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2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na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heater module using a numerical method when the constant heat flux and heat flux time are applied to the surface heating elemen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heater module are 100mm, and the height is 5mm. The heat flux is 10,000W/m2, 15,000W/m2, and 20,000W/m2, and heat flux time is 5 seconds, 10 seconds, 15 seconds, 20 seconds, 30 seconds and 50 seconds, respectively. When the heat flux time was 50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rose to 120.5°C, while the skin epidermis temperature rose 1.7°C. As a resul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ncreased great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it increased low in the depth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heat conduction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transmitted in the X-Y plane direction,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insulation sheet under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very low. when the heat flux at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20,000W/m2, the skin's epidermal temperature rises up to 0.82℃ compared to 10,000W/m2 and 15,000W/m2.
        4,000원
        25.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laminar burning velocity of low calorific gas fuels are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experimental and predicted results. The bunsen burner which has contraction nozzle is used to measure the laminar burning velocity with the cone angle method. In addition, PREMIXED code combined with two mechanism, i.e., the GRI 3.0, and USC II reaction mechanisms is used to predict the laminar burning velocity. As heating value decrease, the laminar burning velocity correspondingly decreases due to inert gases in the fuel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predicted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LCF 9000 and LCF 8000 with the GRI 3.0 reaction mechanism and LCF 7000 and 6000 with the USC II reaction mechanism have a similar distribution of laminar burning velocity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 and the predicted result. This similarity is due to a large amount of propane,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GRI 3.0 reaction mechanism in LCF 7000 and 6000.
        4,000원
        2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ic of using in daily life is always exposed to risk of electrical fire and electric shock. Only degree of risk is different, there is no risk free electrical product. Generally, the higher voltage, the risk of electric shock is high. The much electric current, the risk of electrical fire is high. But, we can’t help using electric because of risk and we effort to reduce the risk of electrical fire and electric shock. This study deal with the fire prevention generated on heating equipment using SSR for current.
        4,000원
        2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Metho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5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fever may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4,300원
        3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MRI 검사 시 일부 경피 패치는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제거하지 않으면 화상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치 패치의 일종인 니코틴 패치와 파스에 대해 MRI에 의한 열 발생 현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5T MRI system과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돼지고기에 경피 패치를 부착하고 보어 중심과 패치의 중심이 일치하게 검사하였고, 보어 중심과 패치의 중심이 벗어난 상태에서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니코틴 패치 2종과 파스 4종에 대해 상기 2가지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매 시퀀스가 끝날 때마다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바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보어 중심과 패치의 중심이 일치한 경우에서의 온도 측정 결과, 니코틴 패치 A에서 평균 12.0゚C, 니코틴 패치 B 4.2゚C, 파스 A 4.0゚C, 파스 B 4.3゚C, 파스 C 2.6゚C, 파스 D 0.9゚C 상승하였다. 보어 중심과 패치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온도 측정 결과, 니코틴 패치 A에서 평균 12.6゚C, 니코틴 패치 B 1.8゚C, 파스 A 4.6゚C, 파스 B 2.2゚C, 파스 C 0.7゚C, 파스 D 1.8゚C 상승하였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니코틴 패치 A에서 급격한 온도 상승이 확인되었고, 니코틴 패치 B와 파스 A, B, C, D에서는 환자 안전에 위협이 될 만한 온도 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특정 패치에서는 짧은 시간의 검사만으로도 온도가 상승하고, 검사 부위가 아닌 곳에 패치가 있더라도 화상의 위험성이 있어서 철저한 사전 점검을 통해 가능한 모든 패치를 제거하는 것이 환자 안전 측면에서 유리하다.
