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2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SOF(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와 배양 소적에서 일본 흑우의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구세포가 부착된 미성숙 난자는 각각 단독 배양조건( 소적) 및 그룹 배양 조건 ( 소적)에서 실시하였고 배양액은 TCM-199의 기본 배지에 10% FCS, 0.02IU/ml FSH와 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배반포 단계로 발육한 수정란은 1.5M ethylene
        4,000원
        22.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체외수정란과 체세포 복제란의 초자화 동결 및 융해 후 생존능을 검토하였다. 배반포로 발육된 체외수정란 및 체세포 복제란을 초자화 동결법에 의해 동결하였다가 융해하여 생존율 및 배양 후 부화율을 검사하였다. 체외수정란 배반포를 초자화 동결 융해한 결과, 확장배반포가 배반포기 난자에 비하여 생존율(82.1%, 96/117)과 부화율(64.1%, 75/117)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핵이식 배반포 복제란을 초자화 동결 융해한 경우도 체외수정란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확장 및 부화배의 생존율과 부화율이 각각 81.1%(30/37)와 78.3%(29/37)로, 배반포(각각 71.8 및 53.8%)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자화 동결 방법에 의해서 소 체외수정란과 체세포 복제란을 성공적으로 동결할 수 있으며, 특히 후기 배반포기 단계에서 초자화 동결 시 높은 생존율과 부화배 형성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2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pen Pulled Straw(OPS)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돼지 수정란의 체외 생존 능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돼지 난소는 도축장에서 회수하였으며, 난구세포로 쌓여있는 난자는 직경 의 난포로부터 난포액과 함께 흡입에 의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5 mM hypotaurine, 0.57 mM cysteine, 10% 난포액, 10 IU/ml PMSG 및 10 IU
        4,000원
        2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축되는 소 난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도축장으로부터 실험실로 운반되는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의 HACCP 적용으로 도축장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위탁하여 난소를 공급받게 되어 취급자의 부주의로 적절한 온도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겨울철 난소수송 온도에 따라서 4처리 그룹, 즉 (T1), (T2), (T3) 그리고
        4,000원
        2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마우스의 성숙 난자와 수정란의 유리화 동결을 위한 CPS, 기존 straw 및 OPS 방법의 효과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 난자의 유리화 동결-응해 후 형태학적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CPS (75%)와 기존 straw(72%)법이 OPS(68%)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p<0.05). 과배란 처리 후 채란한 2-세포기 마우스 수정란을 유리화 동결-응해하여 일간 배양한 다음 수정란의 배 발달 상태를 비교한 결과, 동
        4,000원
        27.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PS 기법에 의한 돼지 수정란의 동결-융해 시 수정란의 발달 단계와 superoxide dismutase (SOD)가 수정란의 생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돼지 체외수정 배반포는 OPS방법에 의해 동결 후 융해하여 0~10unitsml의 SOD 존재 하에 48시간 체외배양하였다.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중기 및 확장배반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30.8~38.6%). 그러나 발육단계가 높을수록 형태적으로 정상인 수정란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정란의 융해 후 48시간 추가 배양했을 때, 발육이 진행된 수정란은 후기배반포기에 동결한 수정란이 38.7%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1 unit/ml의 SOD를 첨가한 경우 비교적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수정란의 OPS방법에 의한 동결-융해 후 생존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후기배반포기 단계에 동결하는 것이 유리하며, SOD의 첨가는 수정란의 손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
        200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불임을 극복하기 위한 번식공학 기술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성세포의 동결이 널리 수행되고 있으나 동결 기술의 효율성에 있어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외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난자세포질내 정자미세주입(ICSI) 시술에 사용되는 정자와 이들 기술을 이용 생산한 체외수정란의 동결이 배 발생 및 임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ICSI방법으로 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경우 정자의 동결이 체외수정, 발생 및 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동결융해한 사출 및 정소정자에 의한 체외수정율과 발생율 및 임신율도 차이가 없었다. 한편 체외수정란을 동결하는 경우 완만동결과 초자화동결에 의한 체외수정란의 생존율과 임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동결수정란은 신선수정란에 비하여 임신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ICSI에 사용되는 정자와 달리 ICSI에 의해 생산된 수정란을 동결하는 경우 임신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4,000원
        2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수정란의 동결에 있어서 vitrification 동결 융해 후 내동제의 종류완 농도, PVP 및 sucrse와 trehalose의 첨가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1 Vitrification동결에 이용된 각 발생단계의 체외수정란은 1,063개 중 2세포기는 245개, 배반포는 , 초기 배반포는 , 확장 배반포는 221개 , hatching 배반포는 107개 이었다. 상실배, 초기 배반포 및 확장배반포를 EDS와 ET
        4,000원
        3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및 젖소에서 체외 수정란을 생산하여 수란 우에 이식하기 위해 도축장에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를 회수한 후 체외 성숙, 체외 수정, 체외 배양과정을 거쳐 수정란을 생산하였다. 체외 수정시 난자는 난구세포 부착 정도에 따라 난할율을 조사하였고, 한우와 젖소에서 체외수정 후 배반포율을 조사하였다. 신선 및 동결 수정란을 수란우에 각각 이식하여 산자 분만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1. 한우 난소 2,021개에서 20,387개의 난자를 회수하여 체외 수
        4,000원
        3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험이 큰 우리나라 재래돼지를 유전자원으로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정란을 채취하여 동결보존하기 위해서 미경산 재래돼지에서 과배란 유기를 위한 적정 호르몬의 수준과 수정란의 회수 및 동결보존 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CG 500IU와 PMSG를 500, 750, 1,000IU 및 hCG 750IU와 PMSG 1,000IU를 각각 투여한 재래돼지의 배란황체와 미배란난포의 수는 각각 12.
        4,000원
        3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수정란이식술의 실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우 및 젖소 36두로부터 과배란 처리를 하여 신선수정란은 25두에, 동결수정란은 17두에, 쌍태 생산을 위한 수정란 두 개 이식은 13두 수란우에 이식되어 그 생산 결과를 조사하였다. 1 과배란을 위한 호르몬 처리후 반응을 나타낸 공란우는 75.0%이었다. 2. 황체수와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 율은 91.8% 이었다. 3. 비외과적으로 채란된 전체 난자 중 생존성이 있는 배
        4,000원
        3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축돈의 난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체외배양시킨 후 세포 안정제와 원심분리 그리고 OPS를 이용한 유리화동결 하였다. 동결 융해한 수정란을 경산돈에 외과적 또는 비외과적으로 이식하여 자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도축돈 난소로부터 채란되어진 돼지 미성숙난은 Funahashi 등(1994) 방법에 따라 체외 성숙-수정-배양하였다. 체외배양액은 glucose-free NCSU 23을 이용하였으며, 5일째에 10% Fatal bovin
        4,000원
        36.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내, 체외 소 배반포기 배의 GMP vitrification 후 활력도의 비교와 한우 수정란을 몽골 소에 수정란이식 후 산자생산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수정란은 체외수정란 또는 과배란처리에 의한 체내수정란을 생산하여 GMP vitrification 방법으로 동결 후 몽고로 수송하였다. 수란우는 CIDR과 처리에 의하여 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체내수정란생산을 위하여 7두를 과배란처리하였다. 총 64개의 배반포기를 회수하였다. (p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