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2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절작용은 눈의 굴절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으로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이 것을 억제하기가 어렵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조절력이 감소되고 조절작용올 억제 하기가 쉬워진다. 기존 연구에서 고둥학교 학생들의 조절마비제 정안 전과 후의 굴절 력의 변화가 적었고 나이가 어릴수록 조절마비제를 이용하여 굴절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부모나 보호자들에 의해 시력장애가 의심되거나 환자 스스 로 시야의 흐립을 호소한 경험이 있는 순천지역 6-9세 사이의 소년 60 t청 (OS)을 대 상으로 하였다. 굴절이상을 제외한 녹내장, 백내장, 망막질환, 약사, 가성근시, 그리고 조절마비는 대상의 생플에서 제외시켰다. 환자들의 내원 당일 타각적과 자각적 방법 으로 현성굴절검사(Manifest Refraction) 와 조절마비제률 이용한 굴절검사( Cycloplegic Refraction)를 하였고, 5 일 후 추적 검사 (Post Cyclo-refraction) 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면과 원주요소를 각각 CR과 MR, PCR과 MR, PCR과 CR의 차이를 계산하여 Origin 6.0(paired t-test) 프로그랩올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CR과 MR, PCR과 CR의 차이와 비교하여 MR과 CR의 구면요소 굴절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구면의 차이는 나이가 중가할수록 감소하였다 :6세 (p = 0.03237, t = -3.78325) 와 7세 (p = 0.000245378, t = -5.31없3) 에서 는 유의 하였고 8세 (p = 0.08871, t = -1.97593) 와 9세 (p = 0.48959, t = -0.74536) 에 서 는 유의 하지 않았다. MR과 PC의 구면 차이는 모든 나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김의 연구도 또한 MR과 CR의 차이가 7 세 보다 어린 나이에서 굴절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굴절상태 차이에서 구면요소는 나이가 어릴수록 조절성향 이 강한 반면 원주요소는 굴절 변화가 적고 불규칙적이며 불일치성을 보였다 (p< 0.05). 이 결과에 의하여 나이가 어린 환자, 특히 7세 미만에서는 반드시 조절마비제 를 이용한 굴절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4,000원
        2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만3세부터, 7세까지의 유치원 아동들 중 1 ,455명을 대상으 로 영 ·유아 시기의 주변 환경 및 습관이 시력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요소들올 성 문하고 안과병원과 협조하여 단체 시력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난시는 Spherical equivalent로 환산하여 정상 시력 군은 -0.75D - +0.75D 사이의 범위이면서 양안의 나 안시력이 0.65 이상을 모두 만족한 아동으로 하였고 나머지를 비정상 시력 군으로 구 분하였다. 단, 상기의 구분에서 정상 시력 군으로 판정이 되었어도 Spherical equivalent에 의한 양안의 차이가 2.00 D 이상일 경우는 비정상 시력 군으로 분류한 결과, 83.6% 의 비정상적 시력을 보였으며 연령별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출 생시 체중이 2.5Kg 미만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6.3%로 가장 많았으나 체중별 결 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수유와 관련한 사항에서는 모유와 분유와 이유식을 모두 먹은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2.9%로 가장 많았으며 수유기간은 197~ 월 이상 동안 수유한 군에 서 정 상 시 력 군이 22.0% 로 가장 많았으나 역 시 유의 하지 않았고 초유의 음용 여부에서는 “모두 먹었다”는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 1.1%로 가장 많았고 통계학적 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P=O. OO6). 수유기간 동안 및 최근 기간동안에 수면 시 조명상태에서는 “등을 켜고 잔다”는 군에서 비정상의 시력 꾼이 각각 90.0%, 85.0% 로 가장 많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부모의 시력교정 여부에 따른 사력검 사 결과에서 “부모 모두 교정하였다”의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9.2% 로 가장 많았 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출생 후 질병의 유무와 임신기간별 사력검사 결과에서도 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4,200원
        27.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약 2개년 동안 일본국 쿄토지역 병원에서 요로감염 소아의 오줌으로부터 분리한 병원대장균 총 14균주에 대하여 혈청학적 검사와 박테리오파지 검사를 실시한 결과, 혈청형은 주로 O1:H7, O2:H6, O2:H7, O16:H6, O18:H7, O18:H^-, O135:H44 등이었으며 K1 다당류항원의 양성반응은 14균주중 1균주(O18:H^-, 7.1%)이었다.
