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2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복숭아순나방은 사과, 배 등 핵과류 과실의 심식류로서 일차해충이다. 따라서 살포 농약과 접촉을 피할 수 있어 화학적 방제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 기술이 개발되어 방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효과적 교미교란제 처리는 광범위한 지역에 비교적 다량의 성페로몬이 투여되기에 이에 따른 막대한 방제 비용은 이 기술의 제약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효모를 이용한 성페로몬 생합성 기술이 대안책으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복숭아순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에 특이적 △10 desaturase의 유전자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성페로몬샘 의 전사체 분석은 최소한 3 종류의 후보 △10 desaturase 유전자를 찾아냈다. 이 가운데 Gm_comp1575 전사체의 유전자 구조를 밝혔다. 추정된 전체 아미노산 길이는 371 개로서 다른 desaturase와 유사한 길이를 나타냈고,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에 서 발현되었다. 현재 이 유전자의 기능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2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is an important pest for stone fruits like apple, peach, pear etc. Growers usually depend on chemical insecticides to control this pest, but it causes problems like resistance, pest resurgence, and health hazard. Although various plant extracts have been known to be potential against other lepidopterans, their effectiveness against oriental fruit moth has rarely been studied. So, we evaluated toxicity of 28 methanolic plant extracts known from previous literatures in the laboratory condition. Residual toxicity against 1st instar larvae (<5 h old) were examined using glass scintillation vial method at the concentration of 2 mg/ml. Among the tested botanicals Nicotiana tabacum L. was most effective and showed 92% mortality within 20 h and LT50 value was 12.9 h followed by Allium sativum L., Zanthoxylum piperitum (L.), and Sapindus mukorossi Gaerten. which showed 88, 70, and 65% mortality within 20 h, respectively.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Humulus japonicus Seibold & Zucc., Nerium indicum Mill., and other extracts showed least effectiveness on 1st instar larvae of oriental fruit moth. Hence, we suggest N. tabacum, A. sativum, Z. piperitum, and S, mukorossi as botanicals to be used against oriental fruit moth.
        2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Grapholita congener, G. molesta and G. dimorpha have difference in several biological characters such as flight time, emerging number/year, damage site, pupation site, and mating time although their host plants were similar. As a problem, cross-trapping was identified in each trap for monitoring. Effects on species-specific lure using minor sex pheromone components were observed in host plant orchards (apple, pear, peach, and plum) for continuative two years. Treatments of various ratios (0 to 10%) of Z8-12OH to G. molesta lure (Z8-12Ac/E8-12Ac = 95:5) allowed to increase the attraction of G. molesta, but not of G. dimorpha male. Other two minor components (14Ac and 12Ac) to G. dimorpha lure (Z8-12Ac/E8-12Ac = 85:15) were not showed species-specific responses. However, 10% treatment of Z8-14Ac to G. dimorpha lure was showed that G. molesta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G. dimoprha was not affected. E8-14Ac treatment to new G. dimorpha lure (Z8-12Ac/E8-12Ac/Z8-14Ac = 85:15:10) not affected to attraction of two specie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optimum ratios for species-specific monitoring of G. molesta and G. dimorpha are Z8-12Ac/E8-12Ac/Z8-12OH = 95:55:5 and Z8-12Ac/E8-12Ac/Z8-14Ac = 85:15:10, respectively.
        2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핵과류과실에 일차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병해충관리 [IPM]의 일환으로 써 전세계적으로 교미교란제가 농가에 적용되고 있다. 왁스, 폴리에틸렌 튜브, 에어로졸 형태의 다양한 교미교란제가 상업화되었다. 이 연구에서 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방출기로써 에스테르왁스와 폴리프로필렌(PP)필름백을 구성하는 방출기를 기존의 파라핀 왁스와 폴리에틸렌(PE) 재 질의 필름과 비교하여 페로몬의 방출거동을 분석했다. PE재질의 필름백은 성페로몬의 방출이 불규칙한 반면, PP필름백에서 성페로몬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방출하는 패턴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Japan 왁스_PP 필름 방출기(Japan_PP)를 제작하였고, 약 5개월 동안 복숭아과 수원에 적용한 결과 98% 이상의 교미교란 효과가 검증되었다.
