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23.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isting non-destructive test for evaluati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ay show deviation in results analysis due to deterioration of precision by strength calibration and dry or humid condition by age, so there needs be testing method to determine long term structural internal force by collecting specimen with no damage of structure and measuring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destruction test. This research applied to mock-up member the compressive strength evaluation method using joint separation mold that can plan and produce specimen cured in the same composition environment as concrete structure by attaching arbitrary(joint separation) to the form before concrete piling, and as a result, the management specimen was contrary to the hydration temperature of the member or was affected by external atmospheric temperature, however the joint separation specimen connected to structure and managed in the same environment showed a temperature curve similar to the member and decrease in temperature difference. Additionally, from initial age,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of joint separation specimen most similar to core strength,stable compressive strength can be evaluated up to design criteria strength 100MPa, so the method is proposed as an evaluation technique that can confirm highly reliable concrete quality.
        4,000원
        2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크리트에서 강도는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중 하나이며 압축강도의 경우 실험의 편리함과 범용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재료와 양생조건 등에 따라 압축강도가 달라지며, 특히 동일 재료라 하더라고 양생조건에 따라 강도는 변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시공한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기위해서는 현장과 동일한 양생조건에 놓여야만 정확하게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밤낮으로 변화하는 현장의 양생조건을 실내에서 묘사하기란 쉽지가 않다. 또한 실제 콘크리트 포장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포장체에 코어를 뚫기 때문에 손상이 가해지는 걸 피할수는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미 비파괴 기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중 탄성파를 이용해 이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파 속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생조건에 따른 압축강도와 전단파 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동일 시멘트 페이스트를 3가지 서로 다른 양생온도에서 재령별 압축강도와 탄성파 속도의 변화를 측정했으며, 이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양생온도는 재령별 압축강도증진과 탄성파 속도증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압축강도와 전단파 속도와의 상관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valuation of the concrete strength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maintenance and the structural safety. The reliability of ferroconcrete building is weakening and enlarging the life is strongly demanded due to the early deterioration of concrete. Like this social demand, concrete strength presumption is being indirectly executed using the result in parallel with the concrete pouring by material age. This data is usually different as concrete poured practically and the way of hardening and curing. Although existing concrete strength presumption formula is proposed, the material used and the concrete strength is different. And as a matter of remicon, the concrete strength varies according to the site and the way of curing. S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trength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according to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temperature change seasonally after using the system which evaluates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strength which is applied the transparent junction-separation mold that is presented. Also there is an objective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constructional quality technique proposal of the structural body concrete developed in relation to field specimen and the strength evaluation method by non-breaking.
        4,000원
        2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신설된 콘크리트 포장과 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관리 인자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다양한 배합설계를 이용하는 실험실이나 도로포장 시공 현장처럼 동일배합으로 지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도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 평가용으로 많이 제작하여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동일배합에 동일다짐을 한 압축강도 공시체라 하더라도 강도시험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수동으로 재하속도나 변위를 조절하는데서 기인한 압축강도시험 장비의 오차일수 있고 공시체의 편심으로 인한 강도차이 등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동일한 배합의 재령별 압축강도를 매 시공때 마다 조사할 경우 수많은 공시체 제작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 압축강도 시험을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파괴를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파괴 실험 방법 중에서 탄성파를 이용하였으며 그 중에서 구속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이 없는 전단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재령별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전단파 속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
        200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cause of building higher story and larger buildings, and because current concrete, a basic construction material, needs higher strength rather than normal strength, the use of high-strength concrete becomes more widely spread. High-strength concrete shows very high temperature increase due to inside heat of hydration different from normal-strength concrete, and because mass concrete under low temperature shows temperature stress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it is known or repor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rtucture and that of specimen for management, and between the compressivestrength of circular specimen made by standard underwater curing and structure concre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an adiabatic curing box was manufactured which can provide hydration heat hysteresis of high strength mass concrete members and similar hydration heat hysteresis, using insulating materials, as a easy and exact method to manage compressive strength of rnass concrete member under low temperature, and the features of concrete member and those of specimen for management were compared.
