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프로축구선수의 자율성지지 및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 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프로축구선수(K리그 1부, 2부) 로 하였으며, 결과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매개회귀분석과 조 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와 통제 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 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장 마인드셋은 자율성지지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 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및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통제적 코칭행동과 선수생활 포기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만,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수행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2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민시대 또는 전쟁점령 등에 의해 영토를 침탈(점령)한 국가들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함으로써 침탈당한 국가에게 원래의 영토주권을 되돌려 준 사례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 관련하여 억지 주장을 해 온 일본의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담론을 주도하는 한편 일본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침탈한 국가들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주거나 아니면 억지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경우 어떤 계기로 어떤 요인이 작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독도의 경우처럼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해 온 일본과 같은 침탈국의 억지 영유권 주장 포기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아시아, 중남미, 유럽, 구미 등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유사 사례들의 조사를 통해 20개의 영토갈등 사례들을 추출하였으며, 영유권 주장의 포기 및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요인 내지 배경을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및 외교안보적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많은 사례들이 외교안보적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미국-쿠바 간 후벤투드 도서영유권 사례 등 침탈한 국가의 국가적 결단에 의해 침탈한 영토를 되돌려 준 사례들도 일부 도출됨으로써 일본 등 억지 영유권 주장을 하는 침탈국가들을 대상으로 국제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제시되었다.
        2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51년 9월 8일 48개 연합국과 일본 간에 체결된 “대일평화조약”(the Peace Treaty with Japan)에 한국은 체약당사국이 아니나 동 조약 제21조의 규정에 의해, 동 조약 제2 조, 제4조, 제9조 그리고 제12조는 한국에 적용된다. 한국에 적용되는 제2조 (a)항은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고, 제주도, 거문도 및 울릉도를 포함하는 한국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은 포기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조약법 협약”은 “제3자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조약은 그 제3자가 동의의 의사표시를 할 때 그 조약으로부터 권리가 발생한다라 고 규정하고, 제3자가 동의의 의사표시를 하지 아니해도 동의의 의사표시가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제36조 제1항). 한국은 동의의 의사표시를 한 바 없으며 동 조의 규정에 의해 동의의 의사표시를 한 것으로 추정되어 “대일평화조약” 제2조 (a)항은 한국에 대해 효력이 발생한 것으로 된다. “대일평화조약” 제2조 (a)항 전단은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고”라고 규정하고 있다(이하 “독립승인조항”이라 한다). 이는 동 조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한국은 비 독립국가의 지위에 있었음을 전제로 한 것으로 그것은 비 독립상태의 법적 근거인 "한일합방조약“이 유효함을 전제로 한 것이다. (a)항 후단은 “일본은 … 한국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이하 “권리포기조항”이라한다), 이는 동 조약이 발효 되기 직전까지 일본이 한국에 대한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갖고 있지 아니한 권리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이 한국에 대한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갖고 있다는 것은 그의 근거인 “한일합방조약”이 유효함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법적 효과를 지적하고, 이러한 법적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한국정부의 “이 조약의 어떠한 조항도 한일합방조약이 유효한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는 내용의 “해석선언”(interpretative declaration) 또는 “해석유보”(interpretative reservation)를 함을 요한다는 제의를 하기로 한다.
        24.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various reasons that gymnasts quitted gymnastics, prevent them from quitting gymnastics and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the activation of gymnastics. Methods: Open-ended interview questions about ‘Gymnasts’ hard points’ and ‘circumstances which made them to want to quit gymnastics’ were used for two coaches, three active player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above and two players who had already quitted gymnastic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quitting was analyzed for 1,022 male and female gymnas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above, registered on Korea Gymnastic Association in 2013 through experts’ conferences. Results: It was shown that gymnasts mainly quitted gymnastics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risk of injury, authoritative guidance, hard training, unstable future, poor motivation, poor acting abilities (skills) and a lack of studies.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gymnasts from quitting gymnastics: the control of training intensity, a guarantee of the right to learn, player-personalized guidance, the creation of a positive training atmosphere, adequate rest, the understanding of players’ difficulties through on-going counseling and observation, coaches’ efforts to develop players’ potential tal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prevent players from quitting gymnastics.
        25.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행동 지속수행 및 포기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327명의 성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회귀분석과 구조모형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본적 심리욕구는 운동행동 지속수행과 자아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포기의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운동행동 지속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포기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운동행동 지속수행에는 정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포기의도에는 부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하위요인 간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자신감이 심리욕구의 자율성과 결합하여 운동행동 지속수행에는 정적으로, 포기의도에는 부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운동지속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자신감이 운동지속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26.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지 거쉬인의 《포기와 베스》는 장르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과 연 《포기와 베스》는 뮤지컬인가, 오페라인가. 이러한 의문은 오래된 것이지만, 그것에 대 한 해답은 명쾌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많은 음악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악 그 자체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만 연구했다. 이 논문은 장르 그 자체의 개념에 대한 이해 와 함께 《포기와 베스》가 가지고 있는 장르의 이중적인 면을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르에 대한역사적인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장르의 영향력을 칼버 그, 슈커, 파브리와 같은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을 통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포기와 베 스》의 수용사 연구는, 이 작품이 오페라 혹은 뮤지컬과 같이 이중적으로 수용될 수밖에 없 었던 상황을 보여준다. 장르가 가지고 있는 역할, 작곡가의 의도와 청중의 인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해 줄 것이다.
