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조건을 체계적으로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9 mg/L 2,4-D와 0.1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5 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5
        4,000원
        2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크네시아의 뿌리로부터 유도된 캘러스에서 부정근 을 유도하고 이를 액체배양을 통해 효율적으로 증식하 는 배지조건을 조사하였다. 실생뿌리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는 조건은 NAA 0.1mg·L-1가 함유된 MS 기본 배지에 sucrose 30g·L-1, 한천 10g·L-1를 처리 한 것 이 가장 양호하였다. 캘러스로부터 부정근의 유도에는 NAA 0.01mg·L-1를 단독처리 한 배지에서 가장 양호 하였으며, NAA에 BA를 첨가하면 오히려 NAA의 부 정근 유도 효과를 감소시켰다. NAA처리는 동일한 농 도의 IBA보다 부정근의 수와 생체중의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액체배양 후 약 6주후에 생체중이 최고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는 SH배지 보다 MS배지가 효과적이었는데, 농도는 기본배지의 50% 성분량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탄소원으로 는 glucose보다 sucrose가 효과적이며 60g·L-1를 처리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질소원으로 KNO3와 NH4NO3의 첨가비를 비교한 결과 KNO3와 100%, NH4NO3는 50%를 첨가한 배지가 부정근의 생체중 증 가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2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차드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3가지 품종의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 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생장조절 물질로는 3mg/L 2,4-D 또는 dicamba와 0.1mg/L BA를 혼용첨가했을 때가 단용첨가구에 비해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효율은 'Roughrider'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Frode'
        4,000원
        2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백두산 자생 참돌꽃의 발아조건과 종자, 유식물 및 뿌리유래 캘러스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뿌리로부터 캘러스 유도는 2,4-D 및 NA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유도되었다. 캘러스 형성율은 2,4-D 2.0 mg L-1에 kinetin 1.0 mg L-1 혼용 처리구가 NAA 2.0 mg L-1에 kinetin 1.0 mg L-1 혼용 처리구보다 캘러스 형성율이 높았
        4,000원
        2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최적 조직 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캘러스 유도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율은 3mg/L 2,4-D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85%로 가장 높았으며 NAA 또는 IAA를 첨가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0.1 mg/L 2,4-D와 5 mg/L BA가 첨가된 N6 배지
        4,000원
        2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n from seeds of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g 2,4-D 3 or 5mg/l was used for callus induction,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volu
        3,000원
        30.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 종자로부터 직접 갤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데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ge and Skoog) 및 N6(Chu). 배지중에서 MS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시에는 2,4-D 를 첨가한 조건, 캘러스 증식시에는 2,4-D 을 첨가한 조건이
        4,000원
        3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즈풋 트레포일 (Lotus corniculatus L. cv. Empire)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ng and Skoog), N6 (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 및 중식시에는 2,4-D 3 m g / ℓ 을 첨가한 조건이 가장 효율이 좋았다. 식물체 재분화 조건은 BOi2Y 배지에서 20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며 재분화를 완성한 조건 2가 더 좋았으며,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60일이었다.
