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22.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rnace slag powder used currently in Korea needs to add special function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f large-scale projects.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lower hydration heat emission rate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improves properties such as the inhibition of alkali aggregate reaction, watertightness, salt proofness, seawater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However, furnace slag powder is not self-hardening, and requires activators such as alkali for hydration. Accordingly, if recycled fine aggregate, from which calcium hydroxide is generated, and furnace slag, which requires alkali stimulation, are used together they play mutually complementary roles, so we expect to use the mixture as a resource-recycling construction material.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furnace slag powder and recycled aggregate, to manufacture recycled fine aggregate mortar using furnace slag and analyze its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to provide materials on mortar using furnace slag as a cement additive and recycled fine aggregate as a substitute of aggregate,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materials on the manufacturing of resource-recycle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binder and fine aggregate as recycled resources.
        4,000원
        2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ganic acid salt of fatty polyamide (DDDT) and acrylate of fatty carbamide (DDTCA) were synthesized as a main component for the softener. O/W type non-ionic softener (NSC) was prepared by blending DDDT and DDTCA with beef tallow, lanolin anhydride. polyoxyethylene(7) stearyl ether, and polyoxyethylene(50) oleyl ether. After treatment of NSC to all cotton fabrics,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ar strength, crease recovery, and flexing abrasion resistance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NSC was proved to be durable non-ionic softener with good softness.
        4,000원
        24.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epare a softener, alkyl imidazoline salt, fatty carbamide salt, and fatty polyamide salt were synthesized first, and then the synthesized salts were blended. The prepared softeners were applied to acrylic fibers, and then several properties were tested. As a result, the prepared softeners show good softening and lubricating properties, and they also show a little antistatic property. Through bending resistance tests and measurements of feeling change of acrylic fibers treated with the softeners, it was proved that the prepared softeners are durable softeners.
        4,000원
        2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로운 교면포장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 Later Modified Concrete)는 부착강도 및 휨 강도가 우수하고 염분 및 수분침투에 방수효과가 있어 점차 활용이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RSLMC; Rapid-Setting Latex Modified Concrete)는 3시간에 실용강도를 발휘하여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보수재료로서 적합하나, 염화물의 침투 및 동결융해로 인한 내구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검증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LMC의 내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소이온 투과실험 및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수행하여 투수특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ASTM 규정과 KS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 0, 5, 10, 15, 20%와 소포제 혼입률 0, 1.6, 3.2, 4.8, 6.4%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SLMC는 라텍스 혼입률 15%에서 소포제 혼입량에 상관없이 모두 100이하의 전하량을 나타내어 매우 낮은 투수특성을 보였다. 또한, 소포제의 혼입률 3.2% 이상인 경우 동결융해 300 싸이클까지 상대동탄성계수가 90% 이상을 유지하여 소포제의 사용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
        200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로운 교면포장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 Later Modified Concrete)는 부착강도 및 휨 강도가 우수하고 염분 및 수분침투에 방수효과가 있어 점차 활용이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RSLMC; Rapid-Setting Latex Modified Concrete)는 3시간에 실용강도를 발휘하여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보수재료로서 적합하나, 염화물의 침투 및 동결융해로 인한 내구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검증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LMC의 내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소이온 투과실험 및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수행하여 투수특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ASTM 규정과 KS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 0, 5, 10, 15, 20%와 소포제 혼입률 0, 1.6, 3.2, 4.8, 6.4%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SLMC는 라텍스 혼입률 15%에서 소포제 혼입량에 상관없이 모두 100이하의 전하량을 나타내어 매우 낮은 투수특성을 보였다. 또한, 소포제의 혼입률 3.2% 이상인 경우 동결융해 300 싸이클까지 상대동탄성계수가 90% 이상을 유지하여 소포제의 사용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pare a O/W type nonionic durable softner(ANSA), synthesized 1, 3-dihexadanoyl-2, 7-dioxy-6, 8-di(2-hexadecanoyloxyethyl)-1, 3, 6, 8-tetraazacyclodecane as the main component of softner, was blended with beef tallow, anhydrous lanolin, polyoxyethylene(20) oleyl ether, sorbitan sesquioleate, and polyoxyethylene(7) stearyl ether in various compositions. Emulsion stability of ANSA was good, and the mixed HLB value was 9.8. After the treatment of ANSA to all cotton fabrics,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ar strength, crease recovery, and flexing abrasion resistance were measur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ANSA was proved to be durable softner with good softness.
