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형 단순화(line simplific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된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 결과를 실증적으로 비교×검토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더글라스-패커(Douglas-Peucker) 알고리즘을 실제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상이한 허용오차(tolerance) 적용에 따른 결과를 라인의 총 길이와 선분의 수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미국 뉴욕주 서부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USGS에서 제공되는 1:24,000 축척의 DLG 포맷의 수문 선형 지도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허용오차가 커짐에 따라총 길이가 완만하게 줄어드는 반면, 구성 선분의 수는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또한 이들 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탐색되었다.
        4,200원
        22.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ife cycle assessment(LCA) is increasing its applicability as a powerful tool for an environmental burdens analysis. In this study, some cases are compared in terms of analysis procedures and results obtained with LCAs for evaluating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in Korea. For the comparison, 3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are selected because they produces almost 90% of 2003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 It is shown that the range of evaluation values amounts to maximally the order of about 105, which is rather large discrepancy than the level of 101 in comparison with foreign studies. The difference seems to be due to the simplicity of modeling used in each cas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is large discrepancy should be obviously clarified to improve their reliability in that electricity is a essentialness for all industries and the capacity of LCA of national-level electricity affects the results of LCA for the other sectors.
        5,100원
        2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집약적인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진학과 과학기술직종선택의 감소는 성장잠재력에 가장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 이를 유지하려는 여러 가지 정책이 교육학적이나 사회학적 근거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는 이론적 경험적 틀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직업선택모델은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경제적 동인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에 나타난 가장 국제화된 미국의 과학기
        4,000원
        24.
        200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술집약적인 경제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공계 진학과 기술직종선택의 감소는 성장잠재력에 가장 근본적인 위협이 된다. 이를 유지하려는 여러 가지 정책이 교육학적이나 사회학적 근거에서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는 이론적 경험적 틀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직업선택모델은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경제적 동인에 대한 분석, 성별, 인종별 분석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에 나타난 가장 국제화된 미국의 기술직 사례를 통해 경제학적인 인적자본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직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한다. 기존의 모델을 확장하여 이민의 직업선택모델의 관점에서 원주민의 경우와 비교하며, 동시에 타 직업군과 비교한다. 직업선택에서 미래소득에 대한 예측이 대체로 정확하나 실제의 선택이 다르다는 사회학적 논문들의 주장은 성간 차이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현격하지 않다. 민족적 차이의 효과도 인적자본효과에 비해서는 크지 않다. 과학기술직은 고급 화이트칼라 직종에 비해 결혼과 교육 언어 경험면에서 저급한 직종의 특성을 보인다.
        4,000원
        26.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인 천문관(天文觀)에 관하여 중학생(164명), 고등학생(157명), 대학생(172명) 및 일반인(139명)의 판단 유형과 판단 이유를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월엄범오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에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15.7%,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38.1%, 분명히 말할 수 없다는 응답자들이 46.2%이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천문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과학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린 반면, 그와 같이 판단한 중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둘째 ,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데에는, 응답자들의 집단이나 판단 유형과는 관계없이, 자연관과 과학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판단 이유가 되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유사한 관념을 지니고 있는 응답자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다수의 경험적 자료와 실험을 통한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연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중학생들과 일반인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을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경험과 과학 지식 또한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응답자들의 과학 지식의 차이가 판단 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의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따라서, 다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과학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자연관과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9.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by establishing a park and green space masterplan by comparing its current status and surveying the residents’ perception of green park services in two region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ents are aware of the physical and qualitative aspects of the green pa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 quality level of the green park that people may actually use in everyday life was considered a factor for evaluation of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sidents, who are actual users of the green park services, evaluated the satisfaction of use consider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reen park, such as ‘quality of green park’ and ‘availability of green park.’ As a result, efforts are required to crea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parks efficiently based on establishing qualitative indicators, a survey of residents’ percep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develop policy directions and guidelines of the park and green space masterplan.
        3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 목 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와 가치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원동력이 되었다. 공동체의 목표와 가치는 외부에서 주어지기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성적 대화를 통해 공유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교장의 격려와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 촉진자의 정서적 지지 및 리 더십 공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반성 적 대화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교사들 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된 공동체에서 실천에 대한 반성적 대화뿐만 아니라 가정 및 신념 등에 대한 반성적 대화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넷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공유된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적 탐구와 실천 공유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육실천과 연계된 교사학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협력적 탐구의 지속성과 실천 공유 방식에 있어서는 두 사례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율성, 구성원들 간 신뢰 및 지원, 학교장의 압력 및 지원, 충분한 시간, 그리고 구성원들의 협력적 탐구 의지와 집단 책임 감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 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3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re damaged due to secondary damages from fl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past recovery cases and disaster recovery scenarios developed. Disaster recovery scenarios developed with respect to the 6 structures for rapid recovery. The development scenarios were compared with past recovery case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70%.
