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2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해안에서 상선의 어구 손괴로 인한 추진기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연안자망어선의 월별분포를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2014년 1년간의 어선위치발신장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조업 해구도를 기준으로 경·위도 30′× 30′크기의 해구별 간격으로 격자를 설정하였다. 총 56개 해구를 대상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밀도지수가 가장 높았던 194해구는 어구 손괴가 없었다. 반면, 밀도지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193해구는 상선의 주 통항경로에 어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손괴가 발생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어구 손괴는 밀도지수에 비례하지 않고 상선의 주 통항경로에 따라 손괴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선의 안전항해를 위해 5월부터 9월까지 위도 34.5° ~ 35.5°, 경도 125.67° ~ 126°를 항행경보구역으로 통보하면 추진기 장애와 어구손괴와 같은 해양사고를 예방할 것이다. 따라서 상선이 193해구와 203해구를 항해할 때는 안전한 항해를 위해 위도 34.5° ~ 35.5°, 경도 125.5° ~ 125.67°을 추천한다.
        4,500원
        2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4,800원
        2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rfish, a species of Echinoderm, is widely known as a predator on benthic invertebrate.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from September, 2011 to November, 2012, using the drum–shaped pots of different mesh sizes (17.1, 24.8, 35.3, 39.8, and 48.3 ㎜) to describe the composition of the catch species and the mesh selectivity of the pot for starfish. Some species including fish, crab, and starfish were caught in the experimental pots.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method was applied to describe the selectivity of the pot for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to be s(R) = exp(10.358R–4.086) / [1+exp(10.358R–4.086)], where R is the ratio of arm length to mesh size. The relative arm length of 50% retention was 0.395, and the selection range was 0.212. The results sh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size of starfish and the mesh size of pot.
        4,000원
        25.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field tests to estimate the size selectivit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were carried out 12 times with five different mesh sizes (86.6, 101.0, 121.2, 137.7 and 151.5mm) in the western sea of Korea from 2007 to 2009. The master selection curve was estimated by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total number of catch species was 23 and that of catch was 1,688 in the field tests. Marbled sole of total catch was 1,150 with 68.1 percent. In the monofilament trammel net, the optimum value of total length (TL) per mesh size (m) for 1.0 of retention probability was estimated 0.280 and the values of TL/m were estimated to be 0.187, 0.201, 0.210, 0.218 and 0.226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y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In the multifilament trammel net, the optimum value of TL/m for 1.0 of retention probability was estimated 0.307 and the values of TL/m were estimated to be 0.195, 0.211, 0.222, 0.232 and 0.241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y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4,000원
        2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멸구는 국내에서 월동을 하는 토착해충으로 벼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virus, RSV)을 매개하는 중요한 벼 해충이다. 이 해충은 근래에는 중국에서 국내 서 해안 지역에 대량 비래하기도 하여 문제가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지 역인 태안, 부안, 신안에서 2013년 4월 중순 경 채집한 월동 애멸구의 microsatellite 단편분석을 통해 지역 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였다. 애멸구의 종 특이적 microsatellite marker는 기 개발된 9개의 marker(Sun et al., 2012)를 사용하였다. 분석에서 태안 28개체, 부안 33개체, 신안 35개체가 이용되었다. 세 지역에서 나타 난 평균 allele의 수는 4~16.667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HO 0.168~0.655였으며, HE 0.493~0.897로 나타났다. 지역별 유전적 다양성의 경우, HE는 태안 0.717, 부안 0.808, 신안 0.774 이며, HO는 태안 0.391, 부안 0.455, 신안 0.344이었다. 세 지역 간 유전적 구조는, F 값이 0.0261~0.067로 이들 세 지역 개체군간 유전적 구조의 차 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 개발된 애멸구 microsatellite marker가 국내 애멸구 개체군들의 유전적 구조 분석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아시아 지역 의 애멸구 개체군들과 국내 지역 개체군들 간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을 통해 이들 의 비래경로 및 국내 개체군들의 유전적 특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Adverse weather conditions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fall, and thick fog and so on have highly affect on the change in traffic conditions on the road. In particular, heavy snowfall causes capacity reduction as well as crash occurr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nowfall on speed on a freeway. METHODS : Vehicle detection systems data were matched with corresponding weather station data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vel speed is reduced by 6.7% under little snowfall and by 12.8% under heavy snowfall. Regarding the speed variation, 8.7% and 114.7% increases are observed under little snowfall and heavy snowfall, respectively. It is also found that 1 cm increase in snowfall leads to 0.4% decrease in travel speed. In addition, the travel speed increases by 0.4%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by 1℃. CONCLUSIONS :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establishing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winter operations and road maintenance in practice.
