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2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적 :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비교하여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 환자를 관찰하기 위한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0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삼각 섬유성 연골 손상을 주호소로 본 기관을 내원한 환자 9명(남: 5명 여: 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통해 획득한 관상면 영상과 획득한 영상을 축상면 및 시상면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가지고 삼각 섬유성 연골과 월상골, 배경신호의 신호강도 값을 측정하여, SNR 및 CNR 값을 계산하고, Mann-Whitney U-검정으로 두 기법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는 영상의학의 2명이 각각의 영상을 관찰하여,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영상 내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의 3가지 항목을 선정한 후 이를 4점 척도(0: 진단 불가, 1: 부족함, 2: 충분함, 3: 좋음)로 평가하였고, Kappa-Value을 이용하여 두 관찰자간의 일치도 검증을 하였다. 영상획득에는 3.0 T MR 장비와 Extremity RF Coil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정량적 평가 결과, SNR의 평균값은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관상면, 재구성 축상면, 재구성 시상면이 각각 19.00±1.96, 17.69±1.52, 17.84±1.12의 값을 나타내었고,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는 각각 22.62±1.00, 20.64±1.53, 20.23±1.70 의 값을 나타내었다. CNR 평균값의 비교는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관상면, 재구성 축상면, 재구성 시상면이 각각 18.62±1.19, 10.41±1.30, 10.28±1.18의 값을 나타내었고,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의 경우 각각 22.62±1.00, 17.69±1.39, 17.35±1.64의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영상 단면에서 SNR값 및 CNR값이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정성적 평가 결과에서 관찰자1의 경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51±0.5, 2.33±0.5, 2.44±0.5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33±0.5, 2.22±0.4, 2.44±0.5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33±0.5, 2.33±0.5, 2.33±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77±0.4, 2.77±0.5, 2.77±0.4 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88±0.3, 2.88±0.3, 2.88±0.3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66±0.5, 2.88±0.3, 2.77±0.4 의 값을 나타내었다. 관찰자2의 경우,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55±0.5, 2.33±0.5, 2.44±0.5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33±0.5 2.33±0.5, 2.55±0.5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22±0.4, 2.33±0.5, 2.55±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에서는 삼각 섬유성 연골의 형태, 인공음영, 병변의 묘사 정도가 각각 관상면에서는 2.88±0.3, 2.77±0.4, 2.77±0.4이고, 재구성 축상면에서는 2.88±0.3, 2.88±0.3, 2.88±0.3이고, 재구성 시상면에서는 2.66±0.5, 2.88±0.3, 2.66±0.5의 값을 나타내었다.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영상 기법의 평가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Kappa-value 검증을 이용한 두 관찰자 간 평가 결과의 일치도 검증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 론 : 삼각 섬유성 연골 파열환자에서 3D FSPGR with Fat Saturation 기법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한 결과 Isotropic 3D FSE with Fat Saturation 기법이 삼각 섬유성 연골 병변의 감별에 보다 많은 진단적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본 연구는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Single-shot echo planar imaging기법과 single-shot turbo spin echo기법에서 발생하는 왜곡의 차이를 비교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 대상은 2015년 7월부터 9월까지 확산강조영상을 획득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Ingenia CX, Philips medical system과 20 channel dS Head Neck Spine 코일을 사용하였다. 매개변수로는 T2 WI의 경우 TR 3000msec, TE 80msec, FOV 230×180mm, matrix 512×320, NEX 1로 하였으며, SS-EPI DWI의 경우 TR 3000msec, TE 58msec, FOV 230×180mm, matrix 120×90, NEX 2, SENSE factor 2.5로 하였고, SS-TSE DWI의 경우 TR 3000msec, TE 56msec, FOV 230×180mm, matrix 120×90, NEX 2, SENSE factor 2.5로 하였다. scan time은 T2 WI가 2분 6초, SS-EPI 1분 3초, SS-TSE 2분동안 검사하였으며, b-value는 0, 1000으로 설정하였다. 영상의 왜곡에 대한 측정은 Image J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분석방법은 대응표본 t-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 기법에 따른 DWI의 왜곡은, 기준영상인 T2 WI(228.92±28.77)에 비해 b0의 경우 SS-TSE (213.57±23.63)가 SS-EPI(206.57±21.64) 보다 영상의 왜곡이 적었고, b1000의 경우도 b0와 마찬가지로 SS-TSE(234.83±34.97)가 SS-EPI(214.62±38.22) 보다 영상의 왜곡이 적게 측정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b0의 경우 p>0.05, b1000의 경우 p<0.05로 측정되었다. 결 론 : 확산강조영상은 짧은 시간 내 초기 허혈성 뇌졸중을 감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영상획득을 위해 일반적으로 SS-EPI를 사용한다. 그러나 SS-EPI는 물과 지방 또는 공기와 같이 자화율 차이가 큰 물질이 인접해 있을 경우 자화감수성 효과에 의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SS-TSE 적용 시 왜곡은 b0와 b1000 모두 각각 3.1%(9.8%에서 6.7%)와 3.7%(6.2%에서 2.6%)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왜곡의 감소로 인하여 SS-EPI보다 SS-TSE 적용 시 진단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EPI 기법의 scan time 보다 2배의 검사시간은 움직이는 환자 또는 뇌졸중 환자의 검사기법의 선택 시 SS-TSE 적용은 다시 한 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TSE기법에서 검사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을 통해 그 유용성이 더욱 커지리라 사료된다.
