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1.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건물수량과 암이삭비율을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의 생산성 비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 비교에는 사초생산성 뿐만아니라 경엽의 품질도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시험은 정부장려 8품종을 한달 간격으로 파종하였을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부위별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ADF, NDF, ADL, hemicellulose 및 cellulose 함량은 경엽, 암이삭 및 전식물체 모두에서 적기파종시가 만기파종시보다 낮았다(P<0.01). 공시 품종간에는 경엽과 전식물체에서 섬유소 함량의 차이가 있었다(P<0.01). 파종기간 TDN 및 N E 1 는 경엽 및 전식물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공시품종간 TDN 및 N E 1 는 경엽, 암이삭 및 전 식물체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전 식물체에서는 공시품종중 'G4624', 'P3352' 및 'P3394'의 TDN 및 N E 1 가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P<0.05).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적기파종이 만기파종보다 높았으며(P<0.05), 또한 공시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ln vitro 건물소화율과 NDF, ADF, hemicellulose 및 cellulose의 상관계수는 각각 − 0.82 ∗ ∗ , − 0.7 ∗ ∗ , − 0.63 ∗ ∗ 및 − 0.69 ∗ ∗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기파종이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품종간 비교에서는, 특히, 경엽과 전식물체의 사료가치가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 선발에는 경엽과 전식물체의 사료가치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4,300원
        2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를 사일리지용으로 이용할 때 대부분의 농가들은 단작의 경우에는 4월 중순에 파종하고 이모작의 경우에는 5월 중순에 파종하고 있다. 그래서 본 시험은 정부장려 8품종을 한달 간격으로 두고 파종하였을 때 사일리지용 욱수수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1997년 수원에서 3반복의 분할구 배치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주구에는 파종시기를, 세구에는 품종을 두었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사소요일수는 적기파종은 84일이었고 만기파종은 69일이었다. 공시품종간에는 출사소요일수의 차이가 적기파종은 6일의 차이가 있었고 만기파종은 2일의 차이가 있었다. 초장은 적기파종이 만기파종보다 높았으나 착수고 및 대지름은 적기파종이 만기파종보다 낮았다. 한편 공시품종간에는 초장의 경우 'P3156' 및 'P3163'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으며, 착수고는 DK713이 가장 낮았다. 옥수수 대지름은 P3394가 다른 품종보다 굵었다. 조명나방 발생률은 적기파종시에 16.6%로 만기파종시의 49.9%보다 낮았으나(P<0.05), 공시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확시 전식물체의 건물 함량은 'P3525', 'P3394' 및 'P3352'가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암이삭 비율은 'P3394' 및 'P3156'이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P<0.05). 적기파종시의 건물 및 TDN 수량은 각각 19,696 및 14,621kg/ha로 만기 파종시의 17,163 및 12,570kg/ha보다 높았으나(P<0.05), 공시품종간에는 건물 및 TDN 수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공시품종중에서는 암이삭 비율이 높은 품종이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높았다. 출사소요일수와 건물 및 TDN 수량의 상관계수는 각각 0.84 ∗ ∗ 및 0.87 ∗ ∗ 이었으며, 암이삭 비율은 0.86 ∗ ∗ 및 0.87 ∗ ∗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적기파종(4월 15일)이 만기파종(5월 16일)보다 생육특성이 좋았으며 사초수량도 높았다. 그리고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비교나 정부장려품종의 선발에는 다른 생육특성과 함께 출사소요일수 및 암이삭 비율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23.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ronomic performance of four introduced corn(Zea mays L.) hybrids and a domestic hybrid Suwon 19(control) was compared for silage producti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MNWC). Middle Southwestern Coast(MSWC) and Middle Northern Inland(MN1) regio
        4,300원
        2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new anthocyanin-rich grain corn hybrid variety ‘Saekso 2’. The seed parent, HA3 and the pollen parent, HA4 was developed from breeding materials collected from China in 2008 and from Canada in 2000, respectively. The hybrid was made in the winter of 2010/2011 and evaluated in Hongcheon for 3 years. After evaluation, the selected variety was named ‘Saekso 2’ and was approved for a variety registration in 2017. Anthocyanin content of Saekso 2 in grain was 685 mg/100g and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aeko 1(0mg/100g). Since regional tests was conducted in only Gangwon province, it is recommended only in that region for commercial cultivation. For the highest content of anthocyanin, it is best to harvest grains at around 45 days after silking. Saekso 2 is the first hybrid bred specifically for processing for high anthocyanin production.
