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 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없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도 잡무가 많아서 수업준비를 할 시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사이에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었다. 이러한 실태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선배교사들은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시보교사 제도 도입과 교사 협의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입문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논의하였다.
        4,300원
        2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hildren's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to help the school age children to have right nutrition knowledge, they are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to teach due to the lack of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basic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nutri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didn't get good marks in nutritional knowledge, food and cooking method knowledge and sanitary knowledge, as the collective averages in those areas were respectively 56.08±14.80, 60.52±10.95, and 45.25±16.13. Sixty seven percent of respondents the largest group, acquired nutritional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but they wanted to be given teach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educational materials(49.0%). More than 70 percent believed that nutrition should be educated by nutrition teachers (p〈0.01), and as for what should be handled in nutrition education, they thought that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build the right eating habits (59.5%). Based on the results, a sequenti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grades of 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ed of five different categories,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was designed to deal with the knowledge of teachers on nutrition, food, cooking method and hygiene, table manners and food-borne illness.
        4,000원
        28.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4단계의 연구절차가 수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관련된 국내ㆍ외 문헌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11명), 대학교수(4명), 유치원 교사(13명)을 인터뷰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학과의 특성화 방향을 반영하여 핵심역량을 개선하고 수정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B시, U시, G도의 영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필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누락된 답변이 없는 124 부의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분석하였고, 각 분석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10개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과의 인재상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핵심역량으로 교직윤리, 의사소통, 영유아이해 및 지도, 영유아교수학습, 교육평가의 이해 및 활용, 영유아교육 기관 운영, 창의적 문제해결력, 예술적 감수성의 8개 핵심역량을 확정하고 전문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8개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29.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에게 교직 생애 처음으로 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경험기를 평가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그들의 솔직한 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학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경상북도 시 지역의 신규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모아 Spradely의 주제분류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기 전, 이 제도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진 교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들은 선배교사들의 이야기는 모두 부정적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전 지식은 없었지만 전문성 신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며, 수업 능력과 학급 경영에 관해 평가받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며 기대 반, 걱정 반의 이야기를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이후, 신규교사들은 받은 결과를 읽고 평가를 받고나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동료 교원 평가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전문성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습 내용 추가, 신규교사 대상 임용연수에서 제도에 대한 연수 확대, 동료 교원 평가는 축소하되 학생 평가는 확대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의 목적을 살릴 수 있도록 문항을 구체화하고 교육활동 소개자료 및 능력개발계획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순기능을 살리고 학교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줄일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30.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교사로 하여금 맞춤형 수업을 실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개발,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선행 연구 분석에 근거하여 맞춤형 수업의 기본 틀로서 첫째, ‘학습자 데이터 분석’ 단계, 둘째, ‘학습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학습 설계’ 단계, 셋째, ‘맞춤형 학습 퍼실리테이션’ 단계를 설정하였다. 맞춤형 수업 설계·실행 3단계를 바탕으로 범교과 주제 중심 학 습의 실습 맥락 하에서 실습 과제 및 활동을 구안하고, 가상의 학습자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웹 기반 실습 메뉴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습 시스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70명의 사범대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범교과 주제 중심 학습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수업 실습을 실행하였으며 설문과 성찰 노트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실습 시스템의 효과성을 맞춤형 수업 설계· 실행을 위한 의사 결정 훈련의 측면과 의사 결정 지원 장치의 유용성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교사들이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 사회, 정서적 특성에 주목하고, 학습자 분석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하며, 차별화된 처치를 제공하는 과정을 실습하면서 맞춤형 교육 또는 학습자 중심 교 육에 대해 재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실습 시스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3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지도안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준거를 개발하고,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 국어 교사가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하여 개발된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를 적용하여 4명의 현직 국어교사가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 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 간 신뢰도와 평가자 내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가자가 수업지도안 설계 과정이나 수업시연을 함께 공유하며, 수업지도안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평가 준거 적합도의 경우 평가 준거 1(국어 학습목표의 명료한 설정)만 1.58 logit으로 부적합한 (misfitting) 평가 준거로 판정되었다. 이에 평가 준거 1은 학습목표의 개수, 학습목표의 설정 및 진술 방식, 교수학습 내용과의 유관함 등을 타당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준거 설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평가 준거의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점과 2점의 척도 사용이 많지 않았고 4점 척도의 경우 척도의 대표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수업지도안 평가 준거의 척도 수준을 여기서 제시 한 5점보다 낮춰 상, 중, 하 등의 3점 척도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32.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다국면 Rasch 모형을 활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과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실연 평가의 준거는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과 수업 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의 연계성’, ‘교실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 행동 자질’의 3가지 하위 요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14가지 준거의 5점 척도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등 예비 국어 교사 대상의 수업 실연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어교육과 2학년 재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현직 국어 교사 4인이 수업 실연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국면 Rasch 모형을 근거로 제작된 Facets Minifa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실연 평가에 나타난 평가자의 엄격성 차이는 –1.34 ~ -.99 logit까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평가자 내 일관성은 내적합도 기준(0.5~1.5 logit)에 따라 적절한 점수를 부여하고 있음을 보였다. 수업 실연 평가 범주별 타당성에 대한 분석 결과, 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4) 피험자가 느끼는 곤란함은 모든 평가기준에서 동일하였다. 평가자와 평가기준의 편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편향은 도출되지 않아 평가 기준을 해석 및 적용하는 기준이 신뢰할 수 있음을 밝혔다. 