        2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간 이식 공여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정량화 기법은 비 침습적으로 체내 지방분율을 측정할 수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방정량화에 있어 환자 및 펄스 시퀀스의 특성은 교란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 이식 공여자를 대상으로 Dual-echo dixon과 T2* multi-echo dixon기법의 유용성을 비교하고, 지방 정량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0월부터 2015년 12월 까지 간이식 기증을 목적으로 본원을 방문한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구조는 남자 76명, 여자 52명, 평균연령은 26.44±7.31세였다. 실험장비는 3.0T MRI System MAGNETOM Skyra (Siemens, Munich, Germany)와 18 Channel body coil을 사용하였으며, Non-T2* corrected Dual-echo dixon:(TR/dual-TE:3.97, 1.29, 2.52, matrix:195×320, Bandwidth:1040, NEX:1)과 T2* Corrected Multi-echo dixon:(TR/six-TE;9.00, 1.09, 2.46, 3.69, 4.92, 6.15, 7.38, matrix:104×160, Bandwith:1090, NEX:1)기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Fat-only, Water-only영상에서 간 내의 가장 넓은 부위 세 곳에 ROI를 설정하였으며, 각 영상에서 획득한 Fat-only, Water-only의 평균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지방분율을 계산하였다. (F/(F+W)×100%). 또한 각 기법의 평균 지방분율을 5.5%를 기준으로 지방증, 비 지방증으로 구분하여 초음파 결과와 비교하여 진단능력을 평가하였다. 위치에 따른 각 기법의 평균 지방분율 차이와 진단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t-test와 McNemar‘s 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각 영역의 평균 지방분율은 Dual-echo(ROI1 : 5.64±1.94%, ROI2 : 6.13±2.06%, ROI3 : 6.32±2.43%), Multi-echo(ROI1 : 3.60±1.69%, ROI2 : 3.88±1.63%, ROI3 : 3.99±1.97%)로 Dual-echo가 Multi-echo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초음파 검사를 기준으로 한 각 검사 기법의 Sensitivity는 Dual-echo:80.6%(29/36), Multi-echo:83.3%(30/36), Specificity는 Dual-echo:58.6%(54/92), Multi-echo:84.8%(78/92). Positive predictive value는 Dual-echo:43.3%(29/67), Multi-echo:68.2%(30/44), Negative predictive value는 Dual-echo:88.5%(54/61), Multi-echo:92.9%(78/84), False-positive는 Dual-echo:19.4%(7/36), Multi-echo:16.7%(6/16), False-negative는 Dual-echo:41.3%(38/92), Multi-echo:15.2%(14/92), Accuracy는 Dual-echo:64.8%, Multi-echo:84.4%로 나타났다. 결 론 : 연구의 결과는 T2* corrected multi-echo dixon을 이용한 지방 정량화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1강조영상에 가까운 Dual-echo dixon은 물보다 짧은 지방의 T1이완시간으로 인하여 지방분율을 지나치게 과대 평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Specificity와 False-negative 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T2* Multi-echo dixon기법의 경우 많은 Echo를 얻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물과 지방의 T2* 붕괴에 대한 오류를 T2* Correction으로 보정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지방정량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T2* Multi-echo dixon기법의 경우 Dual-echo dixon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신호 대 잡음비를 나타내어 T2* 보정 과정이 신호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간 기증자의 지방정량화 검사 시 Dual-echo dixon기법과 T2* Multi-echo dixon기법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지방정량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MRI)의 발달은 소아신경계의 병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검사 건수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아의 Brain MR 검사는 환자에게 주의를 주거나 Sedation을 하여 검사를 진행하지만 움직임, 소음 등으로 인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고해상력의 영상 획득이 가능한 3.0T의 경우 1.5T에 비해 SAR가 약 4배 증가하게 되며, 최근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는 어린이가 어른보다 전자파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여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때, 기존의 TSE가 아닌 다양한 Refocusing FA를 사용하는 Hypere-TSE은 동등한 SNR을 유지하면서 SAR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MR 검사 시의 소음은 Gradient의 빠른 Switching을 통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기존의 소음 감소를 위한 Gradient mode인 Whisper mode는 Scan