V2O5 catalysts having different metal loadings, V2O5(1 wt.%) catalyst showed the highest activity(98%) under wide temperature range of 200-250℃. When the V2O5 catalyst was further modified with 5 wt.% Mn as a promoter, the highest activity(90-47%) was obtained over the low temperature windows of 100-200℃. From Mn-V2O5/TiO2, it was found that by addition of 5 wt.% Mn on V2O5/TiO2 catalyst, reduction activity of catalyst was improv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atalytic activity and NOx red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NOx removal decreased for 10%, but the reaction temperature down to 100℃.
        37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백석이 주성분을 이루는 포항 지역산 규질 이암을 합성원료로 하여 80℃의 온도 조건에서 10∼15%농도의 TMAOH 및 TMAOH+NaOH 용액으로 수열 반응시켜 유기 스멕타이트를 합성하였다. 이 실험에서 NaOH와 TMAOH의 혼합용액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스멕타이트 의에 NaP와 하이드록시소달라이트가 함께 합성되는데 비해서, TMAOH 용액만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이들이 수반됨이 없이 스멕타이트만 생성되었다. 합성된 스멕타이트는 X-선회절 분석, 시차열분석 및 적외선 흡광 분석을 통해서 결정구조상의 층간에 TMA+ 이온이 개재된 몬모릴로나이트 계열의 유기 스멕타이트인 것으로 밝혀졌다. 스멕타이트 생성을 조장시킨 주요 반응 모질물은 단백석으로 밝혀졌고, 이 유기 스멕타이트의 골격 성분인 Al의 공급원으로서는 원료 물질 내에 상당량 함유되는 퇴적물기원의 스멕타이트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석영과 운모는 대부분 이 합성반응에 관여하지 못하고 반응산물 내에서 주요 불순물로서 잔존된다. 이 같은 실험 결과들은 앞으로 이 합성 반응계에 적합한 Al 공급원이 동원될 수 있다면 저온(100℃ 이하)에서 이 이암을 원료로 하여 새롭고 효과적인 유기 스멕타이트의 수열합성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72.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low temperature- and light stress-induced genes of Hordeum vulgare L. cv. Dongbori #1,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was performed with mRNAs from leaf samples that treated with low temperature (4℃) and extremely high light de
        37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d acclimation of plants is a highly active process resulting from the expression of a number of physiological and metabolic adaptations to low temperature. Major metabolic changes in carbohydrates, protein, nucleic acids, amino acids, and growth regula
        374.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1,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홍삼을 제조하여 당과 색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경과에 따라 저장전의 62.71%에서 저장 10주째는 54.58%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저장전 11.69%에서 약간 감소하여 7주째는 9.92%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는 저장전 0.47%에서 점차 증가하여 10주째는 4.70%로, glucose와 suc
        37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β-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β-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β-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 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β-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β-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β-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