        4,000원
        35.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carbon material is being developed the versatile one with merits of metal, non-metal, ceramic and plastic etc., it owes to the characters of light weight and strength comparing with other metal materials. Based on these characters it is applied to vehicle lightening and aerospace industry. Furthermore thermal function utilization, removal of environmental pollution material,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and the area of medicine science combining into drug as well.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echnology paradigm home and abroad for carbon material on the basis of its relative patents and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technology strategy for its business commercialization
        3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MRI의 RF에 의한 맥박 산소측정기 센서의 열발생으로 인해 환자에게 화상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보고되 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 되는 MRI 시퀀스에서의 열 발생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3.0 T MRI(Ingenia, Philips, Netherlands)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 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 용액을 넣은 팬텀을 사용하였다. 위치 변화에 따른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중앙부와 좌측 외측부에 설치한 후 세 부위의 isocenter에서 SAR 3.2 W/kg으로 15분간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 조건 에서의 온도측정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환자의 왼손 위치인 팬텀 좌하측 측면에 고정하고, Brain, C-spine, L-spine의 임상조건으로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맥박 산소측정기의 위치에 따른 실험 중 정중앙 위치에서는 isocenter 1, 2, 3에서 각각 1.6, 2.7, 1.2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고, 좌측 외측부 위치에서는 각각 10.8, 9.9, 9.9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다. 임상조건에서는 Brain, C-spine, L-spine 스캔에서 각각 10.3, 6.3, 3.9 ℃의 온도상승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MRI의 RF로 인한 맥박 산소측정기의 발열현상과 이로 인한 접촉 부위의 화상발생 가능 성을 직접적인 온도측정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3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MRI의 RF에 의한 맥박 산소측정기 센서의 열발생으로 인해 환자에게 화상이 발생한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사용 되는 MRI 시퀀스에서의 열 발생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3.0 T MRI(Ingenia, Philips, Netherlands)장치와 광섬유 온도계(FTX-301-PWR 3ch Temperature transmitter, OSENSA, Canada),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겔용액을 넣은 팬텀을 사용하였다. 위치 변화에 따른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중앙부와 좌측 외측부에 설치한 후 세 부위의 isocenter에서 SAR 3.2 W/kg으로 15분간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임상 조건에서의 온도측정 실험은 맥박 산소측정기를 환자의 왼손 위치인 팬텀 좌하측 측면에 고정하고, Brain, C-spine, L-spine의 임상조건으로 스캔하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맥박 산소측정기의 위치에 따른 실험 중 정중앙 위치에서는 isocenter 1, 2, 3에서 각각 1.6, 2.7, 1.2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고, 좌측 외측부 위치에서는 각각 10.8, 9.9, 9.9 ℃의 온도상승을 나타냈다. 임상조건에서는 Brain, C-spine, L-spine 스캔에서 각각 10.3, 6.3, 3.9 ℃의 온도상승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해 MRI의 RF로 인한 맥박 산소측정기의 발열현상과 이로 인한 접촉 부위의 화상발생 가능성을 직접적인 온도측정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열전달 특성을 가진 탄소섬유 전기발열체와 경유온풍난방기가 온실 내부의 온습도, 에너지소비, 작물생육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오이 재배 단동온실에 대한 난방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전기발열체 온실에서 난방용량이 온실 환경과 난방기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온실에 6, 9, 16kW의 전력을 각각 공급한 결과 전기발열체 ON-OFF 주기는 각각 9, 11, 15회로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온실 내부 평균온도는 각각 15.2, 15.3, 15.6oC, 평균상대습도는 84, 81, 76%로 나타나 난방 용량이 클수록 온실내부 온도는 높고,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6, 9kW 가동 시 하부온도가 상부보다 0.1oC 높았으며 16kW 가동 시는 상부 평균온도가 하부보다 0.2oC 높았다. 전기발 열체와 경유온풍난방기의 비교 시험에서는 난방 시 온실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가 전기발열체 온실이 0.1~0.2oC로 경유온풍난방기 온실의 0.5~0.6oC보다 작았으며, 온실 상류와 하류의 온도차는 전기발열체 온실이 0~0.1oC로 경 유온풍난방기 온실의 1.3~1.4oC보다 작아 정밀한 온도관리가 가능하였다. 난방기간 동안 사용한 에너지사용량은 경유온풍난방기 온실이 경유 867L를, 전기발열체 온실이 전력량 8,959kWh를 사용하였으며, 난방비용은 각각 607 천원과 403천원이 소요되어 전기발열체 온실에서 약 34%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었다. 전기발열체 온실의 경우 상대적으로 군락 상하부의 환경관리가 균일하여 초장을 비롯한 전반적 생육상황이 경유온풍난방기 온실보다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수확량 역시 전기발열체 온실의 작물군락 하부 온도가 경유온풍 난방기 온실보다 1.3oC 더 높게 관리되어 4.3% 증수효과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원예 시설의 최적 난방 관리를 위해서는 각 난방기의 열전달 특성에 기초하여 난방기 용량, 배치, 열분배 방법에 대한 설계가 요구되며, 전열선 형태의 난방기 역시 작물형상 및 재배방법을 고려하여 전열선의 개수, 위치, 방열 온도 등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