        4,000원
        2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molesta occur four times a year and Carposina sasakii occur twice a year, and both pests do damage on stone fruits such as peach, apple, plum, apricot, etc. Grapholita molesta is worldwide distributed in temperate and subtropical areas including South Korea. But, Carposina sasakii distributed in South Korea, Japan, China and Asia, and has been managed as an important import quarantine pest by the authorities of United States, Canada and Taiwan. Forecasting of both pests in Korea is currently don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1,000 fruits per 10 trees (100 fruits / tree) in designated peach orchard. However, this method is very difficult to observe the pest by bagging of peach and require too much time and labor. Therefore, we tried to carry out a new forecasting method by using of sex pheromone traps for newly standardized method as an alternative. Using sex pheromone trap, attractiveness of G. molesta was proved to be 2.5 > 1.5 > 0.5 m by the height and the border => outside > center by the position. Attractiveness of C. sasakii made no difference in height, but, more trapped at the center and border than outside in position at peach orchard.
        2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같은 속의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과 복숭아순나방붙이(G. dimorpha)는 기주범위와 야외에서의 성충 발생 양상이 유사하다. 또한 두 종은 성페로몬 성분으로 cis-8-dodecenyl acetate (Z8-12:Ac)와 trans-8-dodenceyl acetate (E8-12:Ac)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두 성분으로 구성된 상용 성페로몬 유인제에 두 종이 혼합되어 유인된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붙이 트랩에 복숭아순나방이 혼합유인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성페로몬 미량성분의 효과를 분석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성페로몬인 Z8-12:Ac/E8-12:Ac = 85/15에 cis-8-tetradecenyl acetate(Z8-14:Ac)를 첨가했을 때,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유인은 유지되면서 복숭아순나방의 유인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Dodecyl acetate (12:Ac)와 tetradecyl acetate (14:Ac)의 첨가는 두 종의 유인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Z8-12:Ac/E8-12:Ac/Z8-14:Ac = 85/15/10의 세 성분 성페로몬에 trans-8-tetradecenyl acetate (E8-14:Ac)를 첨가했을 때,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유인이 오히려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Z8-12:Ac/E8-12:Ac/Z8-14:Ac = 85/15/10의 조성이 개선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성페로몬으로 제시되었다.
        4,000원
        27.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확 후 해충방제가 국내 수요 농산물은 물론이고 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출용 농산물에 대해서 요구되고 있다. 특별히 유기 농산물 또는 환경친화형 재배 농산물에 대해서 메틸브로마이드와 같은 화합물을 이용한 기존의 수확 후 처리기술은 의미를 잃게 되었다. 대체 기술로서 CATTS (환경조절열처리기술)라 명명된 물리적 처리기술이 개발되어 사과와 여러 핵과류 과실을 가해하는 곤충과 응애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사과 수출을 위해 수입국에서 규제하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대상으로 CATTS 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해충에 CATTS를 적용하기 위해 사과 과실에 잔류하면서 열에 높은 내성을 보이는 발육시기를 분석하였다. 열처리 조건(44℃, 20분)에서 5령 유충이 가장 높은 내성을 보였다. 환경조건(15% CO2, 1% O2)에서 기기 내부 온도가 25℃에서 46℃까지 증가하는 시기를 CATTS 가열단계로 볼 때, 이 가열 속도가 빠를수록 CATTS 해충 방제 효과가 높았다. 또한 가열단계 후 CATTS 처리 시간이 길수록 CATTS 효율이 증가했다. 특히 가열단계에서 과실 내부온도가 44℃로 이르게 하는 것이 CATTS 효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이었다. 이러한 조건들을 종합하여 CATTS표준 처리기술을 결정하였으며, 이 기술은 2,104 마리의 5령을 포함한 4,378 마리 복숭아순나방 유충 피해를 받은 사과에 대해서 100%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2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omai)는 동북아시아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에 사과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외의 과수에서는 직접적인 피해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핵과류인 복숭아와 자두를 대상으로 복숭아 순나방류의 피해로 보이는 피해순과 피해과를 채집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와 그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피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두 유사종의 정확한 구별을 위해 우선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PCR 반응조건을 이용한 분자동정법을 개발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는 종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분자동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은 거의 모두 복숭아순나방이 가해하였으며, 자두는 신초의 경우 복숭아순나방이, 과실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가 주로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숭아와 자두에서 조사한 신초는 모두(100%) 복숭아순나방에 의해 피해를 받았으나, 복숭아 과실은 대부분(92.5%) 복숭아순나방이, 자두 과실은 대부분(97.0%)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복숭아 