        2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reate new waxy corn variety using anthocyanins germplasm including 13 ornamental maize stocks, purple corn and two parental lines of Mibaek2. First, we made anthocyanin husk population for sustainable breeding from 13 ornamental stocks for 6 years from 2001 and then crossed purple corn with a dark purple kernel in 2007. We crossed this hybrid with two parental lines of Mibaek2, a good edible quality waxy corn, in 2007/2008 dry season nursery for additional breeding in Thailand. The anthocyanin-rich waxy lines derived from these hybrids were self-fertilized seven times and made single cross hybrids until 2011. These hybrids were evaluated on 2 or 3 places in Gangwon-do for next two years. One selected elite hybrid was named Cheongchunchal and applied for registration of new waxy corn variety in March 2014. Total anthocyanins content is zero in Mibaek2, 737 in Miheugchal, 18,809 mg/kg in Cheongchunchal. This variety is meaningful as health food and high-value industrial material.
        2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얀찰95는 2011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한 단교잡종 찰옥수수로 이삭의 색깔은 흰색이며 자식계통 KW44를 종자친으로 하고 KW35를 화분친으로 한다. 하얀찰95의 출사일수는 일미찰(표준품종)보다 3일정도 빠르고 하얀찰95의 이삭길이는 18.3 cm, 이삭직경은 4.1 cm였으며 착립장률은 90%로 일미찰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아밀로펙틴함량은 92%로 일미찰과 동일한 수준이었고 조명나방과 도복은 표준품종보다 우수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에서 하얀찰95의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일미찰과 유사하였지만 이삭중은 낮았으며 채종시험결과 종자친과 화분친간 개화기는 잘 일치하였지만 채종량은 낮았다.
        2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당옥은 2011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한 단교잡종 단옥수수로 이삭의 색깔은 노란색이며 자식계통KSE5를 종자친으로 하고 KSE19를 화분친으로 한다. 고당옥의 출사일수는 표준품종(단옥3호)보다 3일 정도 늦었고 고당옥의 이삭길이는 17.6 cm, 이삭직경은 4.4 cm였으며 착립장률은 87.1%로 표준품종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당도는 24.3 °Bx로 표준품종 14.1 °Bx보다 높았고 내도복성도 표준품종보다 우수하였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지역적응시험에서 고당옥의 단위면적당 이삭수와 이삭중은 표준품종과 유사하였으며 채종시험결과 종자친과 화분친간 개화기가 잘 일치하였다.
        2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슬옥’(수원단55호)은 자식계통 KSE19를 종자친으로 하 고 KSE7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옥수수 단교잡종으로 Sugary enhancer (se) 인자를 가지고 있어 당도가 높고 옥수 수 립의 색은 흰색과 노란색, 두 가지색을 나타낸다. ‘구슬옥’ 은 2005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9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 되었다. ‘구슬옥’의 출사일수는 65일로 조생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8.0 cm로 대조군인 ‘GCB70’과 비슷하다. ‘구슬옥’ 은 당도가 20.5%로 ‘GCB70’보다 높으며 경도가 낮아 씹힘 성이 부드러우며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구슬옥’은 깨씨무늬병, 조명나방, 도복에 강하였다. ‘구슬옥’의 ha당 이삭 수는 ‘GCB70’보다 많지만 이삭중은 비슷하였다. ‘구슬옥’의 모본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 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으며 채 종량은 재식비율 모, 부본 2:1에서 1.39 ton/ha, 3:1에서 1.43 ton/ha이였다.
