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11.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by using tin chloride solution as a raw material, a nano-sized tin oxide powder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is generated by a spray pyrolysis process. The properties of the generated tin oxide powder depending on the inflow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are examined. When the inflow speed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is 2 ml/min, the majority of generated particles appear in the shape of independent polygons with average size above 80-100 nm, while droplet-shaped particles show an average size of approximately 30 nm.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5 ml/min, the ratio of independent particles decreas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approximately 80-100 nm.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20 ml/min, the ratio of droplet-shaped particles increases, whereas the ratio of independent particles with average size of 80-100 nm decreases.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100 ml/min, the average size of the generated particles is around 30-40 nm, and most of them maintain a droplet shape. With a rise of inflow speed from 2 ml/min to 5 ml/min, a slight increase of the XRD peak intensity and a minor decrease of specific surface area are observed.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20 ml/min, the XRD peak intensity falls dramatically, although a significant rise of specific surface area is observed. When the inflow speed is increased to 100 ml/min, the XRD peak intensity further decreases, 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s.
        4,000원
        22.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utilizing the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ing as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mango wine making.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two kinds of yeast strains Saccharomyces bayanus, Lalvin EC-1118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Lalvin D-47 at 20oC for 28 days. Physicochemical analysis during fermentation was performed for each treatment and the resulting wine samples were analyzed for color, volatiles and sensory properties.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fermenting samples as well as the wine samples show almost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 yeast strains. Wine color of sample wines after stor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and when compared with a commercial mango wine. From the volatile analysis, esters and alcohols constituted majority of the compounds. Production of several esters, alcohols, acids and terpenes were affected by yeast strain used in fermentation. Results of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wines fermented by S. bayanus EC-1118 strain was more acceptable although sensory scores between the treatments and the reference wi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ttributes evaluated, except for bitterness. The utilization of osmotic solution from dried mango process could produce similar properties with existing commercial mango wines although there is still need for further work on the improvement of some sensory attributes of the mango wines.
        4,000원
        23.
        200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known as a useful tool for the group decision making methods. This tool has been area such as investment, R&D management,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marketing. Typically, transportation problems have addressed by mathematical programming. In this paper, an optimal solution of transportation problem was determin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4,900원
        24.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대칭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막을 상전환법으로 제조하였다. 도포용액은 PVDF를 용매인 N-ethyl-2-pyrrolidone (NMP)와 비용매인 1,4-dioxane, 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 acetone, (equation omitted)-butyrolactone(GBL)의 혼합용매에 녹여서 제조한다. 여러 첨가제가 도포용액 특성, 투과특성과 막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응고제인 물과 1,4-dioxane, DGDE, acetone과의 상용성이 NMP보다 낮아서 기공크기가 작아진다. 첨가제의 양을 조절하여 기공크기를 변화시켰다. 혼합용매(수계 및 비수계)가 막의 투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용액점도뿐만 아니라 표면장력도 용매 투과특성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29.
        1996.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공성 알루미나 지지체를 이용하여 졸에 침지하는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진 티타니아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티타니아 졸은 현?액 재안정화 공정으로 제조하였고, pH 1.23-1.32범위에서 졸의 평균입지크기는 15nm 이하였다. 이 여과막은 600˚C에서 1시간 열처리한 경우 평균입도는 30-40nm로서 입도 분포가 좁은 양호한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입자의 모양은 구형이었다. 열처리 온도가 600˚C보다 높아지면 여과막을 구성하는 입자 모양을 다각형으로 변하고 입도의 분포는 넓어졌다.
        4,000원
        3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dranautic사의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재질로 된 RO S/W 4040을 이용하여 2성분계의 붕산수용액 및 붕산수에 함유된 실리카의 3성분계 수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운전압력 및 공급유량 변화가 투과량, 붕산회수율, 실리카 배제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붕산수용액의 경우 35℃, 20atm 및 원액의 유속이 2.82l/min에서 붕산회수율 및 투과도는 각각 58.7% 및 2.82l/min, 35℃, 10atm에서는 68.1% 및 1.56l/min이었다. 또한 실리카 및 붕산이 함께 함유된 용액의 경우 35℃, 3.2atm에서 붕산회수율 69.7%, 실리카 배제율 97.5% 및 투과도 0.47l/min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35℃, 20atm에서 원액의 유속이 2.92l/min의 경우 붕산회수율 56.4%, 실리카 배제율 96.1% 및 투과도 2.72l/min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4,000원
        31.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내러티브 연구를 시작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교사 자신의 정체성과 한명의 특별한 아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느껴지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초등학교 교사의 성장을 위해서는 성찰의 과정을 대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이 교사 본인의 이야기일 것이다. 이 이야기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 반성을 돕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늘 교사는 자신이 살아왔던 삶에서 그 이야기를 구성해 나가고 있지만 교실이라는 구조 안에서는 혼자이지만 학교라는 구조에는 학생, 다른 교사, 그리고 주변 인물들이 존재한다. 그 모든 사람들을 통해서 삶의 이야기를 하고, 말하고, 삶의 이야기를 다시 말하고, 다시 살아갈 것이다. 이러한 삶의 경험의 연속선상에서 교사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학생 전체가 아닌 특별한 아이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의 변화를 느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편향된 지식관을 변화하기 위해서 교사의 내러티브적인 사고와 탐구를 통해서 아이들을 교사의 눈이 아닌 아이들의 눈으로 수업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33.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Cr and color for the dyeing wastewater by the different dosages of ferrous solution and H2O2 in Fenton process. In the case of H2O2 divided dosage for the Fenton's reagent 7:3 of H2O2 was more effective than 3:7 to remove CODCr and color. The results showed that CODCr was mainly removed by Fenton coagulation, where the ferric ions are formed in the initial step of Fenton reaction. On the other hand color was removed by Fenton oxidation rather than Fenton coagulation. The removal mechanism of CODCr and color was mainly coagulation by ferrous ion, ferric ion and Fenton oxida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dependent on the ferric ion amount at the beginning of the reaction. However, the final removal efficiency of CODCr and color was in the order of Fenton oxidation, ferric ion coagulation and ferrous ion coagulation. The reason of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by Fenton oxid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chain reactions with ferrous solution, ferric ion and hydrogen peroxid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