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s including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are used as foods and employed as folk remedies for diabetes and inflammatroy diseases. This study analyzed anti-diabetic effects of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which grows in some areas such as Gangwon-do and Jeju-do in Korea, as insulin-derived phosphorylation. When 100 ng/ml of IL-6, inflammatory cytokine was given to SK-hep1, HepG2, Akt phosphorylation by insulin was found to be remarkably reduced. In addition, metformin, Antidiabetics serving as positive control in liver was used.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used for analyzing anti-diabetic effects in this test didn’t give a great impact on the decrease in Akt phosphorylation by IL-6 at high concentration. However, fruit body in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inhibited the decrease in Akt phosphorylation by IL-6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100㎍/ml, it had an effect of increasing Akt phosphorylation to 77%, which was decreased by 50% compared to the insulin treated group by IL-6. Therefore, Mycoleptodonoides aitchisonii fruit body used in this test activated Akt phosphorylation inhibited by IL-6 and showed a possibility of significant anti-diabetic effects compared to positive control(metformin).
        2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on glucose uptake was studied in L6 rat skeletal muscle cells.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 was increased about 6-fold compared to control by mushroom extract treatment. This increasing effect to the glucose uptake was observed in muscle cells cultured with or without insulin. The levels of phosphor-acetyl CoA carboxylase were upregulated by G. lucidum extract treatment in insulinstimulated and basal culture conditions. However, G. lucidum extract did not affect protein kinaseB/Akt(Akt) level.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phosphor-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was also up-regulated. AMPK is another regulatory protein in the glucose uptake pathway and energy metabolism. Thus, the treatment of G. lucidum extract in skeletal muscle cells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showing that the increase of glucose uptake by G. lucidum extract might be mediated via the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25.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갈근 및 그의 주 이소플라본인 puerarin의 활성을 세포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갈근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의 양을 분석한 결과, puerarin이 총 이소플라본의 90 %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puerarin의 항당뇨 활성을 검정한 결과 먼저 탄수화물 및 지방소화효소 저해활성에 대해서는 거의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슐린 감수성 및 지방세포의 분화의 유도에 대해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puerarin은 지방조직내로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함으로서 항당뇨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2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lack ginseng is known to be effective product made with ginseng. In general, most black ginseng is manufactured by high teperature condition (90 - 95℃). However this temperature condition may not be optimal to obtain ginsenoside components beneficial for inhibition of diabetes. Here, we examined anti-diabetic effect of black ginseng manufactured by low low temperature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For diabetes induction, ICR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alloxan (50 ㎎/㎏). Mice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1 or 3 ㎎/mouse of the extract of black ginseng (BG-L) manufactured with low temperature (80℃), and its anti-diabetic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level of glucose in blood. The consecutive administration of BG-L extract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glucose. In oral an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IVGTT, respectively), administration of BG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glucose in blood within 20 min after glucose treatment. And its suppressive effect on glucose tolerance was effective not only pre-treatment but also post-treatment of BG extract. Oral administration of BG extract enhanced the level of insulin in blood, and decreased the amount of water consump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5 days after alloxan treatment. In addition, BG-L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db/db type-II diabetic mi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lack ginseng extract manufactured manufactured with low temperature (80℃) is a promising candidate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nti-diabetic nutraceutical foods and drugs.
        27.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슬기는 예로부터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의 치료 및 개선에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소변불통, 소갈증(당뇨) 등의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슬기를 대상으로 항당뇨에 대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그 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슬기의 생물학적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효소 가수분해를 실시하였으며, protamex 에 의한 가수분해도는 10시간 후 약 43% 수준을 나타내었다. PTP1B는 인슐린 신호전달기전에서 IRS-1의 인산화를 방해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저해시키는 효소이다. protamex 를 이용한 다슬기 가수분해물(MPH)의 PTP1B에 대한 저해 활성은 15.42±1.1 μg/mL의 IC50 값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 ursolic acid의 16.7 μg/mL 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면서 강한 항당뇨 활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유리지방산을 이용하여 C2C12 myoblast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고, MPH에 의한 포도당 흡수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1 mM PA 처리에 의해 약 32% 수준으로 떨어진 포도당 흡수율은 MPH 처리에 의해 약 199% 수준으로 증가 하였다. 또한 장기간 고농도의 포도당(30 mM)에 의해 유도된 당독성 조건에서 MPH는 췌장의 베타세포 INS-1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대조군에 비해 약 160% 인슐린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에서 MPH는 PTP1B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인슐린 신호전달 기작을 활성 화하고, 인슐린저항성 환경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진시켜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며, 나아가 고농도 포도당에 의해 유도되는 당독성환경에서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인슐린 mRNA발현량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itter melon’, a popularly used fruit in Bangladesh and several other Asian countries, on high-fat-diet-induced type 2 diabetes. To investigate the effect, ethanol extract from bitter melon (BME) as a dietary supplement with mouse chow was used. BME was found to significantly attenuate the high-fat diet (HFD) -induced body weight and total fat mass. BME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the HFD. Furtherm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ME was highly effective in increasing insulin sensitivity and reducing hepatic fat and obe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ME could be effective in attenuating type 2 diabetes and could therefore be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type 2 diabetes.
