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1.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22.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ian Friel, who was born and raised in Northern Ireland, is called the best living Irish dramatist dealing with subjects focused on Ireland and its people in his plays. In Faith Healer(1979), one of his best plays, Friel dramatizes a faith healer's experiences. The three characters, Frank(faith healer), Grace(Frank's wife), Teddy(Frank's manager) recollect the experiences they shared while travelling to cure the sick in Scotland and Wales. Their monologues detail the same experiences but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Friel, because each recalls their memories according to their own desires and needs. Memory is not always accurate and can be a fiction. Frank has the compulsion to transform all things around him into fiction. This ability is analogous to a writer's creative writing ability. Therefore, Frank is, in a sense, an artist. Frank performs his faith healing shows in front of the sick with anxiety as he is not sure whether a miracle will occur or not. Like a faith healer, a dramatist as an artist writes dramas with anxiety because he is not sure that he will be able to move his audience with a successful performance. Frank is not sure that he will be able to move his audience. Frank is not sure if he has an ability to cure with miracles or if he is a con man. Like a faith healer, an artist has the sense of being a con man because he is indebted from his predecessors' works. Only through his death can Frank stop the maddening questions such as "Am I a con man? or am I endowed with a unique gift?" Frank is like a metaphor for an artist. Friel, a dramatist, also has suffered from the agony of an artist and has been troubled by the scarcity of his creative works. Therefore Frank is a foil to Friel's autobiographical image.
        6,000원
        27.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live in the what is called 'Age of Something Religious'. In this age, we need some virtues to read and interpret everyday life. This writing is focused on what korean folk religion retains in meaning. People used to have a notion that korean folk religion is something deficient, even not official or not modern. I can't agree that opinion. I have mind to think it such as 'Dasein' by M. Heidegger. Many people should rather think that some religions in each epoch have been taken part in important roles and positions. So I focus on korean folk belief. I think that korean folk religion have important meaning, religious meaning. So I call korean folk belief 'Gikimi Faith'. 'Gikimi Faith' means belief for keeping their 'Sitz im Leben'. And it is to be divided into faith of village and faith of house. In faith of village, people served their gods with religious ritual on the mountain or at the entrance of their village named as San-je Keori-je or Maul-je. And in faith of house, each family served house gods. They believed each house is body of god, named Sung-ju. As building house, people look upon as making body of god. Out of House, especially, Maru is very important space in two aspects. At first, Maru is sacred place on which religious rituals have been performed as house belief. Next, on Maru encounter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we can also experience the sacred. In other words, we can encounter the sacred through the profane. The profane is our everyday life through which people experience the sacred. Because of this ways, I call the same space like Maru by inter-space. Holding their keeping faith, they understand their location for daily life as small cosmos and wish to keep it from others. According to Mircea Eliade, that is because of 'Religious Humanity'. In our secular age, 'Gykimi Faith' for keeping themselves can become a solution to find meaning of something religious. That keeping faith may appear to us as a sort of 'The old future'. 'Gikimi Faith' also says that we have to take religious searching for something meaningful and true. And also we need focus on religious ritual and inter-space for shifting every place into holiness. In the age of something religious, we need also 'Religious Human' who can read usual things religious. According to M. Eliade, Religious person lives within open world, and therefore, His existence is unclosed to the world, while Non-religious Person dwells within closed world, therefore His vision is not clear, has no dialogue-partner with, and has no keyword for our world. Now we need Religious Person who is open hermetically.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ings. Ch.Ⅰ. Prologue Ch.Ⅱ. Theoretical Research of Eliade's Understanding for Religion Ch.Ⅲ. Religious Thought for Korean Gikimi-faith Ch.Ⅳ. Cultural Significance for Gikimi-faith Ch.Ⅴ. Epilogue I hope that people should inquire into korean traditional faith with affection more openly.