        4,000원
        3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實驗은 Vernal알팔파의 callus 誘導에 미치는 몇가지 要因들에 對하여 糾明하고자 逐行되었으며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誘導에서 auxin 源으로서 2,4-D를 2-5mg/1 單用處理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基本 培地 中에서는 B5와 SH가 callus 誘導에 가장 效果的이었는데, PC와 MS 培地에서 生成된 callus는 friable 하였다. 培地#의 pH는 5.8이 가장 좋았으며 7.0 以上에서는 callus는 거의
        4,000원
        34.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약(葯) 배양(培養)에 있어서 이삭내(內), 이삭당(當) callus의 형성량(形成量)의 차이(差異)와 형성(形成)된 callus의 처리과정(處理過程)의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한 callus 형성량(形成量)의 증가(增加)와, 분화(分化)에서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의 행장(生長)에는 고체배지(固體培地)가 액체배지(液體培地)보다 양호(良好)하였고, 특히 N-6배지(培地)가 19.8배(陪)의 생장율(生長率)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분화(分化)에서도 역시 N-6배지(培地)가 뿌리에서 37.50%의 분화율(分化率)로 가장 높았으며, P. E 배지(培地)는 callus생장(生長)에는 M-S배지(培地)보다 불량(不良)하였으나 분화율(分化率)은 5% 높았다. 한 이삭내(內)에서는 극히 제한(制限)된 수(數)의 약(葯)에서만 callus가 형성(形成)되었으나 그 분포(分布)는 넓은 편이었다.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 형성량(形成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특히 에 5일간(日開) 처리(處理)한것은 처리(處理)하지 않은것보다 38%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의 형성시기(形成時期)가 빨라지며 형성기간(形成期間)의 폭(幅)도 넓어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약(葯)에서 형성(形成)된 callus는 빨리 분화배지(分化培地)에 이식(移植)하는 것이 분화율(分化率)이 높으며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할수록 분화율(分化率)이 감소(減少)하였다. 고농도(高濃度)의 2, 4-D는 Callus의 생장과정(生長過程)에서 분화능력(分化能力)을 유지(維持)시켜 주는것으로 추정(推定)되며 분화중(分化中)의 callus는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뿌리에는 급격(急激)한 분화율(分化率)의 감소(減少)를 야기(惹起)시키나 줄기에는 에 5일간(日間) 처리(處理)한 것이 유효(有效)하였다.
        4,000원
        3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callus which has not been reported until now and the culture optimization. The potential of callus cultures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allus and wild planting.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provide data on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for the active ingredient produc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callus extraction. Methods and Results : We tried to induce callus by introducing it in vitro culture by using leaves and stem of Abeliophyllum distichum grown in Goesan Chungbuk.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the callus, TDZ, NAA, 2,4-D, IBA and BAP were treated with 0.25 to 5 ㎎/ℓ of single hormone, and the combination hormones were treated with two concentrations of BAP (0.1, 1.0 ㎎/ℓ) and 2,4-D, NAA, IBA at 0.1 ㎎/ℓ and 1.0 ㎎/ℓ.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inorganic salt concentration on somatic embryogenesis, the incidence of callus was examined by culturing 1X, 1/2X MS medium for 4 weeks. As a result,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 and treatment concentration on the callus form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callus induction was the fastest in the 2,4-D condition, but the callus indection was slow. The highest amount was produced ine the NAA condition. The axillary bud was best grown in TDZ condition, but no root was formed. LC chromatogram was able to compare the contents of leaf, stem extracts and callus extracts. Antioxidant ativity showed excellent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xtracts of the wild planted stem. Conclusion :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callus were 1/2X MS, 1 ㎎/ℓ BAP and 0.1 ㎎/ℓ of 2,4-D. As a result of LC chromatogram, it was confirmed that callus extract contained a large amount of the same components as the stem and leaf extracts grown on the wild planting. Currently, Studies on mass culture using bioreactor to utilize this are underway, We could confirm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cultured products.
        3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hododendron brachycarpum belong to Ericaceae family is northern herbaceous plant and grows high in mountains of Korea. Traditionally, this plants have been used to treat arthralgia, neuralgia, hypertension, roborant and diuretic. In spite of medicinal values, natural populations are decre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grows slowly. Therefore it need to secure plant materials and in vitro culture is able to the alternative method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PGRs treatment using leaf and petiole explants. Methods and Results :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surface sterilization agents (NaOCl and HgCl2) and time were tested. Best results with lower contamination and higher explants survival were recorded with 2 - 4% NaOCl for 1 minutes and 0.5 - 1.0% AgNO3. Callus was obtained when cultured onto MS medium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 and combination of 2,4-D, BA and NAA. Maxium induction of callus was obtained from combinations of 2.0 ㎎ l-1 2,4-D and 1.0 - 2.0 ㎎ l-1 BA from leaf explants. Petiole explants were more effective to induce callus than leaf explants from combination of 1.0 ㎎ l-1 2,4-D and 0.1 - 1.0 ㎎ l-1 BA. Conclusion : The resultes provide that different explants and PGRs combinations were good source of callus induction.
