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HA(Hyaluronic acid)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과 화학적 공유결합(terpolymerization) 방법으로 첨가한 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 율과 광투과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법: HA의 첨가는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IPN 방식으로 HA를 첨가하는 방법과 콘택트렌즈 제 조에 사용되는 HEMA 모노머에 methacrylate가 결합된 mHA를 합성시키는 화학적 공유결합 (terpolymer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광투과율은 300~800 nm 범위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결과: 두 방법에 의해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은 모두 9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 내었다. 함수율은 HA를 첨가하기 전(52.68%)보다 첨가한 후(57.60~60.88%)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유결합을 이용한 방법보다 IPN을 이용한 방법의 함수율 증가가 조금 더 높 게 나타났다. 결론: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에서 90%가 넘는 광투과율이 나타난 것은 HA와 콘택트렌즈 모 노머와의 결합이 상분리 없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HA의 화학구조에 하이 드록실기(hydroxyl group)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함수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mHA가 콘택트렌즈 내부에 분포되는 공유결합 방법에 비해 IPN에 의한 HA의 첨가 방법은 렌즈 표면 에 HA가 많이 존재하여 함수율의 증가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2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착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표면에 침착된 성분을 X-선광전자분광법으로 관찰하였으며, 투광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표면을 플라즈마 코팅한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다음, 표면에 침착물의 성분과 화학결합을 X-선광전자분광분석기(XPS)로 분석하였으며, 침착에 따른 광투과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착용 초기에는 점액질의 침착이 주로 일어나 40% 이상이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큰 증가가 없었다. 지방의 침착은 점액질보다 적지만 20%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가시광선의 광투과율은 착용 5일까지 3.4%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 1.2% 정도 더 감소하였다. 결 론: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이 친수성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침착은 주로 점액질에 의해 발생하며, 지방은 침착된 점액질에 쌓이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다. 침착물로 인하여 렌즈의 광투과율이 저하되었으나, 그 영향은 점차 감소하였다.
        4,000원
        23.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교차결합제의 구조와 양 변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와 오플록삭신의 용출농도와 속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 재료인 HEMA (2-hydroxy ethylmethacrylate)는 Junsei에서 구입하여 증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하였으며, 개시제인 AIBN(2,2‘-Azobisiso butyronitrile)은 Junsei사에서 구입하였다. 교차결합제는 분자구조가 다른 ethylene glycoldimethacrylate (EGDMA)와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co-3,9-divinyl –2,4,8,10-tetraoxaspiro[5.5]- undecane)(U)을 사용하였다. 항균제인 ofloxacin과 단백질인 bovine serum albumin(BSA), lysozyme 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콘택트렌즈는 두 종류의 교차결합제에 대해 각각 0.5%, 5%의 농도를 사용하였으며 HEMA를 사용한 기본 hydrogel 콘택트렌즈, 고함수 monomer인 NVP와 저함수 mon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여러 종류의 monomer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물성으로 제작하였다. 약물용출 속변화를 시험하기 위 해 ofloxacin을 포함한 콘택트렌즈를 시간대별로 용출되는 양을 분과광도계(Cary 100)를 사용 하였다. 약물용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차결합제의 종류와 양에 따른 약물 속도를 비교하 였다. 본 연구는 총 12종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물리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교차결 합제의 구조와 monomer 종류에 따른 약물용출속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ofoxacin이 포함된 콘택트렌즈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을 때 보다 함수율이 약간 감소하였 다. 교차결합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고함수, 저함수 콘택트렌즈 모두 함수율이 감소하였으며, 굴절률은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교차결합제의 구조가 다른 EGDMA와 U 두 종류 모두 같았다. 단백질 부착양은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 더 많이 부착되었으 며 styrene이 첨가된 저함수 콘택트렌즈에서는 단백질이 더 많이 부착되었다. HEMA재질의 렌 즈에서는 Ofloxacin이 포함되었을 경우 단백질 부착이 감소하였으나, styrene을 포함한 렌즈에 서는 ofloxacin 존재 시 오히려 단백질 부착양이 증가되었다. 