        6,700원
        32.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33.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34.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대한장로교회 신경의 변천과정과 장로교회 각 교단의 헌법에 수록되어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한국장로교회의 신앙고백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것이다. 1907년에 제정된 대한장로교회 신경은 1922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신경, 1934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신조로 이름이 변경되고, 1934년 수정과정에서 문구의 수정 및 단어의 추가나 삭제 등의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해방 후 장로교회 각 교단은 대부분 1934년의 조선 예수교장로회 신조를 저본으로 해서 현대철자법에 맞게 수정한 후 헌법에 수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예장 고신 교단은 2011년 개정, 공포된 헌법에서 대한장로교회 신경을 삭제했으며, 예장 통합 교단은 1971년 헌법 개정 과정에서 서언을 축소하고, 승인식을 삭제했으며, 제12조의 내용 중 불신자가 최후 심판 때에 형벌을 받는다는 문구를 삭제했다. 현재 대한장로교회 신경은 역사적인 기원과 개정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이 헌법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첨부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신앙고백을 제정한 후에는 그것을 보편적으로 사용 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35.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전쟁 직후부터 우리나라의 반공주의는 곧 친정부 및 친미주의를 고수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정부와 미국에 비판적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반정부, 친공 행위로 오해되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고영근은 독특 한 행보를 보였다. 그는 출옥 성도들의 보수적인 신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북한에서 공산주의자들에게 핍박당한 경험과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인민군대의 비참한 현실을 목격하였기 때문에 강경한 반공의식을 내면화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화 운동이 한창이던 1970 년-1980년대에 고영근은 정부와 미국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고수하였다. 그는 우리나라의 정치체제가 공산 독재 국가들과 유사하고 미국이 우리나 라의 군벌 정권을 방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국의 이익만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고영근이 이와 같이 미국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가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가 한국전쟁을 통해 경험한 미국 이해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한국전쟁 당시, 특히 포로수용소에서 경험했던 미국의 부정적인 모습들이었다. 그가 포로수용소에서 목격한 미군의 반공포로들에 대한 무분별한 조치들이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태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 것이다. 물론 미국에 대한 고영근의 태도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에 대한 그의 혜안에 따른 것이기도 하였다. 2016년-2017년 일단의 기독교인들이 성조기와 십자가를 들고 행진한 모습은 그동안 주류 한국교회가 친정부 및 반공주의와 친미주의를 견지하는 것을 기독교 신앙과 동일한 가치로 이해되어 왔음을 잘 말해준다. 그러나 고영근은 친정부 및 반공주의 그리고 친미주의를 견지하는 것이 기독교 신앙과 동일한 가치가 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고영근의 행적은 한국교회가 신앙과 이념에 대해 견지할 수 있는 하나의 모습이라고 본다.
        3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서 루 터의 양심 개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째, 루터는 양심의 문제를 단순히 도덕·윤리적 차원이 아닌, 근본적으로 인 간과 하나님의 관계, 특히 구원론의 틀 안에서 다룬다. 둘째, 양심의 판단 대상이 되는 것은 개별적 행위이기 전에 한 인간 전체다. 셋째, 양심은 하 나님의 판단을 따를 때 제대로 기능한다. 넷째,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 은 법과 복음, 믿음과 사랑, 그리고 ‘~으로부터의 자유’와 ‘~을 향한 자유’ 라는 신학적 주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여섯째,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서 양심의 문제를 정립하고 나서, 이 토대 위에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양심 문제를 다룬다.
        3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엇의 인본주의적 관점이 종교적 개념으로 신학적인 기존연구들과 앵글로 가톨리시즘 연구를 통해 어떻게 이해되는지 살펴보고 종교와 사회공동체를 연결하려는 엘리엇의 노력이 세속적인 인본주의와 기독교 인본주의와도 어떤 면에서 다른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앵글로 가톨릭으로의 그의 개종은 대부분 선조의 종교인 유니테리언과 철학적 연구를 통한 회의적 태도와 어빙 배빗의 사회적 토대, 흄의 원죄이론과 랜슬럿 앤드류즈의 삼위일체와 성육화를 강조하는 설교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았으며 개인 자유주의와 신앙 문제를 제기한다. 이 연구는 엘리엇의 궁극적인 종교적 성향이 앵글로 가톨릭 공동체를 토대로 한 종교적 삶에서 인본주의와 지성인의 종교적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의 신앙의 핵심으로서 감정을 통제하는 종교적인 인본주의에 대한 엘리엇의 관점은 전통적이고 체계적인 종교적 정신을 깊게 하는 것과 앵글로 가톨릭의 옥스퍼드 운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고교회적 기독교적 성향에 헌신하는 것으로 그의 지적으로 얽혀진 종교적 신념과 사회적 삶을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루터10년 프로젝트가 2008년부터 독일에서 진행 중에 있다. ‘종교개혁과 관용’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 연중 주제이다. 이 글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의 연중테마인 ‘종교개혁과 관용’을 루터에게만 제한했다. 루터의 불관용적 태도는 교황, 이슬람, 농민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입장에서 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농민, 이슬람 그리고 유대교에 대한 루터의 입장만을 다룰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관용이라는 현시대적 요청 앞에서 불관용적 태도를 지적한 루터비판에 무조건 동조 내지는 무조건적인 변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관용은 근대의 산물이며, 종교개혁 시대에는 아직 발아하지 못했다. 루터의 행동은 신학적 행동이었으며, 루터의 입장 역시 신학적 입장이었음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루터의 입장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농민전쟁, 이슬람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상호 긴장을 이루지만, 믿음을 중시한 나머지 자신의 신학적 판단을 따라가는 확고부동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3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루터의 여성관을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그의 글에서 발견되는 여성혐오증에 대한 거부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성혐오증의 근저에 깔려있는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사고를 고찰한다. 루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의해서 의롭게 된다는 신학적 토대 위에,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논법이 아닌 믿음과 사랑의 논법을 사용한다. 그는 우선 믿음을 척도 삼아 “영”/영적인 것과 “육”/육적인 것을 구분함으로써 남성은 영에 여성은 육에, 그럼으로써 남성은 영적인 것에, 여성은 육적인 것에 연계하는 구분법을 거부하고, 여남을 막론하고 모두 영적인 존재가 되고 영적인 삶을 살거나 혹은 육적인 존재가 되고 육적인 삶을 살거나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믿음의 열매인 사랑의 삶을 사는 것 자체가 고행이요 금욕생활로서, 이것이 바로 “육”을 죽이고 “영”을 살리는 삶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근거하여 루터는 여성들 안에서도 수녀원 생활과 결혼/가정생활 그리고 수녀와 아내/엄마의 신분에 고착되어 있던 영적 신분과 세속 신분이라는 또 다른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용납하지 않는다. 루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전자와 후자의 관계를 뒤바꾸어 놓는다.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의하면 아내/엄마의 신분은 세속 영역에 속한 가정 안에서의 신분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믿음으로 자신을 온전히 맡기고, 사랑의 실천을 마다하지 않는 아내/엄마는 어느 누구보다도 영적 신분의 사람들이다. 무엇보다도 루터의 눈에 아내라는 여성은 하나님이 각 남편에게 특별히 허락해 주신 배필이요,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서 사랑의 법에 따라 섬겨야 할 존재다. 그리고 엄마라는 여성은 루터가 인간 제도들 중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의 여주인일 뿐만 아니라, 소명의 차원에서 자녀들의 사도, 감독, 그리고 제사장이다.