time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 E11 Upgrade를 통해 도입된 Acoustic noise reduction는 이를 개선하여 동등한 Scan time과 향상 된 소음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Brain MRI 검사 시 Hyperecho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이용하여 Image quality를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소아를 더욱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SIEMENS사의 3.0T SKYRA(Germany)와 32ch Head coil을 사용하였고, Spherical Phantom D165(Siemens, Germany) 및 만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 20명(남자 12, 여자 8, 평균연령 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Hyper-TSE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T1 Dark fluid(TR: 2000, TE: 9, TI: 900, Matrix: 384*307, FOV: 200*200, NEX: 1) T2WI(TR: 6000 TE: 103, Matrix: 448*269, FOV: 200*200, NEX: 2), T2 FLAIR(TR: 9000, TE: 84, TI: 2500, Matrix: 320*192, FOV: 200*200, NEX: 1)에서 비에스코리아사의 디지털 소음 측정기를 통하여 Isocenter에서 150㎝ 거리에서의 소음을 측정하였고, SAR와 SNR은 Siemens NUMARIS/4 - syngo MR E11로 Gray matter, White matter, Eye ball을 관심 영역 0.02㎠ 측정하여 IBM SPSS Statistics v22.0을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 결과 Hyper-TSE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했을 때는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SAR가 T1 Dark fulid에서 -26%, T2에서 -33%, T2 FLAIR에서 –33%로 감소되었으며, 소음은 T1 Dark fulid에서 -14%, T2에서 -16.6%, T2 FLAIR에서 –16.1% 감소하였고, SNR은 T1 Dark fulid에서 GM: 17%, WM: 15%, Eye ball: 12%, T2에서 GM: 10%, WM: 14%, Eye ball: 14%, T2 FLAIR에서 GM: 3%, WM: 9%, Eye ball: 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NR은 T1 Dark fulid에서 14%, T2에서 3%, T2 FLAIR에서 –19%로 증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모수 대응표본 Wilcoxon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값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Hyperecho를 사용하게 되면 SNR을 유지하면서 SAR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과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할 경우 동일하거나 약간의 검사 시간 증가와 함께 많이 조용하게 된다는 이론적 사실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Hyperecho 및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Sequence와 비교하여 SAR와 소음은 감소시키면서 SNR과 CNR 값은 동등하거나 증가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소아 환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효과적이며 진단 가치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200원
        2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중빔 음향측심 자료를 바탕으로 침몰선박의 정확한 형상 및 해저지형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영상 자료처리를 통해 현재 침몰선박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해당 자료와 과거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침몰선박 상태 변화 및 주변지형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분석대상 선박 중 퍼시픽프랜드호의 경우 조류에 의한 침·퇴적으로 인해 선수-선미의 지형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7해성호의 경우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 영상자료에서는 선수 일부가 유지된 상태였으나, 2015년 조사 영상에서는 선수 일부가 붕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랜 기간 선박이 해저에 방치되면서 조류 및 화물의 하중 등과 지속적인 부식으로 선체가 붕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몰선박의 영상분석을 통해 침몰선박이 수심과 조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일 경우 지질학적 특성과 퇴적물의 침·퇴적 양상에 따라 침몰선박의 구조 안전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부식으로 인한 선체의 변화는 계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하여 침몰선박의 변화에 따라 예측‧대응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4,000원