교차결합제에 따른 약물용출 속 도는 EGDMA보다 bulky한 구조를 가진 개시제 U가 EGDMA보다 더 빠르게 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EMA와 NVP의 경우, 초반기의 약물 용출 속도는 크나 6시간 이후에는 비교적 일정한 형태의 속를 보였다. 그러나 저함수 momomer인 Styrene이 포함된 콘택트렌즈는 용출 속도가 가장 낮았지만, 용출속도는 초반부터 비교적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차결합제로 U사용 시 EDGMA보다 함수율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굴절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약물용출속도는 저함수 monomer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었으며, EGDMA보다 U를 사용하였을 때의 용 출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2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최근의 신기술로 개발된 우수한 재질의 매일 교체용 하이드로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임상적 증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33명을 대상으로 신기술로 개발된 매일 교체용 콘택트렌 즈(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인 바이오트루(Bauch+Lomb), 아큐브 모이스트(AUVUE), 프로클리어(Cooper Vison)를 선정하여 각각의 콘택트렌즈를 양안에 하루 8시간 이상, 5일 이 상, 2주씩 착용하도록 하여 총 6 주간 동안 이중맹검법으로 착용하도록 한 후 콘택트렌즈의 피팅 상태, 눈물 상태, 각결막 및 윤부의 염색 또는 충혈과 같은 타각 증상과 자각적 증상을 검사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프로그램(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으로 One-way ANOVA, t-test,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결과: 피팅 상태 평가에서는 3 종류 콘택트렌즈에서 모두 정상적인 피팅 상태를 보였지만 바 이오트루의 중심잡기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p=0.000)와 아큐브 모이스트는 래그와 푸쉬업검사 에서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p<0.01, p=0.000). 자각적 만족도, CLDEQ-8, 자각증 상의 빈도 및 정도 평가에서는 3 종류의 콘택트렌즈에서 피곤함의 빈도를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눈물 평가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눈물막파괴시간은 3 종류의 콘택트렌즈에 서 모두 정상 수준보다 짧았고 바이오트루 착용 후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NIBUT)과 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TBUT)은 아큐브모이스트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00, p=0.008). 염색 및 충혈 평가에서는 바이오트루를 착용한 경우 결막염색이 많이 관찰되었고 (p=0.000), 내측, 외측 및 하측의 윤부충혈과 구결막충혈 및 검결막 충혈은 3 종류의 콘택트렌 즈에서 모두 주의가 필요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하이드로겔 재질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눈물막 파괴시간은 정상수준보다 짧으며 콘택트렌즈 착용 후 염색 및 충혈의 증상이 주의를 요하는 수준으로 발생되었기 때문에 이러 한 증상의 원인 분석과 증상 완화를 위한 관리방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새로운 실리콘 모노머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와 2종류의 시판용 렌즈에 hyaluronan을 첨가한 다음 lysozyme, albumin, globulin 3종류 단백질에 대한 흡착량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렌즈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 Junsei)와 TRIM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98%, Aldrich) 등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cast mould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HA(Hyaluronic acid, LifeCore Biomedical) 첨가는 HA 에탄올 용액과 EDC (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methiodide, Aldrich) 용액을 사용하였다. HA의 첨가 전 후 렌즈의 함수율, 광 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 변화와 lysozyme, albumin,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을 제조하여 48시간 동안 흡착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각의 단백질은 HPLC로 정량하였다. 결과: HA가 첨가된 렌즈의 함수율은 첨가 전의 값에 비해 약 10% 증가하였으며, 광 투과율은 큰 변화가 없었다. HA를 첨가한 렌즈에서 시간에 따른 HA의 용출량은 48시간 동안 지수함수 형태로 증가하였다.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에 비해 HA를 첨가한 모든 렌즈에서 단백질 흡착량이 감소하였으며, 흡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감소효과가 크게 줄었다.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흡착량은 lysozyme>globulin>albumin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SHL 렌즈에서 최대 80% 이상 감소하였다. 