보다는 자두 과실에 주로 피해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자두나무에서도 신초와 과실에 따라 각기 다른 종이 피해를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기주식물에 따라 두 유사종의 가해특성이 다른 것은 복숭아와 자두과원에서 두 종의 발생을 예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3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stharvest insect pest control is highly demanding in agricultural industry including domestic consumer markets and exporting products for a quarantine purpose. Especially, the organic 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o not fit to the traditional chemical postharvest treatments using methyl bromide (MeBr) or phosphine (PH3). As an alternative, a physical treatment called CATTS (controlled atmosphere and temperature treatment)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various insect and mite pests on ornamental products.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fects the apple or pear fruits and is limited in importing and exporting the infected products. To apply CATTS on this insect pests, the most heat-tolerant stage was determined. Among the immature stages locating on the fruits, the fifth instar larvae were the most tolerant to 44℃ for 20 min. A ramping step of CATTS is to increase chamber temperature from 25℃ to 46℃ under 15% CO2 and less than 1% O2. The ramping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ATTS efficiency. After the ramping step, the duration of CAT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TTS efficiency. However, fruit damage by CAT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amping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ATTS duration. in addition, the CATTS efficiency was highly dependent on the fruit internal temperature at 44℃. From all these parameters, we developed a standard protocol yielding 100% control efficiency of CATTS.
        3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the plum fruit moth (G. dimorpha) share the same major sex pheromone components, Z8-dodecenyl acetate (Z8-12Ac) and E8-dodecenyl acetate (E8-12Ac) with different ratio. However, these two congener male species were cross-attracted to the counter sex pheromone traps. For development of the specific monitoring lures, the minor sex pheromone components were added to the major components. G. molesta females emit two minor components of Z8-12OH and 12OH and G. dimorpha females emit four minor of 12Ac, 14Ac, Z8-14Ac, and E8-14Ac. For a specific monitoring lure of G. molesta, only Z8-12Ac major component attracted only G. molesta males, but did not any G. dimorpha. For a specific monitoring lure of G. dimorpha, the addition of Z8-14Ac to the major component (Z8-12Ac:E8-12Ac = 85:15) attracted G. dimorpha males with less than 5% G. molesta males. Other with components (12Ac, 14Ac, and E8-14Ac) was not effective in both trapping efficiency and selectivity.
        3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enology of G. molesta adult, an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degree-day model of G. molesta in apple orchards. It was known that G. molesta is a multi-voltine insect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geographic location. G. molesta damage to many economically important fruit trees such as apple and pear.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five apple-growing location (Chungju, Bonghwa, Andong, Uiseong, and Geochang) and at least three commercial orchards of each location was selected for collecting data in 2011 and 2012. The commercial pheromone monitoring trap (GreenAgroTech)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light phenology of G. molesta.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day accumulated above the low temperature threshold and cumulative proportion of accumulated G. molesta caught per generation were used to predict the phenology of G. molesta. The phenology of G. molesta per generation was analyzed by Weibull 2-parameter function. The generation of G. molesta was depending on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specially temperature. The first flight of G. molesta adult in Chungju was later than other places. The average number of G. molesta caught in Uiseong was significanlty decreased from 2011 to 2012. The occurrence of G. molesta adult was explained well by degree-day model using Weibull 2 parameter function. The developed model system could be applied to manage G. molesta population in apple orchards.