        2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hypoglycemic and kidney protective effect of black ginse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Methods and Results: Diabetes was induced by treating mice with streptozotocin (STZ) for four weeks. In vivo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effect of the black ginseng prosapogenin (GBG05-FF) extract. The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level were measured. Moreover,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the kidneys were isolated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levels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black ginseng increased body weight. Compared to blood glucose levels in STZ mice, blood glucose levels were reduced by 48% in STZ mice supplemented with 300 ㎎/㎏ of black ginseng, and by 69% in STZ mice supplemented with 900 ㎎/㎏. Furthermor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STZ mouse kidneys revealed, changes in the kidneys, epithelial cell damage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glomerulus hypertrophy. However, a significant reduction of glomerular water droplets (indicative of glomerulus hypertrophy) was observed in the kidneys of STZ mice supplemented with black ginseng extrac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prosapogenin (GBG05-FF) ginseng extract has a significant hypoglycemic effect and can be used as an anti-diabetic substance and renal protective agents as part of dietary supplements or novel drugs.
        3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diabetic effect of Cirsium setidens water extract and the combinations with Bletilla striata, Cymbidium kanran, and Sparganium stoloniferum Buch.-Ham. ethanolic extracts had been studied. The combination of four extracts (3:1:1:1) showed larger anti-diabetic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It is notable that the single water extract from C. setidens exhibited more effective anti-diabetic effect than most of the combinations.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fermentation process was promoted the anti-diabetic activity. The data suggested the fermentation product of combination of four extracts (3:1:1:1) exhibited the strongest activity both in vitro and in vivo, which was higher than the non-fermented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e fermentation and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extracts enhanced the anti-diabetes activity.
        32.
        201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 상품 부추의 산업적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제 2형 당뇨모델인 db/db 마우스에서 부추 추출물과 부추 발효물에 대한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부추 발효 물 제조를 위한 균주선발을 위해 L. acidophilus, L. plantarum, L. casei을 접종하여 배양시킨 부추 추출물(부추 발효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 L. plantarum 부추 발효물은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L. plantarum 접종한 부추 발효물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은 부추 추출물의 0.6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L. plantarum 와L. casei 균주를 접종한 부추 발효물의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부추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 서L. plantarum과L. casei를 이용하여 발효한 부추 발효물 과 부추 추출물을 제2형 당뇨질환 동물모델인db/db mice에 두 가지 농도구간으로(저농도 : 200 mg/kg, 고농도 : 400 mg/kg) 경구 투여한 후, 항당뇨 효능을 평가하였다. 체중 및 식이섭취량을 측정한 결과, 저농도 부추 발효물을 투여 하였을 때, 식이섭취량의 변화 없이 체중증가량이 유의적 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혈당증가량 과 혈청 내 insulin 함량은 고농도 부추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부추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 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경구 당 부하검사 결과에서도 고농도의 부추 추출물 및 부추 발효물을 투여한 군에서 포도당 내성 효과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 뇨병에 의해 감소된 혈청 내 GLP-1 농도는 고농도 부추 추출물 및 고농도의 부추 발효물 투여로 인해 증가되었으며 이상의 결과들은 부추 추출물 및 부추 발효물이 GLP-1 분비 를 증가시켜 insulin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비록 본 연구결과에서 제2형 당뇨질환에 대한 항당뇨 효능 은 부추 추출물이 부추 발효물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가지 유산균으로 혼합발효한 부추 발효물은 부추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항당뇨 효능을 보임과 동시에 제2형 당뇨병으로 인한 체중증가도 감소시킬 수 있어 비만 을 동반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38.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이 sterptozotocin 유발 당뇨 쥐의 혈당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군은 정상군(N), 당뇨 대조군(STZ), 5% 뽕잎 분말 첨가 당뇨군(STZ-M), 5% 녹차 분말 첨가 당뇨군(STZ-G) 및 2.5% 뽕잎과 2.5% 녹차혼합분말 첨가 당뇨군(STZ-MG)으로 5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 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하였다. 뇨 중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G-G, STZ-MG)들이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감소효과를 보였다. 4주간 혈당의 변화는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STZ-M, STG-G, STZ-MG)의 급여로 혈당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 당뇨군(STZ-MG)이 혈당 강하효과가 가장 높았다. 시험 종료 후 혈청 포도당 함량은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Z-M, 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정상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 함량은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 첨가(STG-G, STZ-MG)로 당뇨 대조군(STZ)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청 fructosamine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뽕잎, 녹차 및 뽕잎과 녹차혼합물의 급여는 STZ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 강하효과를 확인하여,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주는 몇몇 열대지역에서 중요한 채소 작물이다. 여주 과 실이 의학적으로 효능이 있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주로 장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 여주의 미숙과실에 있는 항당뇨성분 때문에 여주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재배법과 기능성성분에 대한 연 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항 당뇨성분인 카란틴 성분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카란틴 성분을 분석하였다. 여주 과실의 카란틴 성분 분석은 31자원 의 인공교배된 착과 후 15일 경과한 과실을 이용하였다. 카란틴 함량은 15.1∼161.4 μg·g -1이었으며, 건물중은 221 ∼2,097 g이었다. ‘K169998’, ‘K042800’, ‘K170002’, ‘Hwanock’ 그리고 ‘Nockwoo’ 5개 계통의 카란틴 함량은 각각 143.7, 104.6, 103.5, 161.4, 101.1 μg·g -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 당뇨 성분인 카란틴 함량이 높은 여주자원 선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품질 여주 자원 선발에 기초자료로 이용 될 것이다. 향후 여주의 수확시기가 어떻게 카란틴 함량 변화 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기작 규명 연구가 필요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