결 론: Hyaluronan이 첨가된 모든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서 단백질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 3종류 단백질의 흡착 특성은 렌즈 표면의 친수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소결합이 가능한 hyaluronan의 첨가로 인해 렌즈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단백질의 구조적 변성을 방지하여 단백질 흡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2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전기분해 자동분석법(polarographic method)을 이용한 산소침투성 측정장비의 신뢰도를 평가하 고,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재질들의 산소침투성(Oxygen permeability; Dk)을 측정 하여 제조사에서 제시된 값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Dk 값이 제시되어 있는 -3.00D의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의 콘택트렌즈 8종을 선 정하고, 전기분해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산소침투성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 표본은 국제표준화기구(ISO) 규정에 따라 측정하고 Fatt와 Chasten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결 과: 8종의 시료 가운데 5종은 제조사에서 제시한 Dk 값보다 약간 높게 측정되었으며, 3종은 제조사에 서 제시한 값보다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한 가지 두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Dk 값과 여러 가지 두 께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Dk 값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여러 가지 두께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계 산한 Dk 값의 신뢰성이 더 높았다. 결 론: 3종의 콘택트렌즈는 제조사에서 제시한 Dk 값보다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나, 편차를 감안한 값들 의 일부는 제시된 Dk 값을 기준으로 ISO에서 정한 오차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전기 분해 자동분석기의 성능은 ISO 규격에 적합하며, Dk 값을 측정할 때 여러 가지 두께의 콘택트렌즈를 측정하 여 계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2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개월 교체용 생체친화성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매일 착용 방식으로 사용할 때 임상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며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27명 (27±6.9 )세 (남성 4명,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한쪽 눈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다른 쪽 눈에는 PC하이드로겔 렌즈를 매일착용 방식으로 착용하도록 하고, 착용 1일째 2주째 및 4주째 전반적인 피팅상태, 세극등 검사, Tearscope를 이용한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 및 자각적 착용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각막곡률반경, 굴절이상도, 나안시력과 안경교정시력, 눈물의 양과 질, 동공직경 및 수평방향 가시홍채 직경 모두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렌즈를 착용하기 전과 착용 후 4주째 세극등 검사에서 기준을 적용했을 때 두 가지 렌즈 착용군 모두 윤부충혈, 구결막충혈, 검결막충혈 상피스테이닝 결막스테이닝 및 침윤 모두 2등급 이하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은 렌즈 착용 1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19±1.38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0±1.32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001), 렌즈 착용 2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16±0.74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2±0.68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001), 착용 4주째에도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5.40±0.83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4.77±0.75초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교정시력 (Log MAR)은 렌즈 착용 1일째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45±0.039,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35±0.04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36), 렌즈 착용 2주째에도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56±0.039,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은 -0.033±0.06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12), 착용 4주째에는 PC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0.050±0.034,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군 -0.023±0.05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세극등 검사 결과 렌즈를 착용하기 전과 착용 4주째 두 가지 렌즈 착용군 사이에서 윤부충혈, 구결막 충혈, 검결막 충혈, 상피 스테이닝, 결막 스테이닝, 침윤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CCLRU 기준에서 2등급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자각적 착용감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처음 착용시 편안함 렌즈를 제거하기 전 편안함과 충혈 및 건조감 그리고 전반적인 착용감에서 모두 비교적 좋다는 응답을 보였고, 두 가지 렌즈 착용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자각적 선호도에 대한 설문에서 2주째와 4주째 모두 PC하이드로겔 렌즈의 선호도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높았다. 이상으로부터 PC하이드로겔 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사이에서 세극등검사 결과와 자각적 착용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렌즈전면 눈물막파괴시간, 교정시력 및 자각적 선호도는 PC하이드로겔 렌즈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