        2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foods in accord with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c seeds should be used in organic farm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table production of organic seed of waxy corn by examining the growing characteristics, seed yield, and the economy for seed production by organic farming. The optimal sowing timing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rn hybrid was within 10 days of the 1st of May with yield of 88~90% of conventional seed production.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was 41,600 plants/ha (80×30 cm)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rn. The weight of 100 seeds and seed productivity increased at the planting ratio of 2:1 mother plant:male plant. Growth and seed production were improved by removing male plant at 7~10 days after silking. Organic fertilizer (mixed oil cake) was applied at a rate of 4~6 Mg/ha before sowing. Black plastic mulching was used for weed control. In addition, sex pheromone trap and bio-control agents were used for safe pest control and low labour cost.
        30.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얼룩찰1호'는 자식계통 KBW23을 종자친으로 하고 KW33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알맹이가 흰색과 검정색의 두 가지 색을 가진 얼룩찰 옥수수이다. '얼룩찰1호'는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얼룩찰1호'의 출사일수는 76일로
        3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axy corn hybrid ‘Daedukchal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CNU 504 and CNU 2396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 504 used as a seed parent and inbred CNU 2396 as a pollen par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domestic regions.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was 19.7 cm in ear length and 4.5 cm in ear diameter. On yield trial, ear length of this hybrid was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had white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due to high sugar content and thinner pericarp.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southern leaf blight and northern leaf blight but susceptible to corn borer. The yields of ‘Daedukchal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wo years. Seed production for this hybrid was better because of the consistency of tasseling dates.
        3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ain the basic informations about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type and properties related to table quality for developing the new colored waxy corn hybrid. Materials used were produced by our laboratory in 2007 and their major traits were evaluated fro two years(2008 to 2009) at Corn Breeding Farm of Coll. of Agri. & Life in CNU. Items surveyed were major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ar length and traits related to edible. Botanical characteristics as a plant type and ear pattern of the developed waxy corn hybrids showed large ranges among them; stem height of CNU08H-h39 among used hybrids was the highest as 235.7cm, while CNUH08-15 was the lowest. Ear height of Daehackchal Gold 1 was the highest as 83.7cm and that of CNU08H-15 was the lowest among used hybrids. Ear length of CNU08H-h121 among used hybrids was the longest as 23.1cm, while that of CNU08H-71 was the smallest as 12.7cm. Kernel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appeared to be 16.1 to 13.0Brix(%). Especially, CNU08H-15, CNU08H-35 and CNU08H-h39 hybrids were highly appeared as 15 above. Pericarp thickness of check hybrid, Yeonongchal, was thicker as 46.0㎛, while that of CNU08H-39 compared to other hybrids showed the thinnest as 23.0㎛. From this study, we could obtain several superior colored hybrids with thinner pericarp and high sugar contents like CNU 08-39 and CNU 08-h121 hybrids. Accordingly, these hybrids will be apply as new developed variety through confirmed trials.
        3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진주찰(수원찰57호)은 자식계통 KBW24을 종자친으로하고 KBW2를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고품질 검정찰옥수수이다. 흑진주찰은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06~'08년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진주찰의 출사일수는 74일로 중만숙종에 속하며 이삭 길이가 16.0 cm로 찰옥1호
        3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yellow waxy corn hybrid "Daehakchal Gold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Yeongdeok Jaera and Okchen Jaera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57 derived from Yeongdeok Jaera was used as the seed parent of Daehakchal Gold 1, and inbred CNU 27 derived from Okchen Jaera as the pollen parent.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hakchal Gold 1 was 19.7cm in ear length and 4.5cm in ear diameter. The yield of Daehakchal Gold 1 and check hybrid in dry matter were 146.5g and 113.9g per plant, respectively. On yield trial, which were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Especially, Daehakchal Gold 1 had yellow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Bioporalis maydis and corn borer. The yields of Daehakchal Gold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hree years. Seed production of this hybrid has gone well due to good match during crossing between seed and pollen parents.
