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21.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탄소 포집 물질인 γ-C2S를 함유하고 있는 Stainless Steel Slag AOD를 포함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역학적 및 미세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γ-C2S는 비수경성이며 그러므로 물과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γ-C2S는 물에 의한 탄산화 양생조건에서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그 반응은 페이스트 안의 공극을 치밀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STS-A를 사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공극구조는 탄산화 (CO2 농도는 약 5%)후에 수은압입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Fractal 특성은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구조변화는 탄산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STS-A를 포함하는 탄산화 시멘트 페이스트는 강도가 증가하였고 공극구조는 더 치밀해졌다.
        2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carbonation according to strength of concrete members for bridge in marine enviroment. Also depth of carbonation according to age for 100 years is estimated by carbonation rate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depth of carbonation decreases with increasing strength. This is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water-cement ratio and amount of unit cement are influenced by the concrete mixing. Also, It is anticipated that rebar corrosion due to carbonation will not occur in concrete members.
        2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ld electric transmission tunnel over thirty years old in northern Seoul is operated with Ttukdo substation as its starting point and 41km-length since March, 1980, and the trend is an icrease in embedded electric power structures over thirty years old beyond sixty kilometers. If the corrosion occur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t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actor among deterioration factors .By examing the seventy-two cases of concrete carbonation and covering depth in order to analyze the concrete carbonation of electric power structures over thirth years old in Gangbuk-gu, this paper atempts to analyze carbonation coefficient, remaning service life, and concrete carbonation of old embedded electric power structures for reference to predict the concrete carbonation progress.
        2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detect carbonation region of concrete using a silhouette coefficient.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exhibited that the developed technique provided accurate detection of carbonation region of concrete.
        2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접 탄산화(indirect method) 및 양이온 공급원으로 사문암(serpentinite)을 이용하여 광물탄산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와 사문암 내 알칼리 토금속(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고 순도의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을 합성할 수 있었다. 마그네슘 추출을 위해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였고 Mg 추출률 향상을 위해 황산암모늄 농도, 반응온도 및 사문암과 추출 용매의 비(고액비) 등 여러 반응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2 M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여 300℃ 반응온도에서 고액비(5 g/66 mL) 실험을 진행한 경우 약 80 wt% 이상의 Mg를 얻을 수 있었다. Mg 추출률은 추출 용매 농도 및 반 응온도와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에서 얻어진 암모니아(NH3)는 회수하여 탄산화 과정에서 필요한 pH 복원제(pH swing agent)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약 1.78 M 암모니아를 회 수할 수 있었고 지구화학 모델링을 통해 사문암의 Mg 추출 과정의 핵심 단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2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준 시료의 분광 분석으로부터 획득한 각 원소별 파장 특성 값과 검사대상 미지 시료로부터의 파장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미 지 시료에 함유된 원소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LIBS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열화 요인 을 규명하는 것에 대하여 LIBS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LIBS를 통해 염화물, 황산염, 탄산화 모르타르 시험체에 대한 유 해 열화인자 정량 검출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콘크리트 열화 진단의 LIBS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염화물과 황산염 시험체 각각에 대하여 LIBS 실험을 실시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소 및 황 이온의 LIBS 스펙트럼 파장 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산화 시 험체의 경우 탄산화 노출 기간에 따른 탄소 이온 LIBS 스펙트럼 파장 강도는 다소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로부터 콘크리트 열화 진단에 LIBS의 적용가능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 탄산화의 경우 시멘트 자체에 탄소 성분이 함유 되어 염화물 및 황산염 시험체의 정량 검출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탄산화에 대하여 LIBS를 적용하 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매개변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cause of corrosion in reinforced concrete is diffusion of degradation factors such as chloride ions, carbon dioxide, and sulfate ions. To monitor the extent of the corrosion in reinforced concret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track the diffusion of degradation factors. In this paper, we suggest thin-film iron sensorto measure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The sensor indicates results as electrical resistance and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The sensor and contact pad are connected by an 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 bonding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contact electrical resistance. The sensor’s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s with corrosive behavior and external chloride ion concentration. Use of these thin-film iron sensors enables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the depth of chloride ion diffusion in concrete.
        28.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Results of mock-up test for mitigating carbonation of high volume mineral admixture concrete by spreading waste cooking oil. Concrete incorporating 60% of BS and 30% of FA with the size of 900×600×200 are discussed. Denatured Silicate paint is also appli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ERCO and DSP enhance carbonation resistance.
        3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rbonation phenomena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is important. So, this study conducted a visual inspection and a concrete durability test in Precise Safety Diagnosis, analyzed the result, and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pair method and range of concrete carbonation.
        3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preads, interest in the durability of structures is increasing. Among them, carbonation of concrete is one of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carbonation, many researchers are predicting carbonation considering water-cement ratio and environmental requirement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parameters based on the concrete mad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in the existing experimental data. The depth of carbonation deduced from the learning is applied to the carbonation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3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were evaluated by making 50% and 100% admixture ratio of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through nano bubble carbonation modification.
        3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rbonation phenomena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is important. So, this study conducted a visual inspection and a concrete durability test in Precise Safety Diagnosis, analyzed the result, and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pair method and range of concrete carbonation.