        4,000원
        3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9월 하순경 전남 영광과 충남 서천의 벼 포장에서 백수피해가 보이는 벼 줄기 속에서 나방류 유충 각각 8마리와 113마리가 채집되었다. 유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영광의 8마리 중 3마리는 밝은 갈색 바탕에 5개의 줄무늬가 있었으나 나머지 5마리와 서천의 113마리는 모두 밝은 갈색 바탕이지만 머리가 어두운 갈색이고 몸에는 줄무늬가 없었다. 우리나라에서 벼 줄기 속을 가해하는 주요 나방류 해충으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과 벼밤나방(Sesamia inferens)이 보고되어 있으며 유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전자는 이화명나방, 후자는 벼밤나방 유충 또는 유사종으로 추정이 되었다. 종 추정을 위한 증거를 추가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DNA 바코딩 영역인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아제 I & II (mtCOI & II) DNA 부분영역의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그리고 미국생물공학정보센터(NCBI)의 Database에서 BLAST 한 결과 이화명나방과 벼밤나방의 mtCOI & II의 염기서열과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개체 변이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광의 벼 포장에서는 벼밤나방과 이화명나방 유충이 혼재하고 있었으며 서천에서는 벼밤나방이 우점적으로 분포하여 피해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최근 전북 군산 등 서해안 남부지역에서 이들 나방에 의한 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앞으로 품종선호성, 피해(분포, 밀도 등), 생리/생태 및 방제 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해안 주요 개 방풍림의 식생구조를 8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새만금 유역의 방풍림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8개 방풍림에 출현하는 식물은 총 25과 40속 4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교목층은 모두 곰솔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수종의 단층구조를 보이는 방풍림은 2개소이며, 단일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된 방풍림은 2개소였으며, 4개 방풍림은 여러 수종의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기능적으로 안정적인 방풍림의 구조는 수직적으로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모두 존재하는 복층구조가 적합하며, 수평적으로는 교목은 내륙 쪽에 관목은 해안쪽에 식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단순림보다는 침엽수와 상록활엽수를 함께 혼합하여 식재하는 혼효림이 방풍림 기능의 효과를 더 향상시킬 것이며 병해충에 대한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3.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with five different mesh sizes (86.6, 101.0, 121.2, 137.7, 151.5mm) to study the relative efficienc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ern sea of Korea, 2007-2009. The relative efficiency was analyzed by length distribution, catch in number, catch in weight and weight per individual for Marbled sole. Statistical T-test was done to verify the efficiency between two gears. In the field tests, the total body length range, catch in number and weight of Marbled sole was 15.8-48.2cm, 728 and 254,939g, respectively. During the field tests, Marbled sole less than 15cm length which is prohibition size of fishing was not caught, but the caught number of Marbled sole less than 19.5cm length which is first maturity length was 13 (1.8%) and the caught number of Marbled sole more than 19.5cm was 715 (98.2%). Catches of monofilament gill net was average 1.4 times more efficient than multifilament gill net. The weight per individual and total length by mesh sizes in the two gears tended to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mesh size increasing.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weight per individual and total length by mesh sizes between two gears.
        4,000원
        34.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atches of main species and bycatch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raschel, 15mm, 25mm, 35mm, 45mm)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after manufacturing five kinds of fishing gears and commercial fishing boat (7.93 tons) was used for it.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outhern rough shrimp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beka squid (Loligo beka), cuttle fish (Sepia esculenta),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dominant on the five kinds of experimental fishing gears. Southern rough shrimp was caught from all kinds of fishing gears and catches of anchovy was highest in the raschel codend, southern rough shrimp for 15mm, 25mm, 35mm codend and beka squid for 45mm codend. Bycatch proportion against total catches was 623,376g (28.7%) for 2,171,844g in raschel, 11,932g (1.7%) for 704,451g in 15mm, 3,616g (1.6%) for 221,432g in 25mm, 9,276g (4.9%) for 191,052g in 35mm and 2,724g (5.3%) for 51,431g in 45mm.