        3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의 자식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간 유연관계를 50개의 SSR 마커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개의 SSR primer들은 찰옥수수 및 종실용 옥수수 품종들의 교배친인 11개 자식계통들에서 총 171개의 대립단편을 증폭시켰고, 각 SSR primer들에서 증폭된 대립단편의 수는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의 범위로 나타나 SSR loci당 평균 3.4개가 증폭되었으며, 유전
        3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n (Zea mays. L) is one of the potential export crops of Myanmar. It is crucial to develop locally adapted high yielding hybrids to dramatically increase production. International Corn Foundation/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CF/KNU) and Department of Agricultural Research (DAR) have developed a collaborative research to develop super hybrids. Under this program, 11 preliminary test cross trials including 538 crosses were tested in AungBan and NyaungMon (mid altitude) and Tatkone (lowland) Myanmar, and ICF Agric Center in Cambodia, 2008 rainy season. Test cross seeds were produced in Cambodia and Myanmar during 2007 winter season. Germplasms from Nepal, Myanmar, IITA, and CIMMYT were used. Simple estimates of commercial value score (1= best, 9= poorest) with yield potential, good agronomic traits and disease tolerance were rated.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each trial showed highly significant among test crosses and better performance than local check hybrids. VN3 x SSA showed the highly tolerance to Northern Corn Leaf Blight in sticky corn trial. The outstanding performance was recognized in Nepal materials crossed with IITA materials. It is point out that overseas aids collaborative breeding and training of young staff are effective parts of Myanmar hybrid corn R&D program.
        3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당옥수수의 수확기 분산을 위한 파종기에 따른 적정재식밀도를 규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흑색 P E. film 피복하여 파종기 4월 1일, 5월 1일, 6월 1일, 재식밀도를 3,500, 4,500, 5,500, 6,500, 7,500주/10a 조건에서 파종하여 생육과 이삭특성 및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과 입묘율은 4월 1일 파종기에서 낮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과 착수고는 5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분얼수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출사기는 파종기가 한 달씩 늦어질수록 각각 15 및 22일 지연되었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Brix 당도는 5월 1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고,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당도가 높았다. 4. 파종기가 늦을수록, 재식 밀도가 증가할수록 이삭장, 착립장, 이삭경, 이삭중이 모두 감소하였다. 착립장과 이삭중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파종기가 다를 때는 같은 착립장에서도 이삭중의 변이가 커서 이삭의 품질은 이삭중으로 나타내는 것이 타당하였다. 5. 초당옥수수의 적정 재식밀도는 중품(200~300g) 과 상품 (300 g)의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4,000개/10a를 목표로 하여 4월 1일 파종에서는 낮은 출아율을 고려한 6,500~7,500주/10a , 5월 1일 파종에서는 5,500~6,500 주, 6월 1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6,500주이었다.
        3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서 초당옥수수의 경제적 재배한계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2003년과 2004년 4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흑색 P E. film 피복과 노지에서 파종한 후 지온, 생육 및 자수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 최고지온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낮았지만 최저지온은 높았고, 토양수분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적습수준을 유지하였다. 2. 출아율, 입묘율, 간장 및 상품성 있는 자수수는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에서보다 높았다. 3.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출수기가 빨랐고, 그 정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더 컸으며, 수확기의 분포는 3~5 일이었다. 4. 초당옥수수 "Cambella 90"의 경제적 조파한계기는 4월 초순, 만파한계기는 6월 20일 경이었다.
        40.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waxy corn (Zea mays L.) hybrid, “Jomichal” with white kernel was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2005. This hybrid, which has early flowering, short-cu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