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22.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구레츠키(Henlyk Mikołaj Górecki, 1933-2010)라는 한 작곡가의 작품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민족적-종교적 영향’, 독일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단순성’(Neue Einfachheit) 또는 미국 에서 시작된 ‘미니멀음악’(minimal music)과 같이 상이한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그 이유를 작 품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구레츠키 창작경향의 변화에 근거하여 분석대상 작품의 시간적 범위와 장르 범위는 그의 1972 년 이후 아 카펠라(a cappella) 합창음악으로 한다. 60년대 말 관현악 작품 창작에서 드러나기 시 작한 ‘명료함’과 ‘단순함’으로 대변되는 그의 독자적인 창작세계의 어떤 내용들이 새로운 단순성 또 는 미니멀음악으로 규정될 수 있는지를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접근한다. 아 카펠라 합창음악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그의 창작경향 변화를 간단하게 언급하여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작품 선정의 타당성뿐 아니라, 1976년 작곡된 《교향곡 3번》에 교회음악 그리고 민속노래를 인용하면서 작곡가 가 확고히 한 그의 독자적인 음악어법을 확인한다. 작품 연구는 라틴어 텍스트로 작곡된 《그들은 떠났고 울었다》(Euntenes ibant et flebant op.32, 1972)와 폴란드 민속음악에서 가사와 선율에 기초하여 작곡된 《넓은 강》(Zeroka Woda op.39, 1979) 분석을 중심에 둔다. 이 두 작품 분석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음악적 특징들을 라틴 어를 텍스트로 한 《아멘》(Amen op.35, 1975), 《불쌍히 여기소서》(Miserere op.44, 1981), 《나는 당신의 소유》(Totus Tuus op.60, 1987), 그리고 폴란드 민속음악에 기초한 《나의 비스 와 강, 잿빛, 비스와 강》(My Vistula, grey Vistula op.46, 1981), 《세 개의 자장가》(Three Lullabies op.49, 1984, rev. 1991)에 적용하여 구레츠키 고유 음악어법을 확인한다. 결론을 대신하여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구레츠키의 독자적인 음악 어법이 새로운 단순성 또는 미니멀음악 작곡기법 그리고 음악적 사고와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 점이 상이한지를 정리한다. 나아가 미니멀음악 작곡가도 아니고 새로운 단순성을 대변하는 작곡가 도 아닌 구레츠키의 음악적 특성을 그가 활동한 공간적·시간적 환경과 연결하여 ‘새로운’ 민족주의 음악으로 볼 수 있음을 제시한다.
        8,400원
        2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영화 《디아워스》(The Hours, 2002)의 음악을 분석함으로써 내러티브와 음악 간의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이 영화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표면상 의 7화음(apparent 7th chord)에 주목하였으며, 이 7화음이 영화가 진행될수록 공통음 관계에 있 는 장3화음과 단3화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보다 더 흥미로운 점은 이 영화에 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는 삶과 죽음이 이들 장3화음과 단3화음의 교대로 표현됨으로써 영화의 내러티브에 반영된다는 점이다. 즉 장3화음과 단3화음의 대조적 음향은 삶과 죽음의 대조를 의미하 기도 하며 또한 최대한의 공통음 관계에 있음으로써 삶과 죽음의 연관성까지 표현한다고 볼 수 있 다.