평가 도구 5점 척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2점 척도의 적합도에 다소 문제가 있으나 피험자와 평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므로 추후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추가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 수업 실연의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수업 실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예비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3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의 효과를 종합하고, 기관중심 및 교사중심 전 문성 개발 활동 간의 효과크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및 박사학 위논문 총 14편(k=66)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 효과의 평균 크기는 0.669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기관중심 교사전문성 개발 활 동(0.673)에 비해 교사중심(1.084)의 평균적 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효과 크기 연구들 간에는 상당한 이질성이 존재했으며, 전문성 개발 활동 주제 영역(활동 밀도)이 이질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해 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단발적이고 단기적인 기관중심 연수보다는 장기적 으로 운영될 수 있는 교사중심 전문성 개발 활동이 효과적인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마지 막으로 교사중심 전문성 개발 활동 중 최근 부각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효과성 분석 연구 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운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3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예비 수학 교사의 학습 경험과 교수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과 학습 유형에 대한 인식(학습 경험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테크놀로지 통합 단계별로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TPACK)의 구성 요소들이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컴퓨터와 수학교육] 수업 수강생 중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사용에 대한 인식과 학습 유형을 사전-사후 검사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다. 그리고 수업 종료 후 강의에 대한 평가를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술하도록 한 자료와 파이널 프로젝트(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현장 적용 및 반성)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내용 선정 단계에서는 수학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테크놀로지 통합 단계에서는 테크놀로지 지식, 테크놀로지 내용 지식,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였으며, 수업 실행 및 반성 단계에서는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종합적으로 인식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개발된 교육과정은 교사 교육기관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방법과 단계별 TPACK의 역 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3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 내 다문화 배경 아동 학습자가 늘어가고 있으나 이들의 KSL 학습을 지원할 예비 초 등 교사에 대한 이론적 교육과 훈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두 명의 학생이 협업을 통해 다문화 교실 환경을 겨냥한 이중 언어 교육 시행 방안을 강구하 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은 CLIL 기법을 접목하여 한국어와 영어 교과를 내용교과인 사회와 결합한 통합 교과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의견 상충과 정체를 겪기도 하였으나 입장을 재조정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여 공동의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 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개선 의지와 문제의식을 가지 고 있으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새로운 도전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 경험의 부족으로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보이기 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교육 교실 환경에서 교육자가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아이들이 상호 발전하는 제2언어 학습을 이끌어내기 위해 개인의 인식 확장과 노력뿐만 아 니라 공공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지닌다.
        36.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Tyler(1949)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서 교사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분석을 수 행하였다. 그 동안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비판이 다양한 관점에 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과연 그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교 사는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는 물론 교사의 위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타일러 이론에 대한 논자의 입장에 따라 교사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서로 상반된 견해를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하나의 이론에 대한 비판은 학문적 탐구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론에 대한 비판 이전에 이론에 대한 선명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이 마땅 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이론에서 교사는 단순히 전달자 역할 을 수행하는 교육과정 실행자의 위상에 있지 않았다. 오히려 이 이론에 의하면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있어 교사는 적극적인 참여자 및 해석자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육과 정의 실행자라는 위상과는 거리가 있었다.
        3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는 학령기 외국 태생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전문성을 양성하는 단 계에 있는 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예비교사의 다문화 역량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절차는 국내․외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역량 관련 문헌 및 기존 자료를 통해 예비교사 다문화 역량의 요인 구성과 델파이 조사, 예비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한다. 그리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연구결과 다문화 역 량 척도는 다문화 지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교육 기술 3개의 주요인과 각각 4요인(다문화사회 지식, 다문화가정 학생 지식, 다문화교육 지식, 다문화교육효과 지식), 2요인(다문화사회 태도, 다문화교육 태도), 2요인(다문화교육환경 기술, 다문화교육방법 기술)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71문항이 최종 척도 로 확정되었다.
        38.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 현행 유아교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 교사가 바라는 교사평가의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앞으로 실시해야 할 중국교사 전문성 향 상 중심의 유아교사평가의 토대를 마련하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독립적인 평가체제를 구축하고 중국 유아교사 평가가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는 교사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중국 연태시(烟台市) 지부구(芝罘区)와 개발구(开发区)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 인 교사 200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 한 질문지로 6개 범주의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를 위해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유아교사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93.0% 공립유치원 교사가 유아교사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32.6% 공립유치원 교사가 유아교사 평가의 목적은 ʻ교사 전문성 발 전ʼ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는 교사근무현황을 반영하는 것에 대한 74.6% 공립유 치원 교사의 인식은 일부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 과정에 관한 공립유치 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평가 횟수는 ʻ한 학기 2번(53.5%)ʼ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평 가주체는 ʻ교사동료 (31.2%)'가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의 기준은 ʻ국가 교육부가 하여야 한다 가 1순위(42.3%)ʼ로 가장 많이 반응하였다. 중국 유아교사평가 개선방향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ʻ유아교사를 위한 평가체제가 필요하다(71.8%)ʼ고 인식하였다. ʻ유아교사평가 목적은 인사관리 보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도와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95.1%)ʼ고 반응하였다. 유아교사평가 내용 은 ʻ객관적이고 구체적이며 양적 평가가 가능하게 기술해야 한다(89.4%)ʼ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자는 ʻ 전문성과 객관성을 담보해야 하다(91.5%)ʼ고 반응하였다. 유아교사 평가 결과가 ʻ당사자인 교원에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93.7%)ʼ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 결과활용은 ʻ평가결과에 따른 교원별 맞춤형 연수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하며 교사의 전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93.7%)ʼ고 인식하였다.
        39.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40.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D) in Korea using teacher samp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es of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in School Education. Using chi-square tests and t-tests, we found 1)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non-content-focused PD; 2) middle school teachers had a decreasing pattern of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mixed results in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middle school teachers. More support for bot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nee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