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knee valgus kinematics in college students when performing a vertical drop land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females would demonstrate greater knee valgus motion. These differences in knee valgus motion may be indicative of decreased dynamic knee joint control in females.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valgus angle and maximum knee valgus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vertical drop 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two-dimensional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knee valgus angle at initial contact l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The range of knee valgus angle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maximal angle of knee valgus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females landed with a larger range of knee valgus motion than the males and this might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The absence of dynamic knee joint stability may be responsible for increased rates of knee injury in females. No method for accurate and practic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thletes at increased risk of ACL injury is currently available to target those individuals that would benefit from neuromuscular training before sports participation.
        4,000원
        22.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inematics involved in different landing strategies may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rauma. Several sources suggest that the angle of knee extension on touchdown and impact with the ground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impact force and, indirectly, knee loading.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angle and maximum knee flexion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drop-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When lan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 in male, in female) in the mean knee flexion angle. The range of knee flexion on landing ( in male, in female)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greater knee flexion that was observed in the male subjects would be expected to decrease their risk of injury. Women land with smaller range of knee flexion than men and this might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4,000원
        23.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수직착지시 성에 따른 슬관절 가동범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48명(남자 25명, 여자 23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에게 40 cm 높이에서 한발로 뛰어내리도록 하고, 2차원 동작측정 기구인 CMS-HS를 이용하여 수직착지시 슬관절의 굴곡각도, 최대 슬관절 굴곡각도, 슬관절의 가동 범위, 각속도를 측정한 후, 남 여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때 사용한 분석방법은 독립적인 두 표본 t-검정이
        4,000원
        24.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된 국제 비교 연구인 TIMSS-R과 PISA 2000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 과학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성취도 및 성 차이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에 실시된 TIMSS-R에 포함된 33개의 지구 과학 관련 문항과 2000년에 실시된 PISA에 포함된 13개의 지구 환경 과학 문항에 대한 국제 및 국내 평균 정답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나라 학생들은 문항 유형별로는 선택형 문항에서, 수행 영역별로는 단순 정보 이해문항에서 국제 평균 정답율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은 그래프 해석, 표 해석등 자료 해석과 관련된 문항에서 국제 평균보다 특히 높은 정답율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경향은 남학생들에게 더 두드러졌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은 천문학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여학생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여학생들은 문항의 내용, 유형, 수행 영역 등 모든 부분에서 남학생들보다 낮은 정답율을 보여 심각한 성 차이를 드러냈다.
        4,600원
        25.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37.98±6.79cm 32.69±6.09kg, in the 4th grade, 144.11±6.91cm, 36.88±7.60kg in the 5th grade and 151.52±7.47cm, 42.68±8.06kg in the 6th grade. Height and weigh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each grade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standard Growth data. Females in the 5th and 6th grades were taller than those in male students, which suggested the height growth spurt in females. Furthermore, both genders showed marked variability even in the same group. All the three different obesity indices(BMI, Rohrer and % of ideal body weight) showed higher value in males than in females consistently. Male respondents desired taller and heavier body shape while females perceived they were heavy and desired only taller and thinner body im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height, weight and body image by grade(p〈0.05). 36.7%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at despite hunger. In higher grade they felt guilty after eating sweet things. Strikingly, it was noted a small number of students tried to take a diet pills or vomited on purpose. Data on food preference showed that female did not like sweet food and pork. While male students preferred red meat and chicken. Thu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food preference by gender.
        4,300원
        26.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customers’ satisfaction when purchasing online beauty and cosmetics products in Vietnamese market. To do so, we construct a data set via online survey of 419 Vietnamese customers including both males and females, and examine such sample using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s. Our regression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our five-construct model including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external incentives, security and privac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t-tests results reveal that the mean differ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negative coeffici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customers (females and mal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purchasing satisfaction of male customer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ir female counterparts. Similarly, we also find that male custom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and external incentives offered by the online sellers than female peers. Furthermore, regression results for full sample show that, on average, the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and external incentiv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Yet, such positive effect of customer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is more likely for males while females’ satisfaction is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security and privacy.
        27.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 quality cues and perceived values at a food select shop.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ues, which are indicators of product quality, on emotional and social value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to test the proposed model. 18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is technique. PLS SEM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ed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Results: Firs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between intrinsic cue and emotional value. When using male and female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cues and emotional values. Second, we found no gender difference between intrinsic cue and social value. When analyzed with female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cue and social valu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n, it was found that a weak causal relationship exists. Third, this study found gender difference between extrinsic cue and emotional value. In the case of men, it was found that a weak causal relationship exists, whereas in the case of women,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xtrinsic cue and emotional value. Fourth, we found gender difference between extrinsic cue and social value. In the case of men,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whereas in the case of women, there was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cue and social value. Finally, we found that there are moderating roles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ues and perceived quality.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xtrinsic clues of product in order to increase the perceived emotional and social values of wome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ived emotional and social values of me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cues of produ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clues and values are important to core customers.
        2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스트레스가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남교사, 여교사) 간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75명이다. 본 연구 결과, 교사 스트레스는 개인적 성취감과 교사역량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 성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교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스트레스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잠비아의 농업지원프로그램에서 여성농가의 경우 남성농가에 비해 각종 혜택에서 소외받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본 연구는 소규모 여성농업인이 옥수수 씨앗이나 비료 등의 농업투입요소에 대한 보조금의 혜택에서 어느 정도 차별을 받고 있는 지를 잠비아의 농업투입지원프로그램을 사례로 검증하고자 한다. 즉 농업투입요소 보조금에 대한 성차별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조사가 선행되었고, 잠비아 마자부카지역의 소농가
        30.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교급,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 정체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체육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 609명(19개 종목)이었으며, 연령은 12세에서 18세(M=15.18±1.65)까지 분포되어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운동 정체성 측정도구(AIM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국내판 AIMS이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성별, 학교급 및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 정체성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와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부정적 정서성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 간 유의한 차이는 사회적 정체성과 배타성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간 유의한 차이는 사회적 정체성에서만 나타났다. 넷째, 세 가지 하위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달심리학과 스포츠 환경의 특수성이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3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54명을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2주간의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여 남녀학생 각각의 집단을 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기술 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신체적 자기개념에 있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남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어떠한 하위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체육프로그램은 여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많은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천정 효과와 바닥 효과 그리고 운동 효과에 대한 정보적 피드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32.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체육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각된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과 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473명(남학생=236명, 여학생=237명)이며, 자료는 2(학생의 성)×2(교사의 성) 다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여자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이 여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체육시간에 주어진 활동에 대해 교사로부터 책임을 다할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고 보고하였다. 여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은 남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여자교사의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체육교사가 더 엄격한 행동을 보인다고 지각하였다. 위계적회귀분석의 결과 체육교사의 리더십과 도움/친밀감, 이해 수준이 즐거움을 예측하였으며, 체육교사의 리더십 행동은 정적으로 불확실한 행동은 부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관련이 있었다. 이 결과는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이러한 지각은 중학생의 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3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 836명(여학생 305명, 남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성, 체력 등급, 체육활동 수준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학교체육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신체활동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와 한국판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을 대상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과 t-검증 그리고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그 하위영역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만한 결과는 남녀 모두 매력적 몸매에 대한 자기지각 수준이 다른 하위요인들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매체 등을 통해 확산된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중학생 연령부터 이미 내면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체력 등급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력 등급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지각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남녀 모두 자율적인 체육활동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매우 낮았다. 이러한 체육수업 외 체육활동 수준은 신체적 자기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학교체육 현장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