        5,800원
        2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M. Kagel(1931‐2008)’s Anagrama(1957‐58) and G. Ligeti(1923‐2006)’s Aventures(1962) to present the diversity in the creation of vocal music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oint for the analysis of music was set through the analysis of vocal music by Kagel and Ligeti when the concept of ‘sound composition’, ‘language composition’, ‘vocal composition’ and others apply, and through the pieces of the composers who lived in the same era when it comes to the chang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mong Kagel’s numerous vocal music pieces, there were not many pieces that placed the ‘emphasis of the Phonetic aspect’ at the front without text. At best, they are Phonophonie, Hallelujah für Stimmen and Die Mutation. Ligeti’s compositional tendency in vocal music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Kagel’s. Ligeti’s Aventures and Nouvelles Aventures, pieces based on the synthesis of the voice originated in actual diverse languages are the vocal music pieces of the 1960s that realize experimental thinking towards ‘stage piece’ from very early on. After this piece, Ligeti did not continue on this tendency. Along with Clocks and Clouds that uses the consonants and voiced vowels, 13 each, that follow the international phonetics’ phonetic notation and the mix of these instead of the text conform with Syntactics, and other pieces that used text such as Requiem, Lux aeterna, Drei Phantasien nach Friedrich Hölderlin, Nonsense Madrigals confirm this. Analysis of Kagel’s Anagrama shows that the composer did not set music to text. Instead, it was shown clearly that it was handled musically regardless of the contents of the text. Besides the conclusion that non‐semantics was realized or that another meaning was formed compared to the Latin phrase that serves as the basis of this piece, it includes the contents that could lead to yet another conclusion. Not only was basic Latin text used as Phonetic material, but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conclusion that it embraces the meaning of linking to drama through analysis. Analysis of the Aventures composed of the Phonetic text that Ligeti himself explained in person according to E. Dieth and H. F. Wendt’s pronunciation presents diverse methods that can be defined as ‘vocal composition’ and verified the matters concerning ‘toning of the voice’(tone melody). Moreover, ‘musical gestures’ (crying, laughing, whispering, yelling, sigh and others) presented directly on the music note can be re‐appreciated with the opera‐like parody or caricature expression.
        10,500원
        2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폭소노미 (foxonomy) 분위기 태그를 이용한 음악 검색 시 내부적으로 단어 태그 대신에 수치 태그 (AV 태그: Arousal과 Valence 값으로 이루어진 태그)를 이용하면 폭소노미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유사어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선행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첫 번째가 단어 태그를 수치 태그로 변환하는 작업이며 그 두 번째가 검색 대상인 음악을 수치 태그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첫 번째 작업에 대해서는 이전 연구를 통하여 그 유의성을 보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두 번째 작업에 대해서 그 유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음악과 AV값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음악-분위기 매핑테이블을 제안하고, ANOVA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동의어 포함 유무에 무관하게 음악 구간의 A값과 V값 모두 12개 음악의 분위기에 대하여 분포차가 발생하고, 모두 제 1종 오류확률 P<0.001를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음악의 분위기에 따라 AV 값 분포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폭소노미는 폭소노미에 사용되는 태그에 대하여 유사어, 태깅 레벨, 신조어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의 분위기 강도(Arousal과 Valence의 강도)를 음악의 내부 태그로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즉, A(Arousal)값과 V(Valence)값을 이용하여 음악의 분위기를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분위기 태그도 AV값으로 대응시켜 검색하게 되면 태그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AV 값을 갖는 음악이 검색되어 결과적으로 분위기가 유사한 음악들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의 선행연구로 AV값과 폭소노미 태그와의 관계를 정의하는 매핑테이블을 제안하고, 태그와 AV값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유명한 음악 검색 사이트인 last.fm에서 수집한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ANOVA 검증을 하였다. 검증결과, A값과 V값에 모두에 대하여 제 1종 오류확률 P가 0.0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폭소노미 태그에 따라 AV 값 분포가 다르다는 것을 검증 할 수 있었다.
        4,300원
        28.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ic creation is important in enhanc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ivation and interest for music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f master's theses about elementary music creation teaching and learning written between 2000 and 2011. A total of 147 master's theses on elementary music creation teaching and learning were analyzed. The theses were analyzed in respect to following six topics; (1) the years and institutes of publication, (2) subjects, (3) topics, (4) contents, (5) research methods, (6)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theses on music creation teaching and learning has decreased recentl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the institutes which produced the biggest numbers of the theses on elementary music creation teaching and learning. Secondly, 40.41% of the theses targeted the grade group of the fifth and sixth grades. Only 9.59% targeted the first and second grades. Since 2009 the thesis o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was not published at all. Thirdly, 46.95% of the theses dealt with the composition and improvisation activities simultaneously. Fourthly, 62.58% of the theses excluded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in their content. 12.94% dealt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reation only. Fifthly, 40.13% of the theses were about program design and excluded implementation. 37.43% were about program design and class implementation. Finally, the most preferred strategy was the use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26.53%). The other strategies were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theories, the use of sequences, the use of musical pieces and so on.