        3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molesta is one of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in pear orchards and has four to five generations per year depending on food resources, geographic location, and temperature. The overwintering larvae of G. molesta pupate early in the spring and new adults start to flight for several reasons such as mating, seeking resources and ovipos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full seasonal phenology model of G. molesta and to investigate the phenology of G. molesta adult in pear orchard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five pear-growing location (Anseong, Icheon, Sangju, Ulju and Naju). Three commercial orchards of each location was selected for collecting data in 2011 and 2012. The flight phenology of G. molesta was investigated by the commercial pheromone monitoring trap (GreenAgroTech) once per week. The phenology of G. molesta per generation was predict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day accumulation above the low temperature threshold and cumulative proportion of accumulated moth caught per generation. The phenology of G. molesta per generation was calculated by Weibull 2-parameter function. Although the latitude of Sangju was higher than that of Naju, the first flight of G. molesta adult from two orchards was similar. The average number of G. molesta adult caught in every pear orchards was increased from 2011 to 2012. The occurrence of G. molesta adult was explained well by degree-day model using Weibull 2-parameter function.
        34.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Grapholita congeners, G. dimorpha and G. molesta, are internal fruit feeders and their young larvae cause serious damages to pome and stone fruits in Korea. They share similar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s not to be easily discriminated. We need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using diagnostic primers and PCR-RFLP with specific sequences in ND4 region. Two species have similar sex pheromone components (Z8-12:Ac and E8-12:Ac) although their composition ratios are different. In fields, G. molesta males were more captured in lures with higher Z8 component ratio than G. dimorpha males. Addition of Z8-12OH, minor sex pheromone component prevented G. dimorpha from capturing G. molesta males. In electroantennogram (EAG) bioassay, these two species males showed significant electric responses in their own sex pheromone ratios. An addition of Z8-12:OH to the major sex pheromone component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AG response of G. dimorpha, while it did not change that of G. molesta. A deep sequencing analysis of transcripts of both species pheromone glands identified sex pheromone biosynthesis genes including fatty acid synthase, desaturases, fatty acyl reductase (FAR), and aldehyde reductase. The presence of delta 10 desaturase in both species suggests that a double bond at C8 position in dodecenyl acetate is produced by desaturation at C10 position of tetradecenyl fatty acid and subsequent β-oxidation, which is then reduced at carboxylic acid by FAR to be acetylated by acetyl transferase. High sequence variation of FAR genes of G. molesta and G. dimorpha suggests their stereoisomer substrate preference, which may exert a driving force for this speciation with delta 10 desaturase.
        3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의 발생이 보고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는 이와 유사한 복숭아순나방(G.molesta)이 발생하는 또 다른 기주에서도 동시에 발생이 가능하다고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여러 지역의 배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이 있음을 보고한다.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종 동정은 형태적 특징과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이들 두 종의 공통된 성페로몬 주성분으로 상호 교차 포획이 이뤄질 수 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붙이와 복숭아순나방이 포획되고, 복숭아순나방 페로몬트랩에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가 포획되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트랩에 이뤄진 교차 포획비율은 지역적으로 다른 배과원에서 상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욱이 이 두 종의 발생 피크도 조사한 모든 야외 지역에서 시기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 과수원에서 두 종의 성페로몬 트랩으로 얻은 모니터링 자료는 각각 서로 다른 종의 포획이 혼재하며, 이는 해당종의 발생빈도와 발생밀도가 확대 해석될 수 있음을 본 연구 자료는 제시하고 있다.
        4,000원
        3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의 자두 주요 생산지인 경산시와 의성군내 8개의 자두과원을 선정하여, 2010년과 2011년에 주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상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경산지역에서는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된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내외부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경산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발생은 의성보다 약 1주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4월 하순 최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세대는 6월 중순, 7월 중순, 8월 중순에 성충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 복숭아심식나방은 두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6월 상순에 발생을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2-3회의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2010년은 전형적인 2회 최성기를 보였으나 2011년에는 3회 최성기를 보였다. 연간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량비는 경산지역에서 63-47:16-35:20-18%였고, 의성지역은 51-46:18-13:31-36%로 나타났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경우 과수원 내부와 외부에서 포획량의 차이는 없었다.