        2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비만에 의한 대사성 질환들을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체내 지방의 정량적 분포를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 연구적 목적으로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T를 이용한 복부지방용적 측정값을 표준으로 설정한 후,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의 MR 영상으로 측정한 복부지방용적 및 그 분포 비율 측정방법의 유효성과 정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남성지원자 17명을 대상으로 CT와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을 적용한 MRI를 이용하여 복부의 체적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2명의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경계를 구분하고 Region based thresholding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지방용적(TATV), 내장지방용적(VATV), 피하지방용적(SATV)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으로부터 관찰자에 따른 상관관계와 일치도 검증은 Spearman과 ICC test를 이용하였고, 영상방법 간 상관관계와 일치도 검증은 단순회귀분석과 Bland-Altman plo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p < 0.05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 관찰자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Spearman test 결과, CT와 MRI의 상관계수 R 값은 관찰자 1의 경우 TATV, VATV, SATV가 각각 0.995, 0.978, 0.968이고, 관찰자 2의 경우 0.968, 0.922, 0.956이었다. 관찰자에 따른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관찰자 간 측정값의 일치도를 분석한 ICC test 결과, 관찰자 1, 2의 상관계수 R 값은 CT의 경우 TATV, VATV, SATV가 각각 0.990, 0.994, 0.983이고, MRI의 경우 0.978, 0.963, 0.987이었다. 관찰자 간 일치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5). 영상방법에 따른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단순회귀분석결과, 관찰자 1의 경우 TATV, VATV, SATV의 상관계수 R:결정계수 R2 값은 각각 0.997:0.994, 0.992:0.985, 0.980:0.960이고, 관찰자 2의 경우 0.975:0.950, 0.952:0.905, 0.970:0.941이었다. 두 영상방법 간의 상관 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5).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두 영상 방법의 일치도 분석 결과, 관찰자 1, 2 모두에서 측정값의 차이는 거의 모든 대상자가 오차허용한계 범위(Mean ±1.96SD) 내에 있었다(p<0.05). 결 론 :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기법을 이용한 MR 복부 지방용적측정 방법은 CT를 이용한 지방측정방법을 표준으로 비교하여서도 통계적으로 매우 강한 상관관계와 일치도를 보임에 따라 재현성과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비만이나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환의 관리와 평가에 보다 유용하고 정확한 임상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5,200원
        2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층상박리균열 위에서의 손상탐지에 효율적인 충격반향기법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영향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에서의 균열 가시화를 위해 층상박리균열위의 동적거동 및 두께를 나타내는 휨 모드 및 충격반향모드(두께 모드)에 영향을 끼치는 균열의 폭/두께(a/h) 비, 균열위의 상대적 가진 점, 측정 점의 위치 등의 시험설정 변수 등을 매개변수적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h비는 2보다 클 경우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작을 경우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가진 점, 측정 점 중 어느 하나만 균열 위에 존재할 때도 휨 모드가 지배적이었으며 균열 밖의 범위의 건전한 영역에는 가진 점, 측정 점이 모두 위치하여야 두께 모드가 지배적이었다.
        4,000원
        3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본 연구는 Multi echo T2 Corrected Single Voxel Spectroscopy(SVS-HISTO) 기법으로 얻은 간의 지방률을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Dixon 기법과 비교하여 SVS-HISTO 기법을 이용한 지방간 정량화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1월~2월 간이식 제공을 목적으로 Liver Donor MRI 검사를 시행한 22명(남성 13명, 여성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3.0T 자기공명영상장치(NUMARIS/4 syngo MR D13, Magnetom Verio, Siemens)와 32channel body array coil을 이용하였고, Multi echo T2 Corrected Single Voxel Spectroscopy(SVSHISTO) 기법과 Three-Point Dixon(3PD), Six-Point Dixon(6PD) 기법을 사용하여 간의 지방률을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인 검정은 SPSS 22.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해 p<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 과 :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 rank test를 이용한 평균 비교는 SVS-HISTO와 3PD의 평균차이 -0.03(p=0.984), 6PD와의 평균차이 0.24(p=0.2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3PD와 6PD의 평균차이는 0.27(p=0.007)이었으며 p<0.