        3,000원
        28.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29.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nal cord injury in child often occurs without evidence of fracture or dislocation. The mechanisms of neural damage in this syndrome of spinal cord injury without radiographic abnormality(SCIWORA) include flexion, hyperextension, longitudinal distraction, and ischemia. Inherent elasticity of the vertebral colum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ong other age-related anatomical peculiarities, render the pediatric spine exceedingly vulnerable to deforming forces. The neurological lesions encountered in this syndrome include a high incidence of complete and severe partial cord lesions. Children younger than 8years old sustain more serious neurological damage and suffer a larger number of upper cervical cord lesions than children aged over 8 years. Of the children with SCIWORA. 52% have delayed onset of paralysis up to 4 days after injury, and most of these children recall transient paresthesia, numbness, or subjective paralysis. The long-term prognosis in cases of SCIWORA is grim. Most children with complete and severe lesions do not recover; only those with initially mild neural injuries make satisfactory neurological recovery.
        4,000원
        3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흉부 CT검사를 시행하는 소아환자의 조영제 투여를 최소화하고 조영 증강은 최적화하기 위하여, 몸무게의 변화에 따른 생리학적 주입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것이다. 만 10세 이하의 소아환자 80 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혈관 조영제 300 ㎎I/㎖를 사용하였으며, A그룹은 몸무게 1.5배의 용량을 주입 하였고, B, C, D 그룹은 10%씩 감소하면서 생리식염수 5 ~ 15 ㎖를 추가 주입하였다. 조영제와 생리식염수의 주입량과 속도 및 지연시간을 몸무게와 연동하여 계산할 수 있는 생리학적 모델의 엑셀시트를 적용하였다. 화질평가는 상대정맥, 상행대동맥, 폐동맥,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 하행대동맥, 쇄골하정맥의 CT number와 SNR을 측정하여 그룹간 비교하였으며, 생리식염수 주입에 따른 인공물 감소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쇄골하정맥과 상대정맥의 CT number를 비교하였다. 또한 조영 증강의 정도와 인공물에 대하여 정성적 평가를 추가로 수행하였다.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에 따른 SNR을 비교 평가한 결과, 상대정맥과 폐동맥, 하행대동맥, 우심실, 좌심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T number는 모든 장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조영제를 10% 감소하고 생리식염수를 추가 주입한 그룹은 조영 증강 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이상 감소한 그룹은 조영 증강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생리식염수 주입한 그룹은 상대정맥과 쇄골하정맥의 조영 증강이 매우 감소되었고, 조영제에 의한 빔 경화 인공물이 상당히 감쇄되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흉부 CT 검사에서 생리학적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의 적용은 조영제에 의한 인공물을 감소시키면서, 불필요한 조영제 사용을 예방하고 조영 증강의 효과는 향상시킬 수 있었다.
        3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아의 선천적 심장질환 진단을 위해 High Pitch Mode를 사용하여 획득한 소아 심장 CT 영상과 Wide Co verage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획득한 소아 심장 CT 영상으로부터 환자의 피폭선량과 각 영상의 화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소아 심장 CT 검사 시 High Pitch Mode와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를 각각 50명 총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각 프로토콜로부터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였다. 각 영상에 ROI를 설정해 SNR과 CNR을 산출하여 영상의 화질을 비교하였다. High Pitch Mode에 비해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환자의 피폭선량이 13.07% 감소하였고, SNR과 CNR이 향상되었다.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는 고속 회전 스캐너를 이용하여 조사시간을 줄이고, 저선량 기술인 ASi R-V를 통해 High Pitch Mode를 사용했을 때보다 환자의 피폭선량이 감소하고 영상의 화질 또한 향상되는 유용한 검사라 할 수 있다.