        3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orean ginseng require 3 - 4 years to produce mature seeds from their mother plants. Therfore, it takes over 20 years to genetic fixation by artificial crossing of 8 generation. Anther culture is a useful method for obtaining homozygotes in only one generation. Howev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ginseng y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allus induction of anther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plant growth regulators in Panax ginseng C. A. Meyer. Methods and Results : Flower buds of P. ginseng were cold pretreated at 2 days before the anthers were plated on the induction medium. The flower buds were immersed in 70% ethanol for 30 sec min, washed two times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surface-sterilized in 2%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for 20 min, then rinsed five times with sterile distilled water. The anthers were placed on Petri dishes containting fiftee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ombinations of 2,4-D, NAA, BAP and KT. Callus induc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ype and combin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The highest callus induction rate was observed in GR5 medium at 79.2%. The 2,4-D mediums had significantly higher callus induction than the NAA medium, and 2,4-D 1 ㎎/ℓ have a higher callus induction rate than the other concentrations. The increase of callus induction rate was not observed by the addition of cytokinin, but the callus induction rat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BAP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llus induction rate between BAP and KT. Conclusion : The important factor for inducing callus of ginseng anther was the addition of 2,4-D, and no effect of cytokinin addition could be found.
        3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Callus cultivation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a large amount of tissue of a plant in a laboratory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for extracting an active substance. In the present study, callus formation was induced in the leaves of the succulent plant Adenium obesum (Forssk.) Roem & Schult. After callus cultivation, anti-inflammatory activity tests were conducted, because leaves and stems of A. obesum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biological activity.Methods and Results:In order to induce callus formation, various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factors, such as kinetin, naphthaleneacetic acid (NAA), 6-benzyladenine (BA), and indole-3-acetic acid (IAA) were added to MS solid medium. The maximum callus proliferation was induced by mixed medium consisting of NAA (2㎎/ ℓ ) and BA (1㎎/ ℓ ). In addition, an elicitor was added to the medium under optimal conditions for initiating suspension culture. After suspension culturing, the activities of the callus extra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tests reveal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callus extract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were elevated after treatment of the callus culture with the elicitior.Conclusions: A. obesum callus might be considered as potential source of biologically active anti-inflammatory material.
        3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이오에너지 작물로 주목받고 있는 억새(Miscanthus sinensis)의 성숙 종자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고 식물체를 재생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억새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조건을 알아보고자 기본배지와 2,4-D의 농도, proline의 농도, 배지고형제의 종류와 농도 처리를 각각 실시하였다. 기본배지로 MS배지와 N6배지를 두고 2,4-D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MS 배지에 2,4-D 4.0 mg/L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캘러스 형성율이 42.2%로 가장 높았다. Proline은 종자로부터 캘러스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3.0 g/L 이하의 저농도에 비해 12.0 g/L를 첨가하는 것이 캘러스 형성에 좋았다. 배지 고형제는 agar에 비해 Phytagel이 효과적이었으며 Phytagel 2.25 g/L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캘러스 형성율이 86.1%로 가장 높았다. 억새의 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는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고, 캘러스 유도 3개월 후 진한 노란색의 둥근 돔 형태를 갖는 캘러스를 분리하여 신초 재생에 이용하였다. 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호르몬 무첨가 MS 배지 또는 MS 배지에 BA 1.0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여 신초 재생을 유도할 수 있었다. 재생된 신초는 신장과 발근을 거쳐 소식물체로 발달하였으며, 소식물체는 성공적으로 활착되었고 정상적인 표현형을 나타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