        4,000원
        28.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3-Di(2-octadecanoyl)-2,7-dioxy-l,3,6,8-tetra aza cyclodecane [DDTC] was synthesized by reacting octadecanoic acid, 2,2'-di-aminodiethyl amine with urea. O/W type softner (STA) was prepared by blending DDTC and pentaerithritol monostearate with polyoxysthylene (20) oleyl ether, polyoxyethylene (10) castor oil, and PEG #1000-lauric acid ester. Treating STA to all cotton fabrics,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ar strength, crease recovery, flexing abrasion resistance, and so on were measured. Resulting the measurements, STA was found to be durable softner with softness.
        4,000원
        2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원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합하여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를 제작한 후, 양생 조건에 따른 내구성을 파악하고자, 탈형한 시험체를 15 및 25°C의 해수에 양생 시켜 재령 91일까지의 내구 특성을 살펴보았다.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혼합비에 대해서 일부 혼합에 대해서는 재령 28일에 비해 재령 91일에서 흡수율 증가 및 강도 감소를 나타났지만, 그 이외에는 양생 조건에 관계없이 재령에 따라 흡수율 감소 및 강도 증가를 보여주었다.
        3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혼합골재 종류 변화 및 CGS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AE공기량의 영향으로 내동해성은 저하, 조직치밀화의 영향으로 탄산화는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 휨, 부착강도, 수밀성,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탄산화 깊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폴리머-결합재비 및 메타카올린 첨가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휨, 압축 및 부착강도는 폴리머-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결합재비에 관계없이,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는 메타카올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메타카올린 첨가량 5%에서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흡수율, 탄산화 깊이 및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은 폴리머-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의 개선은 폴리머 에멀젼의 혼입에 의해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간의 접착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32.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소득 향상에 따른 레져 생활의 증가로 인해 해안가에 펜션, 리조트등 건축물을 많이 짓는 추세이다. 하지만 바닷가에 건물을 짓는다면 염분으로 인해 철근이 부식되어 건물의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콘크리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라텍스를 콘크리트에 혼입하게 되면 염분 및 수분의 침투에 대해 투수 저항성이 증가하고 수분증발 또는 흡수 등에 의한 건조수축 또는 팽창현상으로 인한 체적변화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라텍스란 고무나무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제품으로 반투명한 우유빛을 띠는 액체상태로서 콜로이드 같은 작은 구형의 유기체 폴리머입자가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라텍스는 48%의 폴리머와 52%의 물로 구성된 Styrene-Butadiene계열이다. 라텍스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고,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충진시켜주며 골재 주위에 필름막을 형성하지만 압축에 의한 파괴가 골재주위의 필름막에서 이루어져 라텍스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미세 강섬유를 보강 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국부적인 인장응력을 발생시켜 입자의 분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개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닷가, 해안가에 사용이 가능하고 보통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33.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retarder, fiber and admixture on durability properties of repair mortar mixed MPC(Magnesia phosphate composit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ance to freezing-thawing and chloride attack of MPC repair mortar with fibers and fly-ash were greater than those of MPC repair mortar without fibers and fly-ash.
        34.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 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시멘트 산업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시멘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 를 제조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석회석을 시멘트의 35%까지 치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2013년에 KS L 5201을 개정하여 석 회석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5%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직 석회석 혼합 시멘트에 대한 규격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 구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활용하여,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3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cycle sulfur which is industrial by-product, by producing concrete mix materials. production of specimens were implemented on the replacement of modified sulfur emulsion with cement. this paper presents data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durability test of the each specimens.
        3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examined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apid cooling slag as fine aggregate for concrete.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crete using rapid cooling slag showed that durability properties was equal to concrete using normal fine aggregate.
        3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strength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3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ditional ancient tomb is blocked from outside air by the original role of the structure. However, recently at the structure has been excavated and robbed, it is in a state of being opened. It is not easy to prevent durability reduction of structure member according to the opened state. To this end, This study perforn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evaluation according to durability reduction of traditional ancient tomb.
        3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부산물인 폐유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개질 처리된 유황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서의 개질 처리된 유황 액체와 분말을 콘크리트에 0%, 5%, 10%, 15% 외할 첨가하여 개질유황 액체와 분말의 첨가별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4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ow permeable concrete using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with fineness 4,650 cm2/g, carbonation depth was measured. From the test results, persisting period of that was calculated. And it was found that carbonation depth of concrete was proceed 29.5 mm for 100 year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