        34.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흉부 CT 검사의 스캔 기법의 하나인 VOLUME AXIAL MODE를 이용하여 관전압의 변화에 따라 진단적 으로 가치가 높은 영상을 얻기 위하여 화질을 평가하고 적절한 관전압을 제시하고자 한다. CT 장비는 GE 사의 Revolution(GE Healthcare, Wisconsin USA)모델을 이용하였으며, Phantom은 Pediatric Whole Body Phant om PBU-70을 사용하였다. Heart의 S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4.53 ± 0.26 이었고 80 kvp는 -3.34 ± 0.18 이었으며 100 kvp는 -1.87 ± 0.15이었고 70 kvp가 100kvp 보다 약 -2.66정도 SNR이 높았으며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p<0.05) Lung의 S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78.20 ± 4.16이었고 80 kvp는 -79.10 ± 4.39이었으며 100 kvp는 -77.43 ± 4.72이었고 70 kvp가 100 kvp 보다 약 -0.77정도 SNR이 높았으며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p<0.05). Lung의 CNR 평균차이분석에서는 70 kvp에서 73.67 ± 3.95이었고 80 kvp는 75.76 ± 4.25이었으며 100 kvp는 75.57 ± 4.62이었고 80 kvp가 70 kvp 보다 약 20.9정도 CNR이 높았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p<0.05) 관전압 100 kvp에서는 70 kvp와 80k vp를 비교 했을 때 심장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 서 SNR이 1에 가까웠다. 하지만 70 kvp와 80kvp에서 는 SNR 차이가 없어 70 kvp 로 소아 흉부 CT 검사를 하여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CNR은 70 kvp에서 가장 1에 근사치를 나타냈었으며 80kvp 와 100kvp에서는 차이가 없어 80 kvp로 소아 흉부 CT 검사를 하여 방사선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olume Axial mode 검사 시 0.3초의 짧은 scan time으로 검사 할 수 있어서 움직이거나 진정이 필요한 소아 환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3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incidence of pediatric herpes zoster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Pediatric herpes zoster is generally known to be less severe than adult cases, but may cause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s, encephalitis, meningitis, and Ramsay Hunt syndrome. In this study, we performed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investigatio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iagnosed as herpes zoster. The incidence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of herpes zoster were studied.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62 patients under 18 year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with herpes zoster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2007 to 2017. This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regard to gender, age, dermatomal distributions, accompanying symptoms, underlying disease, treatment and complications.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plications. Results: Children under 18 years old account for 3.2% of all herpes zoster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2007 to 2017. The incidence of 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The number of enrolled patients was increasing according to age.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pediatric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Lesions of herpes zoster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thoracic region, followed by the cervical, trigeminal, lumbar regions. The most common accompanying symptom was pain, followed by pruritus, fever, headache. Among the 62 cases, 27 cases (27.4%) were complicated by herpes zoster. Ramsay Hunt syndrome was the most common (16.1%), followed by meningitis and herpes ophthalmicus. Neither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 nor postherpetic neuralgia were observed. Skin lesions in the trigeminal dermatomes wa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p=0.006). The mean of hospitalization period is longer in the group with complications (p=0.003). The patients accompanying symptoms such as headache was more likely to occur complications (p value<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sex, and underlying diseas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Patients with complications had longer duration of treatment and had more frequent with trigeminal and cervical region. The patients accompanying symptom such as headache were more likely to occur complications.
