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derly drivers' driving performances at the intersections, suggested by Bao and Boyle(2009), according to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of elderly drivers were measured
        4,000원
        2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고령운전자의 사고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고령운전자와 일반운전자 사이의 교통사고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사고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두 운전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 포아송 및 음이항 회귀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와 일반운전자 사고의 차이점이 시간대별, 사고유형별 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고령 및 일반운전자 총 3개의 사고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공통변수와 특정변수를 활용하여 고령 일반 운전자 사고모형의 차이가 비교 분석되었다.
        4,000원
        2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 정주기식 신호제어로 인하여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3지 교차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안으로써 반감응 신호제어를 기본으로 하고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사용하는 신호운영방식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반감응 신호제어의 경우 부도로에 교통량이 적을 때 주도로의 교통소통을 원활히 하여 교차로 내 지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작동신호기는 보행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행자 신호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위의 두 가지의 장점을 모았을 경우 기존의 정주기식 신호제어와 반감응식 신호제어에 비하여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미시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사용하여 정량화된 차량당 평균지체 감소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의 1개 3지 교차로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각각의 신호제어 방식에 따라서 보행자 교통량을 변화시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별 분석을 통하여 차량당 평균지체시간을 비교한 결과, 대상교차로는 정주기식 신호제어에 비하여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이용한 신호제어방식이 최소 3.7초(10%), 최대 6초(16%)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감응식 신호제어와의 비교에서는 보행자교통량이 측정교통량의 20% 이하일때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통사고 위험도 지수 산정 모델의 개발은 교통사고와 사상자수의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로이용자 그룹, 도로와 가로망의 구역, 인구집단 등에 대한 교통위험도를 수식 또는 모델화를 통해 사전에 적용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국외에서는 위험도평가모형을 통해 단일로 및 교차로에 개선방안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사업에 적용되어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모형의 독자적인 개발보다는 국외의 모형을 국내 실정에 맞도록 일부 변형하여 활용하고 있어 그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춘천시의 96개의 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사고 발생 현황, 기하구조, 통제방식, 교통량, 회전교통량 등을 통해 교차로 평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평가 요소들의 상관분석을 통해 최종적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신호 구분, 차로수, 교차로형태의 세변수의 선형모형 분석을 통한 분산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교차로 디자인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교차로의 계층분류, 판별변수 선정을 통해 신호교차로 위험도 모형, 비신호교차로 위험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4,600원
        25.
        2009.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량이 많은 교차로에서 고령 운전자는 인지적인 부하로 다른 도로에 비해 교통 사고율이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교차로에서 운전 수행 유형에 따라 좌/우회전 구간과, 직진 상황에서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GSR(Galvanic Skin Resistance)를 측정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차로에서 고령자집단과 대학생집단 간 연령에 따른 GSR수준 간 통계적 유의 차(P<0.01)가 인정되었으며 고령운전자는 좌회전과 우회전, 직진과 우회전 상황 GSR 분석결과에서 통계적유의차(P<0.01)를 보였으며 좌회전 시 각성수준이 가장 높아 사고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terranean termites construct complicated tunnel network for foraging below the ground. Thus, they often encounter a number of tunnel intersections during their moving from place to place in the network. In order to understand how termites respond to the intersections, we artificially excavated two tunnels intersected with 90° degree in soil-filled arenas. The two tunnels had the width of W1 and W2 (=2, 3, and 4mm), respectively. We systematically observed the response behavior of advancing termites to the intersection with the combination of W1 and W2, (W1, W2). For (W1, W2)=(2, 2) and (3, 3), the advancing termites passed the intersection without directional changes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ermites to bend their body to change their moving direction due to the small-sized width. For (W1, W2)=(4, 4), the termites statistically-equally chose the three directions, left, right, and straight, which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rsection provided enough space for termites to bend. For (W1, W2)=(2, 3), (2, 4), and (3, 4), termites, advancing in narrower tunnels, tended considerably to turn right or left, while termites, advancing in wider tunnels, were favorably inclined to go straight. These results can be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te body length and tunnel width as explained for the cases of W1=W2. In addition, we briefly discussed our findings in relation to termite foraging efficiency.