        4,000원
        3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관리 항목 중에서 압축 강도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여겨져 왔다. 압축 강도 값을 얻기 위해 현장에서 코아를 채취하여 이를 품질관리의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그렇지만, 코아를 채취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실제로 현장의 품질관리를 정확히 추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포장의 설계 방법도 탄성계수에 근거한 역학적-경험적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현장의 품질관리 문제점을 해결하고, 포장설계와의 연계를 위해 비파괴 실험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비파괴 실험 방법 중에서 이론적으로 탄성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Wave Propagation방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Wave Propagation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중의 일환으로 실내에서 제작한시편의 압축 강도와 비파괴 방법으로 얻은 탄성 계수와의 상관성을 검토하였으며, 비파괴 방법으로 얻은 탄성 계수로부터 압축 강도를 추정 할 때 배합별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파괴 실험에서 구한 탄성계수와 압축강도와의 상관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골재의 종류별로 상관성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단층 구조물의 구조 부재 위치에 대한 비파괴검사법을 이용한 추정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둥, 벽체, 보 및 슬래브로 구성된 실험체를 제작하고, 기존 추정식과 비교 과정에서 정확한 분석을 위해 오차율 비교와 모평균 구간 추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접근을 통한 신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 율은 18.8%,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한 결과와 코어시험 결과를 비교한 전체 평균 오차율은 20.1%가 도출되어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재별 신뢰성 부분에서 초음파속도법과 반발경도법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서 각각 벽체 부재와 보 부재를 중심으로 압축강도 추정 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축물 붕괴사고 빈도수가 증가하면서 안전진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신뢰도 높은 안전진단기법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2018) 자료에 따르면 노후건축물 수에 비해 안전진단관련 전문기관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 값과 코어 시험을 이용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추정오차율 비교와 신뢰도 구간 추정을 하고, 최소인원으로 신속하게 효율적인 구조물 안전진단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4.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strength correction factor to compensate the strength delay at designed age caused by the temperature drop in low temperature condition. Strength correction factors due to temperature drop T28 were provided using the constant function model.
        3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valuated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replacement ratio of blast furnace slag fine aggregate and ferronickel slag fine aggregat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natural fine aggregate with steel slag for fine aggregate. Test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steel slag fine aggregate improves the fluidity of concret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as higher than plain concrete.
        3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concrete mixed with electric furnace slag were evaluated. The concrete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the steel slag as coarse aggregate and heavy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From the results,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elastic modulus were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electric furnace slag.
        3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re is extracted to evaluate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actual structure. However, the core strength can vary in the core size due to two reasons - size effect in fracture mechanics and effect of coring dam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quantitatively the difference in strength due to these effects. The core damage tended to increase relatively as the core section was smaller. The strength difference due to the size effect in fracture mechanic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ring condition and was measured to b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38.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압축파괴에너지를 이용하여 고강도 구속콘크리트에 대한 응력-변형률 모델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5]에서 저자가 실시한 압축실험에는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한 아크릴 막대를 실험체의 중앙부에 매립하여 압축부재의 국부 변형률 측정을 시도하였다. 이 아크릴 막대를 이용한 국부 변형률 측정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파괴영역길이는 아크릴 막대로부터 측정된 국부 변형률 분포에 기초하여 정의되었다. 구체적으로, 구속콘크리트의 국소파괴영역길이는 압축강도 발현시의 변형률 εcc의 2배 이상 변형률이 증가하는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동일한 횡구속압을 받는 압축부재에 흡수된 에너지양은 부재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압축파괴에너지를 도입한 구속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은 본 연구의 실험결과뿐만 아니라 타 연구자들의 실험결과를 대체적으로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9.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라 리모델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구조물의 품질관리 중요성이 대두되어 구조물의 안전진단 및 상태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노후건축물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구조물의 결함을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진단평가기법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재건축을 위한 안전진단 기준이 개선되어 구조안전성의 가중치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신뢰성 높은 구조물의 안전진단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연구는 공시체를 기반으로 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실제 건축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부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인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수직 및 수평부재로 구성된 단층 규모의 구조물을 대상으로 초음파속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고자 하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구조체의 압축강도 추정 평균 오차율은 28.7%로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복합 비파괴검사법을 이용한 신뢰도 높은 진단기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4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eavyweight industrial waste was used as concrete ingredient instead of natural aggregate, however, design standard did not consider effects of heavyweight aggregate on flexural strength. Therefore, in this paper,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using industrial was compared. From the results,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decreased with industrial waste increasing. And, it was shown that the test results of flexural strength were higher than the predicted value from design standar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