        4,200원
        3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곁노벌레과(Paracalanidae) 2종 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영광 인근해역을 중심으로 2007년 가을철, 2008년 겨울철, 봄철, 그리고 여름철에 걸쳐 사계절조사를 실시하였다. Bestiolina coreana는 봄철과 겨울철에 출현하지 않았으며, Paracalanus parvus s. l.는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에서는
        4,000원
        3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the field testes were carried out 12 times with five different mesh sizes (86.6, 101.0, 121.2, 137.7, 151.5mm) in the western sea of Korea, 2007-2009. The master curve of selectivity was estimated by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In the field testes,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catch were 26 and 987, respectively. The catch number of marbled sole was 728 and occupied 73.8% in total catch. The optimum values of l/m for 1.0 of retention probability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were estimated 0.288 and 0.307, respectively and l/m was estimated to be 0.189, 0.203, 0.213, 0.222 and 0.230 in case of monofilament gill net and 0.171, 0.191, 0.205, 0.216 and 0.227 in case of multifilament gill net when the retention probability were 0.1, 0.2, 0.3, 0.4 and 0.5, respectively. The 0.5 selection range of multifilament gill net was wider about 1.5 times than that of monofilament gill net according as multifilament gill net was 0.216 and monofilament gill net was 0.148. So the multifilament gill net has a low selectivity than that of the monofilament gill net. To estimate the optimum mesh size on first maturity length 19.5cm of marbled sole, the retention probability value of 0.1 was adopted in consideration of using the gill net for marbled sole at present. The optimum mesh size were estimated to be 103.2mm and 114.0mm in monofilament gill net and multifilament gill net, respectively, on first maturity length 19.5cm of marbled sole.
        4,200원
        3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안 염해지 수목 식재를 위한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을 선발하고자 한국 서해안 해안림의 식생조사와 토양염분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은 전체 평균 EC1:5 0.11dSm-1이었고, 최저 0.00dSm-1, 최고 0.68dSm-1이었다. 토양염분(EC1:5)은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 방향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Ⅰ지대〉Ⅱ지대〉Ⅲ지대〉Ⅳ 지대 순으로 각각 EC1:5 0.14dSm-1, 0.11dSm-1, 0.10dSm-1, 0.08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52과 104속 24변종 157종 총 181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1:5 0.51dSm-1를 초과하는 곳에서 EC의 특이값 또는 이상치의 수준으로 여러 번 출현하는 수종은 곰솔, 청미래덩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EC1:5 0.41~0.50dSm-1에서는 EC1:5 0.40dSm-1 이하에 속하는 식물들 이외에도 왕자귀나무, 멀구슬나무, 계요등으로 출현빈도가 매우 낮았다. 전체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등 이었고, 중요도가 높은 수종은 소나무, 곰솔, 이대, 청미래덩굴, 굴피나무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3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서해 중부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서 142점의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였고, 12개 측선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퇴적상은 소량역질사, 사, 소량역사질니 등 다양하게 나타났고 외해방향으로 세립해진다. 조직변수는 조상대와 조간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이고, 조하대에서는 평균입도가 세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음의 왜도를 갖는 특징을 보인다. C-M도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조상대와 조간대의 퇴적물은 밑짐이동과 점이부유가 혼합된 형태로 이동하고, 조하대의 퇴적물은 점이부유와지속적부유의 형태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도표에서 하부조하대의 퇴적물은 밑짐과 뜬짐 2가지의 이동모드가 모두 나타나는 이중모드의 형태를 보인다.
        4,300원
        3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fishing was carried out to compare fishing status according to the codend mesh size (raschel, 15mm, 25mm, 35mm, 45mm) of stow net on anchor in the coastal waters of Seocheon after manufacturing five kinds of fishing gears and commercial fishing boat (7.93 tons) was used for it. Total catches of raschel, 15mm, 25mm, 35mm, 45mm codend were 816,949g, 203,994g, 1,405g, 51,576g, 194g in September and 40,545g, 66,974g, 14,692g, 12,647g, 12,655g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raschel codend,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15mm and 35mm in September, and the amount of catches was very small in 25mm and 45mm codend due to the fishing gear damage. In October, dominance species were anchovy and beka squid (Loligo beka) in raschel, 15mm, 25mm codend, and cuttlefish (Sepia esculenta) and beka squid were mainly caught in 35mm and 45mm codend. In addition, total length of anchovy and cardinal fish (Apogon lineatu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dend mesh siz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ntle length of cuttlefish and loligo beka.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