        2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토의 포기는 영토의 취득의 한 유형인 선점과 같이 영토주권의 상실의 한 유형이다. 영토의 소유국가가 무거주지를 영원히 포기하면 그는 영토주권을 상실하게 되고 그 영토는 타국가가 실효 적인 선점을 하게 될 때 까지 무주지로 된다. 선점이 첫째로 실제적인 점유의 취득(체소)과 둘째로 영토주권 취득의 의사(심소)를 요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영토의 포기도 첫째로 영토로 부터의 실제적인 철수와 둘째로 영토주권 포기의 의사를 요한다. 따라서 영토로 부터의 단순한 철수는 그 국가가 영토로 부터 영구히 떠나려는 의사를 가지지 아니하는 한 영토포기 를 수반하지 아니한다. 일시적인 철수와 영토주권 행사의 약화는 소유국가가 그 영토를 다시 점유할 의사와 능력을 가졌다는 추정 이 있는 한 영토주권 상실의 효과가 수반되지 아니한다. 독도의 영토주권에 관한 1954년 2월 10일자 및 1956년 9월 20일 자 일본정부의 견해에 의하면 일본정부는‘조선초기부터 장기간 쇄환정책을 승계해왔고 … 한국정부에 의해 울릉도와 독도를 실질적으로 포기해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소위‘쇄환정책’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영토주권의 포기를 의미하지 아니한다. 왜냐하면 이들 섬에 대한 포기의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쇄환정책’은 이들 섬에 대한 실효적 지배의 한 유형인 것이다. 따라서 1905년의‘시마네현 고시 제40호’에 의한 독도의 선점은 무주지에 대한 선점이 아니므로 국제법상 위법인 것이다.
        28.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aeration time on the microorganisms was investigated in sequencing batch reactor (SBRs). The cycling time in four SBRs was adjusted to 12 hours and then included different aerobic times as 1 hr, 2.5 hr, 4 hr and 5.5 hr, respectively. Four SBR systems have been operated and investigated for over 40 days. As the increase of aeration time, the consumption of glycogen within sludge at the 1st non-aeration time a little bit was increased and the production of glycogen at the aeration time was increased. Also, the produced PHB amounts and PHB production rate at the 1st non-aeration time were increased as the decrease of aeration time, which showed the activation of the phosphorus removal. The ratios of nitrifying microorganisms' number and GAOs to the total microorganisms' number in SBRs was decreased as the decrease of the aeration time, however, the PAOs ratio was almost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variation of aeration time.
        29.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aeration time on the removal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using synthetic wastewater was investigated in sequencing batch reactors (SBRs) which included DNPAOs and DNGAOs. The cycling times in four SBRs were adjusted to 12 hours and then included different aerobic times as 1 hr, 2.5 hr, 4 hr and 5.5 hr, respectively. Four SBR systems have been operated and investigated for over 40 days. Average TOC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ut 71 % in all SBRs. The NH_4^+-N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aeration time. After changing aeration time, the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of SBRs were shown as 35 %, 85 %, 75 % and 65 %, respectively. Higher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were occurred as the decrease of the aeration time. After all, the overall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and the deterioration of phosphorus removal was occurred when aeration time was over 4 hr. Denitrification in aerobic conditions was observed, which showed the presence of DNPAOs and DNGAOs. In batch experiments, PAOs were shown as the most important microorganisms for the phosphorus removal in this experiment, and the role of DNGAOs was higher than that of DNAPOs for the nitrogen removal.