        2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도로구간에서의 사고발생건수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감소추세를 보이는 반면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건수는 현재까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에서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상의 조건 등을 분석하여 교차로의 설계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 요인들과 사고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방부 4지 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판단을 위한 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한다. 또한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교차로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서, 교차로에서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교차로에서의 사고분석을 위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모형들을 이용하여 차대차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모형분석결과, 포아송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이 모형개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좌회전 전용차로, 횡단보도, 제한속도, 조명시설, 교차각, ADT 등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2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신호교차로보다 안전성 향상 및 지체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회전교차로는 일반 평면교차로보다 자동차간 혹은 자동차와 보행자간의 상충횟수가 적고, 교차로 진입부와 교차로 내에서 감속운행하게 되며, 교차로를 통과할 때 대부분의 운전자가 비슷한 속도로 주행한다는 점 때문에 일반적인 교차로보다 안전성이 높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방부 비신호 Y형 교차로에 대해 회전교차로로의 변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써, 미시적 교통류 분석 S/W인 VISSIM을 활용하여 회전교차로 설치 전 후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ROUNDABOUT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현장조사 검증을 통해 설치준거를 제시하였다. 모의실험결과, 신호 및 비신호 Y형 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변형하면 수용할 수 있는 교차로 전체교통량이 증가하고 안전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평가하고, 교통량 및 회전교통량을 고려한 설치 가능 범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3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장대화 되어가는 강교량의 건설 기술발전에 따라, 자중이 가벼운 강바닥판 형식의 교량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강바닥판 교량은 피로에 매우 취약한 구조형식이며, 특히 종리브와 횡리브가 교차되는 상세부에서의 피로균열은 강바닥판 교량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이다. 이러한 피로균열의 발생원인은 횡리브의 면외거동에 의한 2차 응력으로부터 유발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바닥판 교량의 피로균열을 억제하고, 종리브-횡리브 교차연결부의 상세개선을 위해 3차원 실물모형체의 피로실험과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LUSAS를 이용한 세부변수 해석을 병행하여 최적의 상세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표준단면 형상에 곡선형 벌크헤드 플레이트를 부착한 상세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변수해석에 의한 개선 단면 적용시 발생되는 응력값이 최대의 경우 약 50%이상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력의 감소와 함께 횡리브의 간격 증대(G=400)에 따른 4%의 강재량과 34%의 용접길이 감소로 제작원가 절감 및 피로에 유리한 강바닥판교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4,000원
        3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sites with different average daily traffic volume at an intersection were sele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of the first flushes in the surface runoffs. The effects of rainfall intensities and accumulated non-rainy days before rainfall events on the water quality were also delineated. Samples were collected at every 2 min. interval from each first flush from February to May, 2004 for 4 major rainfall events. CODcr or SS concentrations at the site with an average daily traffic volume (ADTV) of 23,000 vehicles were 2-7 times higher than those at the site with an ADTV of 1,400 vehicles. The longer the accumulated non-rainy days wer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ere than those of CODcr and SS in the first flushes.
        32.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호교차로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신호조건 능 방대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용량분석을 시행하고 이 과정을 토대로 주요 효과척도인 지체를 산정하여 신호교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용량 및 서비스 수준 결정에 있어 바탕이 되는 현장 데이터(회전 교통량, 도로의 기하구조, 신호시간, 접근로 구배, 중차량비, 첨두시간계수, 차량도착형태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의 오류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추정된 용량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교차로 접근로의 교통량과 중차량 비율 및 도로의 기하구조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이 용량해석과 서비스수준 결정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보고 이틀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3.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the headway of various types of trailer in Pusan city with the high heavy vehicle rate. Then Passenger Car Equivalent(PCE) was calibr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trailers in the traffic flow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To fulfill this goal types of trailer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full trailer semi-trailer unloaded semi-trailer semi-trailer loaded with 20ft container and semi-trailer loaded with 40ft container and Passenger Car Equivale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CE’s were 2.64, 1.51, 2.09, 2.16 and 2.23 respectively. 2) The saturation flow rate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lower than that on the multi-lane highway in the big city of Korea. 3) The start-up delay on the thru lane was similar to the average value in our country but the start-up delay on the left-turn lane was longer than the average value in our country by the impact of container Vehicl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