        6,100원
        2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 게임을 활용한 치료에서 음악 게임이 어떻게 노인 환자의 우울감, 자존감의 상승에 관여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노인 전문 용양병원 양원에 입원중인 1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각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음악 게임을 활용한 치료를 10회기에 걸쳐 시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후에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 10회기 동안의 게임실험 과정을 기록하고 사후 몰입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게임이 제공하는 청각, 시각, 촉각 등의 감각자극과 상호소통적 활동이 노인의 우울감과 자존감 상승에 기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손기능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3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hows how do pitch and rhythmic structures interacts in the Webern atonal music to produce a coherent and unified work. This is an interesting and difficult problem to approach. Because of there is no Webern's characteristic routine at the surface level of his music. However it will be shown that beneath the complex surface exists a considerable degree of regularity. This paper shows the proportional graph. Its purpose is to present rhythmic structure in the clearest possible way, detached from ordinary notation with its bias toward traditional interpretation. From the proportional graph and A-R partition, we see the correspondences and relations of various types demonstrated in the atonal composition of Webern. Using the composite segmentation, the pitch class set structure of the atonal work is related to the fundamental rhythmic structures of the work. The composite segmentation represents the harmonic components of the music at the absolute surface level and the segmentation which may take into account than the single voice, which does not encompass the total texture from top th bottom for any segment, and which may involve overlappings. The pitch-class set inclusion relations match the pattern of proportional relations set out in the basic rhythmic structure pattern. The proportion is quite explicitly reflected by the partition. The relations among pitch-class sets in terms of intersections, unions, complements have structural analogues in the relations among rhythmic formations in terms of combinations and partitions of duration. Proportional graph and A-R partition are the tool of atonal music and rhythm structure analysis. we can see the relation between pitch and rhythm at the surface level. However we can look forward to see the further study of pitch and rhythm relation at the middle ground or background level.
        6,600원
        3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3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analytic method, by which one can analyze tonal music. The essay begins by testifying the validity of Rameauian harmonic theory and of traditional harmonic analysis by Roman numerals. The analytical limit which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the harmonic analysis poses is supplemented and combined with the theoretical strengths that Schenkerian theory provide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harmonic analysis by Roman numerals, which focuses exclusively on local levels of the chord to chord, what I call the macro-analysis, in which the individual labels of each chord are jointed through brackets under the chord symbols, incorporat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harmonic functions of each chord and of the musical contexts and the harmonic syntax that the chords create. The examination of the tonal harmony from a Schenkerian point of view serves as a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the eclectic methodology, the dialectical result of the Rameauian and Schenkerian theories, to tonal music. Excerpts from Schubert's Lied, Nact and Tra¨ume and Chopin's Nocturne in A^(b) major, Op. 32, no. 2 are analyzed both by the macro-analytic technique and by the Schenkerian analytic method. The paper reveals that the two analytic methods lead to quite similar analytic results.
        4,900원
        3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vides a possibility of analysing rhythmic attributes of contemporary music through contour theory.The early idea of pitch contour occured as early as 1948 in the writing ofcomposers such as Toch and Schoenberg Over a decade later, the work of Charles Seeger, Charles Adams, and Micczyslaw Kollinski set forth the theories of contour analysis But, in the music theory, the concept was formalized by Robcrt Morris Michael Friedmann, and Larry Polansky, Elizabeth Marvin and Robert Morris, in particular, have signiflcantly developed the analytical methodology with which to apply the contour thory.contrast to the previous results of contour music analysis, which focused onpitch element, this analysis presumes that the rhytbms also show similar characterTo prove the hypothesis this thesis re-classified the Elizabeth Marvin and Noel Painenr's rhythmic analysis theories and adjusted the result into Stockhousen's In freundschaft. As a result the number of rtythmic characters that continuously appear in contemporary music were found Also, the possibility of defining similarities of ythmic element through various methods by adjusting the theories including inversion and retrograde, that are similar to set theory, was found.The contour theory will be a good example of analysing rhythms in contemporary music that were believed to be inconsistent in the past.