        3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utropenia is a common finding in pediatrics with 1.5-9% of children (without malignancy) presenting to hospital found incidentally to be neutropenic. The majority of these pediatric patients with transient neutropenia present with infectious symptoms with an infectious agent proven in approximately 50% of cases, most commonly viral in nature. 270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influenza infection at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during a 8-year period, were included in the study.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 were analyzed. 46 patients (17%) were neutropenic with no identifiable cause other than the influenza. The incidence of leukopeni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sociation with influenza B than influenza A (24.0% vs 12.3%). Period from the onset of fever to lymphopenia was significantly longer in association with neutropenia (+) group than neutropenia (−) group. Recovery period of neutropenia was mean 4 days (range 3-7 days). We conclude that mild, transient neutropenia is common among patients with influenza infection and advise that it should not cause alarm or invite specific investigation unless severe or prolonged.
        3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erebrospinal fluid (CSF) pleocytosis in pediatric enteroviral meningit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in 281 patients under 18 years of age who were diagnosed with enteroviral meningiti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t Kwangju Christian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SF pleocytosis. 112 children (39.9%) did not have CSF pleocytosis. When we compared the group of meningitis without pleocytosis and the group with pleocytosis, age were younger (< 2years), and the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the time of lumbar puncture was shorter (<24 hours), peripheral white blood cell counts were lower, but C-reactive protein (CRP) was higher in the group of meningitis without pleocytosis. Enteroviral meningitis should not be excluded even if CSF pleocytosis is not seen in patients. And enterovirus CSF RT-PCR should be performed with high suspicion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38.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gainst Sexual Abuse is to prepare procedures for relieving and assisting victimized children and juveniles, and protecting them against sexual abuse and assisting them to become sound members of society. Any person who commits an offense of indecent act against a child or juvenile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 labor for a limited term of at least two years or by a fine of at least ten million won, but not more than 30 million w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juveniles, protection of their sexual autonomy should have special meaning. Understanding of self, will, sex, age, and environment of children must be considered when the court make decision on the relevant cases.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must have devastated effect on their development towards a man or woman who fully enjoys his or her own self determination of sex. The case reviewed by this essay is on the issue of medical treatment by pediatrist and indecent act against children patients. The court denied victims’ statement on their victimization as a guess or emotional reaction, not real experiences. Investigators and judges should have special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victim’s statements on his or her experiences. Most of all, the criminal court in sexual violence cases should pay attention not to the consistency of statement by children, but to the special behaviour and mind of their victimization, and further to the social context of sexual violence.
        39.
        2017.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reports that inhaling hypertonic saline with bronchodilator is helpful in the treatment of bronchioliti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if it is helpful to inhale hypertonic saline with bronchodilator in children with recurrent wheezing.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in children with recurrent wheezing. A total of 40 patients under 6 years of age admitted to Kwangju Christian Hospital from December 2014 to May 2016 were enrolled.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salbutamol. In the control group (n=21), salbutamol (2.5-5 mg / 0.5-1 mL) was inhaled four times a day with physiological saline (0.9% normal saline 1-3 mL). In the experimental group (n=19), the same amount of hypertonic saline (5% saline 1-3 mL) was inhaled four times a day instead of physiological saline. We compared the duration of wheezing remission between patients who had recurrent wheezing (n=4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wheezing remission in patients who had recurrent wheezing. But the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group had a lower post treatment clinical score on the 2nd-3rd day of admission than the physiological saline inhalation group. In this study, hypertonic saline inhalation therapy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wheezing. M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inhaled hypertonic saline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wheezing.
        40.
        2017.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number of obese patients increases, childhood obesity also increases and it is recognized as a big problem because it increases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Although thyroid hormone abnormalities sometimes exist in obese patients without thyroid disease,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on the impact of obesity on thyroid hormone test result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in children with normal thyroid function. In the present study, 356 patients aged 6-18 years who visited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were randomly selected, after exclusion of those with thyroid disease, diabetes mellitus, kidney disease, those with a history of smoking and drinking, and those taking steroids or lipid lowering ag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thyroid stimulation hormone (TSH) and free thyroxin (fT4)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serum TSH concentration: group A with TSH < 4.0 μIU/mL and group B with TSH ≥ 4.0 μIU/mL (upper level of normal range). BMI z score, ALT, rGTP,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B.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age, gender, birth weight, and pubertal development showed that TSH and BMI z sco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fT4 was not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