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pearman 상관분석에서 SVS-HISTO와 3PD의 상관계수는 r=0.945로 p<0.001로 나타났고, 6PD은 r=0.951로 p<0.001이었다. 결 론 : Multi echo T2 Corrected Single Voxel Spectroscopy(SVS-HISTO) 기법은 한 번의 호흡정지로 Multi-Echo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복잡한 후처리 과정 없이 T2*가 보정된 Fat percentage를 얻을 수 있었다. 통계분석을 통해 SVS-HISTO 기법과 3PD, 6PD 기법 간 Hepatic Fat Fraction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VS-HISTO 기법은 호흡정지가 필요한 복부 검사에 적용함에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환자의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발작성 심방세동(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환자의 경우 전극도자절제술(RFCA) 시술 전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시행되는 영상의학 검사로써 Pulmonary-Vein MRI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왼 심방의 용적을 측정하거나 섬유화 된 조직과 같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원발 부위를 찾는데 용이한 3D Inversion Recovery Turbo Filed Echo Late Gadolinium Enhancemnt 영상에서 왼 방실판막(Mitral valve)과 정상적인 혈류(Blood pool) 간에 신호대조도를 높이기 위한 적정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들에 대해 시술 전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한 3D IR TFE영상에서 지연시간에 따른 신호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의 측정을 통하여 적정 지연 시간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 1일부터 2월 5일까지 발작성 심방세동으로 내원한 환자 중 체중이 60~70kg 사이의 환자 10명(남자 7, 여자 3, 평균연령 5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3.0T 초전도자기공명영상장치 Achieva TX(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였고, Coil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변수는 TR: 4.9ms, TE: 1.48ms, Matrix: 200×200, Slice thickness: 1.5mm, NEX: 1로 하였으며, 조영제 주입 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마다 3D IR TFE영상을 얻었으며, 왼 방실판막과 정상혈류 간에 신호강도, 신호대 잡음비 그리고 대조도 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으며, 정성적 평가로는 10년 이상 경력의 4명의 방사선사가 4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수화 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 결과 5분의 지연시간을 가질 때 왼 방실판막에서의 평균 SNR과 정상적인 혈류와의 평균 CNR은 각각 88.48과 12.35, 10분에서는 119.92과 22.34, 15분에서는 124.39와 32.86, 20분에서는 106.82과 29.59, 25분에서는 74.96과 29.97으로 조영제 주입 후 15분이 지난 후의 영상에서 가장 높은 대조도의 차이가 생겼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적인 신호강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시간에 따른 SNR과 CNR에서의 차이는 p값 0.05이하로써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증명하였다. 정성적 분석에서도 조영 후 15분이 지난 모든 영상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D IR TFE LGE기법은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들에게 시술을 위한 원발 부위 치료계획을 설정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그 중에서도 조영 후 15분이 지난 후 얻게 되는 영상에서의 진단학적 가치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환자에 따른 체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영제 양과 체적에 비례한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검사를 진행한다면 양질의 진단적 가치가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3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Multi echo Dixon을 기반으로 한 PDFF(Proton Density Fat Fraction) 기법을 이용하여 넓은 간 영역의 지방 함량을 계산하고 자기공명분광법(MRS)과 비교 분석하여 불균질 적으로 침착된 지방간에서의 유용성을 입증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2월부터 7월까지 본원에서 복부 자기공명 영상검사를 시행한 환자 142명(남: 97, 여: 45, 평균연령: 57.9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MR System은 3.0T Magnetom Tim Verio(Siemens Healthcare, Germany)를 사용하여 Multi echo Dixon(3D VIBE DIXON), MRS(Single voxel high speed T2 corrected multiple echo 1H-MR spectroscopy) 기법을 시행하였다. Multi echo Dixon의 영상변수는 TR은 9.2msec이고 TE는 1.23, 2.46, 3.69, 4.92, 6.15, 7.38msec이며 Slice thickness는 4mm, Matrix: 165×256, FOV: 315×420이며, MRS에서 TR은 3,000msec 이고 TE는 12, 24, 36, 48, 72msec, Voxel size: 30×30×30mm를 사용하여 각각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PDFF Fat percentage map 상의 각각의 7개의 엽에 (II-VIII) ROI를 설정하였으며(“Segmental-PDFF”), MRS의 VOI와 같은 지점에 ROI를 설정하였다(“VOI-PDFF”). 