        34.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범지구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 지구온난화 현상은 해결해야하는 필수 과제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 중에서 이산화탄소는 낮은 지구온난화 지수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은 양으로 인해 지구온난화 현상에 대해 가장 큰 책임을 가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기술로 금속 이온과 이산화탄소의 결합을 통한 무기탄산화 기술이 최근 떠오르고 있다. 무기탄산화 기술의 가장 큰 가능성 중 하나는 다양한 금속이온을 가지고 있는 폐기물을 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폐기물 중 다량의 Ca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산재를 이용하여 무기탄산화, 그 중에서도 수용액 내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직접수성 탄산화를 통한 탄산칼슘 생성에 대해 다루었다. 다량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 비산재를 보다 순수한 형태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온 (70℃)의 물로 세정하여 이용하였다. 총 500 g의 흡수제 중 세정한 비산재가 10 wt% (50g) 포함되었고, 5 wt% (25 g)의 NaOH 첨가 유무에 따른 CO2 저감량의 차이를 CO2 로딩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생성물에 대하여 XRD 그리고 TGA 분석을 통해 구성성분 및 순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35.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 각지에서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은 대한민국과 같이 적절한 저장소를 찾기가 어려운 국가에서는 상용화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조건을 가진 국가에서는 CCS 기술을 대체하기 위하여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CCU) 기술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흔히 알려진 폐기물인 레미콘회수수를 이용하여 CCU 기술 중 하나인 무기탄산화에 대해 다루었다. 무기탄산화란 금속 이온과 CO2를 반응시켜 금속 탄산염을 얻는 기술이다. 레미콘회수수는 다량의 Ca2+를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금속 이온 공급원으로 사용하여 고순도 탄산칼슘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탄산화 과정에서 암모늄염 첨가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H4SCN, NH4NO3, NH4Cl 세 가지 암모늄염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탄산화 실험에서 여과한 레미콘회수수 상등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30 wt% MEA, 3 wt% 암모늄염을 첨가한 용액 400 g과, 레미콘회수수 고체 100 g을 더하여 총 500 g의 흡수제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에서 CO2 흡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CO2 로딩 분석 및 그래프 도시를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생성된 결과물을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그리고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분석을 통해 생성물의 구성 성분 및 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6.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외 간접탄산화 연구는 기술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용제 재사용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용제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킬레이트제인 trisodium citrate, malonic acid disodium salt, adipic acid disodium salt를 이용하여 알칼리 산업부산물인 제지슬러지 소각재(PSA)와 시멘트 킬른 더스트(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탄산화를 통해 고순도 탄산칼슘을 생성하고 용제를 재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각 용제 별로 PSA와 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고 탄산화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고, 용제 재사용을 위한 칼슘용출 및 탄산화반응의 적정조건을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용제에 대해 칼슘용출효율은 CKD가 PSA보다 더 높았으나, 탄산화효율은 두 가지 산업부산물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3회의 용제 재사용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칼슘용출효율, 탄산화효율, 탄산칼슘 생성량 및 순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액비 1:50 조건에서 PSA와 CKD로부터 칼슘을 용출하는 용제의 최적농도는 0.1~0.3 M이었으며, 탄산화효율은 70~90 %이었다. 용제를 3회 반복 사용하여 얻은 평균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용제별로 차이가 있었고, trisodium citrate, malonic acid disodium salt, adipic acid disodium salt 용제에 대해 각각 199, 125, 102 kg-CO2/ton-waste이었다. 탄산칼슘 생성량은 세 가지 용제에 대해 각각 452, 284, 232 kg-CaCO3/ton-waste이었다. 수득한 탄산칼슘은 XRD 분석을 통해 calcite임을 확인하였으며, 탄산칼슘의 순도는 최대 99.6 %이었다.
        3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effects of concrete according to addition of blast furnace slag and sulfuric alkali-activator. Blast furnace slag was used at 30~80% replacement by weight of cement, and liquid sulfur having NaOH additives was chosen as the alkaline activator. In order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blast furnace slag concrete with sulfuric alkali activators, compressive strength test, carbonation test were performed.
        38.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tudy carbonation progress after surface repair of carbonated concrete, each carbonation penetration velocity from different repair materials of concrete structure is compared through the experiment of carbonation accelerating CO2 concentration to 100%
        3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단면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중성화와 염화물 침투에 의해 진행되는 내구성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콘 크리트의 특성과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매개변수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의 미세 공극 구조의 변화 및 중성화와 염소이온 투 과의 상호 화학반응이 직접 지배방정식 형태로 고려된 최신 모델을 사용하여 이 복합작용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 염소이온, 열 및 수분의 복합적인 이동이 직접 고려되었다. 문헌상의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델의 입력변수를 결정하고 계산의 편의성을 증진시켰다. 이 모 델을 상용유한요소 프로그램인 COMSOL의 사용자 모듈형태로 개발 하였다. 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물-바인더비 (w/b), 골재-바인더비 (a/b), 플라이에쉬 함량, CSH 함량, 콘크리트 초기공극률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중성화와 염소이온 침투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재료 물성치에 영향을 받는다.
        40.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MSWI) fly ash was used for accelerated carbonation via bubbling of gaseous carbon dioxide (CO2) after treatment with sodium hydroxide (NaOH). The influence of alkaline concentration and volumetric flowrate of CO2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arbonation reduced the leaching of Cu, Pb, Zn, and Cr. The pH of leachate decreased from around 12 to 10.5. The content of soluble chlorides was also decreased after carbonation.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of accelerated carbonation enhanced the sequestration of CO2 from MSW incineration plants. The TG/DSC analysis indicated that MSWI fly ash sequestrated approximately 185 g CO2/kg wast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