        4,200원
        3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추과원의 복숭아순나방 발생 및 피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1년부터 보은 지역 3개면 6곳과 2012년 10개면의 노지재배지와 시설재배지 16곳에 3월 하순부터 페로몬트랩을 설치하여 9월 중순까지 트랩에 유인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2011년 조사에서는 4월 하순을 기점으로 5월 중순까지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증가했으며 그 이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여주었고 최다발생기는 평균 17마리로 5월 중순이었다. 2012년 조사에서도 작년과 비슷한 발생양상을 보이면서 5월 초순에 평균 24.8마리로 최다발생기를 나타내었다. 복숭아순나방이 과수에서 연 4 ~ 5회 발생하는 것을 볼 때 대추과원에서는 4월 중순에서 5월에 출현하는 1회 성충의 발생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나무는 다른 과수에 비해 생육이 느리기 때문에 4월 하순부터 발아를 시작해 5월 중순까지 신초가 생장하는데 조사된 복숭아순나방 발생밀도를 볼 때 대추나무가 발아해 신초가 생장하는 시기에 복숭아순나방 피해가 발생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까지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대추나무 피해는 직접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지만 페로몬트랩에 유인된 개체수와 밀도를 고려해 볼 때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s in temperate climate zones are challenged to endure harsh temperature regimes and the absence of food resources during winter. Many insects overwinter in diapause at different sites. The overwintering sites differ according to the insect speci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verwintering sites between the two orchard systems for the Grapholita molesta larvae. Overwintering sites of Grapholita molesta were found different between apple grafting systems. More individuals favored the side branches and main bottom trunk as overwintering sites in big tree system (M26) and in dwarf grafting high density system (M9)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M9 and M26 cultivars in the relative proportion of larva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verwintering sites and the two M9 and M26 cultivar orchard systems. The natural mortality from the field was estimated as 22.1% and 18.3% from dwarfing, high density orchards and the big tree orchard systems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nd guidelines to understand the major overwintering sites within different orchard systems for scheduling management actions against spring adult moths population emergence.
        3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the plum fruit moth (G. dimorpha) are internal feeders of stone and pome fruits and highly similar i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eeding behaviors. These two species share their two main sex pheromone components, Z8-dodecenyl acetate(Z8-12Ac) and E8-dodecenyl acetate(E8-12Ac) although pheromone compositions are different. But, two males of these species were cross-attracted to G. molesta and G. dimorpha pheromone trap, respectively. Their host plants are also very similar in Rosaceae including apples, plums, paches, etc. These sympatric and similar pheromone ratios and biological characters suggest their recent speciation divergence. To determine genetic origin of this speciation, were analysed transcriptomes associated in sex pheromone biosynthesis in these sibling species. Total RNAs were collected from pheromone glands and read by a short read deep sequencing technology using an lllumina HiSeq2000. Almost 3-4 Gb reads were de novo assembled and resulted in 76,361 contigs of G. dimorpha and 104,463 contigs of G. molesta. More than 70% of these contigs were annotated and classified by a typical GO analysis. Transcriptomes related with sex pheromone biosynthesis were selected and grouped into fatty acid synthase, fatty acid oxidation, desaturase, reductase, and isomerase. These analyses identified sex pheromone biosynthesis machinerie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tial expressions between two sibling species. Field monitoring assays indicated the minor components (Z8-12OH) resulted from fatty acid reductase were crucial in isolating two sibling species.
        4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rapholita dimorpha is a new pest of apple, pear and plum in Japan and Korea as well. Although G. dimorpha was reported as a multi-voltine insect with four generations per year, the phenology is not fully known in Korea. We present a model to predict the spring occurrence of G. dimorpha adult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G. dimorpha adult catches and accumulated degree-days. Five different distribution models were applied and the selection was made based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riteria (AICC and BIC). Model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the field data of the male moth catches in sex pheromone-baited traps of two apple production regions (Chungju and Geochang) of Korea in 2011. Model predictions of the dates for the cumulative 50% male moth catches were within five days variation. Because G. dimorpha has a feeding habit of boring inside the fruit the management practice of G. dimorpha should apply on egg and neonate larval stage. The management strategy of G. dimorpha in spring might be improved by the model.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