        4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outline of Sujeong Lee’s thoughts of Christian faith and passionate efforts for mission to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through his two articles, “Confession of Faith” and “Conditions in Korea”. Sujeong Lee who became an associate member of the Korean delegation to Japan, headed by Younghyo Park(朴泳孝) arrived in Japan on September 29, 1882. He met Dr. Tsudasen(津田山), a Japanese scholar of agriculture. And he was much impressed by Tsudasen’s deep-rooted faith and sincere piety to God. As a result, he had so much interest in Christianity and dedicated to studying the Bible and various Christian books. By studying these books, he sought after the essential truth of the Christian faith. Through Japanese faithful Christians he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George W. Knox, Robert S. Maclay and Henry Loomis who were pioneer missionaries in Japan. And on April 29, 1883, he was examined by Yaskawa(安川亨) and baptized by George W. Knox. While he was in Japan, he devoted himself to various Christian activities and studied Christian doctrine to increase his knowledge of Christian truth and faith. As soon as Sujeong Lee found a new truth and sublime faith in Christianity, he was eager to propagate the Gospel to Korea from the bottom of his heart. When he believed in Jesus Christ he confessed his faith to the missionaries and Japanese Christians through the famous article(“Confession of Faith”, 「信仰告白書」) that he wrote with all his heart and soul in May 1883. And then, seven months later, he wrote another remarkable article (“Conditions in Korea”, 「宣敎師派送呼訴文」) on December 13, 1883 to appeal to American Christians for mission to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the main thoughts and principles Sujeong Lee left behind us through “Confession of Faith” and “Conditions in Korea”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principle of ‘internal combustion & extension’: There is organic corelation between Sujeong Lee’s internal faith and practical efforts for mission to Korea. ② triple methodology of effective mission for Korea: ‘Bible translationestablishment of church-inviting missionaries’ ③ conservative faith: Sujeong Lee stressed the belief of apostolic faith, sola scriptura, sola gratia, and sola fide. ④ plea for mission to Korea: Sujeong Lee was called a Korean Macedonian, since he had showed strongly his earnest desire for American Christians to send their missionaries to Korea. ⑤ indignity of mission: Sujeong Lee, the native Korean fully committed himself to the ministry of translating the Bible into the Korean language. ⑥ attempt to provide efficient policy for early mission to Korea: Sujeong Lee put a strong emphasis on Christian education. ⑦ mission initiated by Korean: Sujeong Lee was the pioneer Korean Christia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his great practical efforts for mission to Korea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es: First, he translated the Bible into his native language. When Henry Loomis, the American Bible Society directing manager in Japan had asked Sujeong Lee to undertake the translation of the Gospels into Korean, he was pleased to accept it. He then began, with the help of Chinese and Japanese Bibles, to translate the Scriptures into Korean such as ‘Hyeon To Han Han Shinyak Seong Seo’(4 Gospels and Acts, 1884), ‘The Gospel of Mark’(‘Shinyak Maga Bokeumseo Eonhae’, 1885), ‘The Gospel of Luke’(1885), ‘Romans’(1885) and so on. He believed with absolute certainty that the Korean Bible would be an effective means for extending the true Gospel to Korea without distortion. And he also expected that the Korean Bible would provide an effective tool for the early missionaries to propagate the Gospel to Korea. Horace G. Underwood, Henry G. Appenzeller and William B. Scranton, coming to Korea through Japan, had in their hands ‘Shinyak Maga Bokeumseo Eonhae’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 he shared the Gospel with Korean students in Tokyo and opened the Korean Sabbath School in 1883 for Christian education. He taught them the Bible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Third, he appealed to American Christians for mission to Korea. He showed actively his ardent desire to send American missionaries to his motherland as soon as possible. So he was called a Korean Macedonian. As a result of his efforts, the first ordained American missionaries, Horace G. Underwood and Henry G. Appenzeller came to Korea on April 5, 1885. These practical efforts for mission to Korea show that the early Christian mission activities in Korea was started by Sujeong Lee, the pioneer Korean Christia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