        8,700원
        39.
        199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1949, consolidating their previous efforts, Shannon and Weaver published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e. Information Theory), which is, in short, a theory of measuring how effectively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sender to receiver in a unit of time. Although the theory itself originates in communication engineering, it is also useful in the realm of music, especially in analysis, in twentieth-century composition, and in recent developments in aesthetics and psychology. The term "information," used in information theory, is to be understood not as used in ordinary usage, but as a technical term indicating the measured quantity of a message. Precisely speaking, the word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theory rather refers to "the measured amount of information" or "a mathematical abstraction of information content" The notion of "entropy" was also introduced by Shannon and Weaver as a measurement of potential information contained in a message. By definition, the less predictable the communication system is (i.e. the more even the distribution of possible outcomes is), the higher entropy will be. In pitch class analysis, therefore, when the distribution is rectaguar (when all twelve pitch classes are evenly used), one can expect the maximum entropy (3.585). From 1956, many theorists have investigated musical works of various historical periods. Among them, R. Strauss' Lieder turn out to contain the most information, and nursary tunes yield the least information. In general, however, the results could b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hat is, stylistic differences of music-historical periods in terms of the use of pitch-classes readily emerged. Although infromation theory is thus useful and even advantageous in music analysis, several questions can be raised with regard to the reliability of the data, the perceptual and cognitive validity of statistical results, and the contextual aspects of music which are totally ignored from the perspectives of statistics. Many scholars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 technical and philosophical limatations and problems of information theory; as a result, recent research regarding music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has developed in both scope and quantity.
        6,000원
        40.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2년에 결성된 한국 현대음악 단체 project21AND의 제4회-제6회 정기연주회(2016-2018년) 리허설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현대음악의 의미생성 과정의 현장을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 음악 전반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일지라도 현재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음악인들의 역동적인 음악 만들기 과정을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취했던 방법론은 현장중심의 인류학적 연구이며, 본 논문에서는 project21AND의 상임 작곡가 김정훈의 <Chorus (2016)>와 공모 작곡가 전현석의 <De Tuin der Lusten (2018)> 리허설 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Chorus>는 제4회 정기연주회(2016년)를 위한 작품으로서 project21AND의 설립자이자 상임 음악감독인 김승림과 김정훈이 지휘자와 작곡가의 역할로 음악 만들기에 공조했는가 하면, <De Tuin der Lusten>의 경우는 제6회 정기연주회(2018년)를 위한 공모에서 선정된 작품이었기에 project21AND의 내재적인 특성을 드러내기에 적합하였다. 분석의 틀은 긴스보르와 킹의 리허설 담론 연구와 고든의 현대음악 리허설 논의를 기본으로 했으며, 질적연구 소프트웨어 <NVivo12>를 활용하여 코딩하였다. 이 때, 제4회-제6회 정기 연주회에 참가한 총 13인의 작곡가와의 개별면담을 통해 ‘음악적 실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인지적 맥락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리허설 담론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 실제로 리허설은 연습 리허설과 공연 리허설로 구분되었으며, 연구자는 리허설 내내 작곡가, 연주자, 지휘자 간의 대화를 녹취 및 녹화를 실시했다. 두 경우의 리허설에서 기록된 대화를 전사하여 코딩한 결과로 도출된 코드는 ‘작곡가의 작품에 대한 성찰’, ‘악보 보완 및 수정’, ‘악기 주법’, ‘연주자의 물리적 배치’, ‘공연에 대한 설명’ 등이었다. 이는 작곡가 면담에서 도출되었던 ‘음악적 실험’에 관한 가치관과 일맥상통한 것을 확인했으며, 작곡가, 지휘자, 그리고 연주자 간의 민주적인 상호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