        3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made use of 9 types of utilizing idle farmland deducted from existing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cases by type of idle farmland, and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after analyzing contents of 165 available newspaper articles. Selected Cases were assorted into agricultural use and nonagricultural use, and agricultural use are as followed. ①Community Service/Farming type is the case of Gimhae city reported on ‘Busan Ilbo’, ②High Income/Farming type is the case of cooperative unit of Geumjeong crude drug in Yeongam appeared in ‘Newsis’, and the case of Omija industry in Mungyeong reported on ‘Hankyoreh’, ③Tourism/Landscape/Farming type is the case of rape flowers and buckwheat flowers in Gupo village reported on ‘Asia News Agency’, ④Stock Raising/Farming type is the case of growing foraging crops published in ‘The Daejeon Ilbo’, ⑤Weekend farm type is the case of utilizing idle farmlands and creating weekend farm reported on ‘Mediawatch’, ⑥High income/Forest type is creating Mulberry cultivation areas in Hamyang-Gun published in ‘Yonhap News’, ⑦Ecology/Landscape/Forest type is forestation project of idle land reported on ‘Newsis’, ⑧Agricultural Experience Study type is the case of managing agricultural experience study center in Dosun elementary center published in ‘Sisajeju’ and the case of non-agricultural application case, ⑨Ecological Environment type is the case of wetland restoration of idle farmland in Gochang.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rranged detailed contents by the literature search and interview investigation according to investigating items such as utilizing area, main agent, purpose, utilizing item, utilizing content, etc. by case. With that, it deducted implications as well as cas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suggested political proposals through the case analysis.
        3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programs, outcomes, promotion process, and operation methods of neighbourhood mak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essive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future. Buk-gu in Gwanju city, samdeok-dong in Daegu city and dongpirang in Tongyeong city were select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 bodies of neighbourhood making for promoting a local amenity were analys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voluntary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was expected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the residents. However, a steady budget support from the outside wa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neighbourhood organization. For this, a voluntary agreement was required through the consultative group and committee formation. The member of civil organization has a limitation in the ability to develop and maintain continuos activities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 civil organiz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operation methods including the constant checking, the search for new ideas through assessment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local festivals for a community formation and real satisfactions of residents' desires were needed in the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 civil organization. A participation rate in neighbourhood making was low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dministrative bod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ong-term strategics for space renew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were important. Various easy ways of residents' participation to reflect their interests and operation systems were also needed. Finally, current local issues,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s' opinions would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neighbour making in the future.
        3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묘박중인 선박은 외력이 점점 강해짐에 따라 항상 주묘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선박에서는 주묘를 예방하기 위하여 파주력을 크게 유지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파주력은 앵커에 의해 형성된다. 앵커의 파주력은 앵커의 형태, 수중무게 그리고 해저 저질에 따른 파주계수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데, 특히 AC-14형 앵커는 ASS형 앵커에 비하여 2~2.5배의 파주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주계수는 모형실험 등을 통하여 정해진 기준으로 실선에서의 검증은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선박의 실제 주묘 사례를 검토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파주계수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C-14형 앵커의 경우 펄에서 7~10 정도로 확인되었으며, ASS형 앵커의 경우 모래에서 3 정도이고, 모래와 펄이 혼합된 곳에서는 3.5 정도로 기존의 파주계수와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3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과 학생 인터뷰 분석을 통해 MBL을 사용한 두 실험, 산-염기 전도도 적정 실험과 기체 분수 실험에서의 탐구 과정과 MBL의 활용 사례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산-염기 전도도 적정 실험은 전도도 센서를 사용하여 HCl-NaOH 적정과 NaOH-HCl 적정에서 전도도 차이를 분석하는 실험이고, 기체 분수 실험은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새로운 기체 분수를 만드는 방법을 고안하는 실험이다. 두 실험의 비교․분석 결과, 산-염기 전도도 적정 실험에서는 분석-평가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탐구 활동과 학생-학생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특히 탐구 활동에서 MBL 자료의 분석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기체 분수 실험에서는 조사-설계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탐구 활동과 학생-학생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MBL의 활용에 대한 비중이 산-염기 전도도 적정 실험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36.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은 4,522억원 규모이고, 온라인 게임 이용자 비중은 성장 추세에 있는데, 이러한 온라인 게임 산업의 성공 원인 중 게임성은 중요하다. 게임성은 게이머가 게임에 몰입할 수 있는 재미와 스토리를 말하며, 게이머의 게임 몰입, 효율적인 기술 개발, 그리고 비용 투자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게임의 성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온라인 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MMORPG 온라인 게임의 사례를 중심으로 게임성 요소를 비교하였다. 사례로 이용된 게임은 남성을 타겟으로 성공한 리니지, 뮤, 그리고 여성을 타겟으로 성공한 라그나로크, 라그하임이고, 새로 출시된 게임들도 게임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게임성 있는 게임을 제작해 게임 경쟁력을 높이려는 게임 제작 업체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