그리고 서로 다른 세 지점에 Tablet pen을 이용하여 Liver margin을 따라 ROI를 그렸다(“Free drawn-PDFF”). 지방분율 cut-off 값인 5.56%를 기준으로 T-test, Pearson’s correlation, Linear regression test, McNemar test를 이용하여 PDFF와 MRS의 상관관계 및 좌, 우엽의 지방 함유 관계와 각각의 진단적 능력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Mean fat percentage는 Free-drawn PDFF(4.5%±3.7)와 VOI-PDFF(4.5%±4.1)가 MRS(4.5%±4.3)에 가장 근접한 결과 값을 보였고, 그 중 VOI-PDFF가 가장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r=0.972, r2=0.944). 또한 지방증과 비 지방증 집단에서 우엽이 좌엽보다 더 높은 지방 함유를 나타냈다(7:2). 또한 MRS는 142명 중 40명(28%)을 지방증으로 구분하였고, Free-drawn PDFF는 32명(22.5%)을 지방증으로 구분하였다. 결 론 : MRS에서는 VOI를 국소적인 곳에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 불균질하게 분포 되어 있는 지방을 정량화함에 있어 지방분율 Cut-off 값인 5.56%를 기준으로 지방증을 진단하는데 다소 부정확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PDFF의 Free-drawn 기법은 간 전체 영역의 지방을 정량화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다. 따라서 Reference standard로서 MRS기법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3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비잔티움 항행 (“Sailing to Byzantium”) 속에는 성서적인 영 향력이 있다. 이 시의 화자는 육체와 영혼이 완벽한 상태인 비잔티움으로 떠난다. 성 서도 인간 영혼의 완성에 도달하기 위해서 육체의 원동력을 강조한다. 예이츠는 물질 적 영역과의 교제를 원하면서 영혼의 새로운 형태를 갈망한다. 이 새로운 형태는 성서 의 죽음이후의 몸의 부활과 상응한다. 예이츠는 인간의 정화를 위해 불의 이미지, 또 옷의 비유의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이것들은 성서 속에도 나오는 이미지들이다. 본 논 문은 이러한 요소들을 논의한다.
        5,400원
        3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불교는 동아시아 불교 문화권에서 창의적으로 발달시킨 불교문 화의 정수(精髓)이다. 선(禪)은 학문적 소양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 다. 선은 발달 초기부터 수행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참선 수행이란 소위 화두(話頭)라고 하는 언구를 스승으로부터 받아, 이를 마음속에 붙들고 끊임없이 의심을 하는 집중 수행이랄 수 있다. 하지만 선 수 행의 초심자들은 이런 선 수행의 모호함과 막연함으로 인해 수행 중 에 흔히 여러 유형의 정신적 갈등이 노출되곤 한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화두를 내려준 경험 있는 노련한 선사로부터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이것은 마치 정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 정신치 료 교과서에 의존해서는 안 되고, 반드시 정신분석적 임상 경험이 풍 부한 스승의 점검을 받아야 되는 이치와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드물지만 경우에 따라 선 체험은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자 발적으로 체득되어지기도 한다. 저자는 여기서 최근에 개인적으로 체험한 공(空)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저자는 선 센터를 찾아가 몸소 관찰하고 겪은 경험도 기술하고 있다. 정신 역동에 대한 저자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선 수행에 따른 정신 역 동의 과정을 나름 추론하여, 임의적이나 잠정적 가설도 제시하고 있 다. 한 가지 화두를 예를 들어, 이에 대한 해석을 곁들이고 있다. 향 후 선 체험에 대해서, 정신분석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이해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6,700원
        3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는 적조가 발생하면 적조발생 해역에 황토를 살포하고 있다. 황토가 살포되는 해역은 대부분 가두리 양식장 주변이며 매년 권장 살포량이상으로 대량 살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조가 발생하여 매년 황토가 살포되어온 해역과 황토가 살포되지 않은 해역을 대상으로 추계(2008년 10월)와 춘계(2009년 4월)에 플랑크톤 네트에 의한 채집과 ADCP에 의한 체적산란강도를 계측하여 플랑크톤 분포특성과 플랑크톤의 분포밀도를 조사하였다.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에서 채집된 생물의 종수 및 단위체적당 개체수는 높았으나, 황토를 살포한 해역에서는 낮았다. 각 정점에서 채집한 플랑크톤의 종별, 체장별 개체수와 분포밀도의 평균치를 이용한 체적산란강도 SVc와 ADCP에 의해 계측된 체적산란강도 SVm를 비교해 본 결과,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의 SVc와 SVm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황토를 살포한 해역의 SVm는 SVc보다 4.3 dB 높았다. 즉 황토를 살포한 해역에서는 부유물이 ADCP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DCP에 의해 계측된 체적산란강도의 수평분포도에서 체적산란강도는 황토를 살포한 해역이 황토를 살포하지 않은 해역보다 높았으며, 봄철이 가을철보다 높았다. 또한 체적산란강도 추정에 ADCP를 이용하면 채집에 의한 분포밀도의 과대 또는 과소평가를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