        30.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욕구가 운동지속수행 및 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생활체육 참가자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운동욕구척도(서희진, 2003)와 오수학 등(2003)에 의해 타당성 검증된 운동지속수행척도(EAQ), 계획행동척도(Ajzen & Driver, 1992)중 의도에 관한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한 포기의도척도를 이용하여 판단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30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최종분석에는 288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 단계입력 방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정화욕구와 과시욕구는 남성이 높고, 재미욕구, 과시욕구, 사교욕구, 체형욕구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체형욕구는 대졸이상이 높았다. 또한 운동지속수행 경향성과 가능성은 남성이 높았고, 포기의도는 여성이 높았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운동지속수행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었고, 포기의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지속수행 경향성에는 건강욕구, 사교욕구, 체형욕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운동지속수행 가능성에는 과시욕구와 재미욕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운동지속수행 강화성은 재미욕구와 체형욕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포기의도에는 건강욕구가 부정적인 영향을, 과시욕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1.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중도 포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목표성향이 운동포기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체육회의 산하 경기단체인 대한체조협회의 등록유무에 관계없이 2006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 1년 이상 국제 및 전국 규모의 에어로빅체조 대회에 출전한 경험이 있고 2006년 현재까지 에어로빅체조대회에 1년 이상 참가하지 않음은 물론 선수생활을 다시 할 생각이 없다고 반응한 운동포기자 141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질문지는 Duda(1992)에 의해 개발된 성취목표성향질문지(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13문항)를 김병준(2001)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운동포기 척도는 성창훈(2002)이 개발한 스포츠 탈퇴요인 척도(40문항)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단일적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포기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운동포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체육교과 선택, 지속, 선택포기 시 나타나는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여 체육교과 선택률을 높이고 학교체육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1,022명의 1,352건에 대한 반응을 귀납적 내용분석 한 결과, 고등학생의 체육교과 선택동기는 재미/흥미, 자신감, 건강증진, 교사호감, 교우관계 등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체육교과 지속동기는 재미/흥미, 자신감, 건강증진, 행동유지, 등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체육교과 선택포기동기는 성적, 재미결여, 자신감 부족, 소질계발, 정서함양, 수업환경, 교사호감, 교우관계, 선택권활용의 일반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 선택에 있어 의사결정과정을 탐색해 본 결과 학생본인의 생각으로 결정했다는 반응이 93.6%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내적동기이론에 근거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체육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 학생중심 체육수업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33.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mo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noxic(anaerobic)-Oxic-Anoxic-Oxic (AO)2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 (SBBRs) at the low TOC concentration. The operating time in anoxic (anaerobic) time to oxic time was 1:1.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aeration time distribution on the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removal. Three lab-scale reactors were fed with synthetic wastewater based on glucose as carbon source. During studies, the operation mode was fixed. The first aeration time to the second aeration time in SBBR-1 was 2:3, and those in SBBR-2 and SBBR-3 were 1:4 and 3:2, respectively.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didn't show large difference among three reactors of different aeration time distribution. However, from these study results, the optimum aeration time distribution in the first and the second aeration time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as shown as 3:2. The release of phosphorus was inhibited at the second non-aeration period because of the low TOC concentration and the nitrate produced by the nitrification at the first aeration period.
        34.
        200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move organics and nutrients using 2 stage intermittent aeration reactor. First reactor, using suspended microbial growth in intermittent aeration instead of anaerobic reactor in the typical BNR process, used minimum carbon source to release P, and it was possible to reduce ammonia loading going to second reactor. In the second reactor, using moving media intermittent aeration, it was effective to reduce nitrate in non-aeration time by attached microorganisms having long retention time. In aeration time, nitrification and P uptake were taken place simultaneously. From the experiment, two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moval of organics was more than 90%, and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for organic removal was corresponded with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for nitrogen removal. Second, in the first reactor,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was 15/75 (min.) because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75 min. of non-aeration time to suppress of impediment of return nitrate and to lead release of phosphate. In the second reactor, optimum aeration/non-aeration time ratio was 45/90 (min.).
        38.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iciency including reaction kinetics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ood processing wastewater by using an ejector-type aeration system (ETAS) in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in ETAS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of reactor. However, the optimum air velocity was found less than 1.82 m/hr at a superficial liquid velocity of 634 m/hr. The ETAS process showed higher organic material removal efficiency than that of the existing activated sludge process under hydraulic detention time ranged from 6 to 12 hours. This process, which can maintain MLVSS highly, is able to have high organic material removal efficiency at short HRT and deal with variable organic material loading.
        39.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cess intensification without any increase in bed requires the exploitation of fluid mechanical phenomena as the basis for elegant solutions to the process engineering problems which result from the need to retain and control the immobilized biomass, and for biomass recovery. The fluidized bed biological reactor provides a solution to these needs. The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the fluidized bed was filled with sand media. Indirect aeration were studied experimentally. The researcher was filled with sand particle size(0.60∼0.42mm) in three reactors with different section area(A)/height(H), in the state BOD loading 4.5㎏-BOD5/㎥·d, and under the fixed state of hydraulic retention time for around 32 minutes.
        40.
        199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oysauce wastewater removal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biofilters filled with two filter media respectively were experimentally examined with constant temperature, pH value and variable BOD loading and recirculation ratio. The decreasing order of BOD removal is Netring(random plastic media), cubic wire meshes(plastic module). This is mainly due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such as void ratio, specific surface area and media shapes. The BOD removal ratio decreases with increasing BOD_5 volumetric loading rate, and the loading rate for the BOD removal over 85% is lower than 1.5㎏BOD_5/㎡d for the plastic media of Netring and cubic wire meshes. The BOD_5 removal rate increases with the recirculation ratio, but the rate of increase become smaller as the recirculation ratio increases over 20. When BOD_5 volumetric loading is 1.5㎏BOD_5/㎡d, the required recirculation ratio to obtain 85% BOD_5 removal is about 20 for Netring and it was about 30 for cubic wire mesh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