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로봇을 이용한 과제 기반의 로봇 상지재활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일상생활수행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검 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80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발표된 국외 무작위 대조군 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연 구들 중에서 과제와 함께 이루어지는 상지 로봇 재활치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EMBASE, Ovid-Medline, PubMed, CINAHL, Cochran CENTRAL을 통해 문헌검색과 선별을 실시했고,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으로 문헌의 질평가를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GRADE)로 근거의 수준을 마련했다.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for assessing risk of bias로 편향을 측정하고 RevMan 5.3 소프트웨어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개별 연구들의 대상자 수, 중재 전-후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자료합성에 사용하였다. 결과 : 12편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실험군의 대상자수는 총 341명(남성 235명, 여성 106명), 연령은 60.50 ± 5.51세의 분포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대상자수가 모두 301명(남성 207명, 여성 94명)이었고 58.55 ± 17.1세의 연령대를 보였다. 운동기능 전체의 효과크기는 2.63,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가 2.98, Box and Block Test가 2.25로 기능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ADL 수행능력에서는 기능적 독립성 측정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의 3.04을 제외하고 효과가 없었다. 결론 : 과제기반의 로봇상지재활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과 ADL 수행능력에 전반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봇을 이용한 상지재활치료의 효과여부의 확인을 위해 임상 평가의 점 수나 등급으로 산출되는 결과변수에 대한 세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5,200원
        2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지역사회기반 중재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ochran CENTRAL, RISS, 국회도서관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연구의 질 평가는 PEDro Scale을 사 용하였다. 두 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자료수집 및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포함기준에 맞는 연구는 7편 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포함되었다. 분석은 대상 논문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대상자 수,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388명 이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중재 효과크기는 2.63으로 지역사회기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지역사회기반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중재에 대한 근거로 제시할 수 있으며, 근거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지역사 회기반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23.
        2015.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노인의 IADL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기존 문헌들의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고, 도출된 요인들을 ICF에 따라 분류하여 최근 IADL의 연구 경향 및 각 요인들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노인의 IADL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련 문헌들을 검색하였다. 연구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도 이후 10년간의 문헌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된 각각의 변인들은 ICF의 분류 체계의 의거하여 재분류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고찰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총 44편이었으며, 연구결과 노인의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는 노인의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기능과 우울을 포함한 정신 질환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ICF의 분류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personal factors 영역에 포함된 논문이 많았다. 결론 :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긍정적인 삶의 유지를 위해 노인의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노인의 IADL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5,200원
        2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 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 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 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2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거북목 남생이과의 담수환 경에 서식하는 동물로서, 우리나라의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급 및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되어 보호 받고 있다. 환경 부, 국립공원관리공단 및 지자체 등에서 남생이 복원 사업 이 진행되고 있지만, 남생이의 서식현황, 행동권 연구 등 기초적인 생태, 행동에 관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고 있으나, 복원사업의 토대인 유전적 계통분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생이의 계통분류학적 위치 를 정립하고 복원사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2개 지 역에서 포획된 남생이(n=2)를 대상으로 mtDNA cytochrome b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남생이의 분포는 한반도, 중국 지역이며, 최근에는 대만, 홍콩, 일본, 인도네시아, 팔라우, 티모르섬에 인위적 도입으로 인한 자연 내 집단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에 서식하는 남생이는 도입종으로서 현재 일본 남 부 지방에 산재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18c 후반 한국에서 도입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남생이과(family Mauremys) 의 6종은 M. annamensis, M. japonica, M. mutica. M. nigricans, M. reevesii, M. sinensis이며 이들 6종간 서식처 의 유사성과 사람에 의한 인위적 도입에 따른 혼재에 의해 타종간 교배가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어 한국에 서식하는 남생이의 유전자 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위치 및 유전자 다양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DNA 염기서열 분석은 많은 동물군의 계통관계 재검토 및 종과 유전자 보전을 위한 보전생물학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미토콘드리아 DNA는 근연한 분류군이나 개 체군 내의 다양성 연구에 적합한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서식하는 남생이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 인하기 위해 cytochrome b 부분염기서열을 파악하였으며, Genbank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면 도갑저수 지에서 포획된 1개체와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포획된 1개체 총 2개체의 혈액 샘플에서 total DNA를 추출하였으며, PCR을 위한 primer로는 mtA, H15906을 사용하였고, PCR 조건은 40cycle, 95℃ 1min, 50℃, 72℃ 2min으로 수행하 였으며 ABI3730XL에 의해 980bp의 염기서열을 얻었다. 남생이의 타종간 교배를 확인하기 위 해 Genbank에 있는 남생이 속 내 다른 5종의 염기서열(M. annamensis (AY434564), M. japonica (AB559253), M. mutica (AY434628), M. nigricans (AJ519500), M. sinensis(AY434615))과 비교하 였다. Outgroup은 Cuora aurocapitata를 사용하였다. 염기 서열 alignment, 변이 사이트의 확인, 모델 선택, phylogenetic tree 구성을 위해 Mega5.2의 Jukes-Cantor (JC) 모델을 사 용하여 neighbor-joining tree를 만들어 비교 하였다. 남생이의 cytochrome b 960bp 결과와 Genbank에 있는 남생이 cytochrome b 960bp를 발췌해 함께 분석 한 결과 남생이 종 내의 변이 사이트는 총 13사이트 발견되었다. neighbor-joinging tree 결과 총 3clade로 나타났으며, 도갑 저수지의 1개체는 Gp1에 속하는 것으로, 경남 산청군의 1 개체는 Gp2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3clade의 확인을 위해서 suzuki등이 2011에 발표한 논문과 비교한 결과 한국 서천에서 채집된 개체가 포함된 한반도 그룹에 도갑저수지의 개체가 포함되 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남 산청의 개체는 중국 그룹에 포함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도갑저수지 개체가 한 반도 그룹에 포함되어 한반도 고유종으로 판단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지만 샘플 수가 많지 않아 향후 한반도의 고유종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남생이 샘플의 추가 확보는 물론 한국 내 권역별 샘플 확보와 더불 어 더 많은 마커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introduction of product liability law from America in 1960s, product liability has been on the rise as an important problem to the quality management of company and consumer's safety. Together with this, before the legislation of product liability system in Korea, the sense and level of company and consumer about product safety are rapidly changing, In times like the present, ensuring more systematic product safety and consumer safety, and the buildup need of competitive power in accordance with product liability prevention of company grows rais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most effectively manageable ways of product liability the side of safety management of consumers and companies through the ensuring ways and activity models of product safety and certification system in company.
        4,900원
        28.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tipromma jezoense Uchida의 종내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상이한 서식지에서 채집되 7개 개체군을 대상으로 계량형능학적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형능학적분석은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의 결과 25개의 형질이 4개의 factor들로 집약되어 나타났다. 이중 특히 다리의 형질들이 암·수모두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의 결과를 보면, 암·수 모두 서식하는 지리구에 따라 뚜렷한 형태적 gap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고, 그러한 결과를 도출해낸 판별형질로는 암컷에서는 가운데 홑눈의 최장폭을(MOD)과 복부제1마디의 길이(FTL)가 숫컷에서는 뺨의 길이(MSL)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LO is a unique gene family which is identified in plant and carries out abiotic and biotic stress responses in various plants. The understanding on the roles and functional diversity of this family is quite limited in rice, a model crop plant. Rice genome has 12 potential MLO family members. To do systematic functional assignment of MLO family in rice, we performed phylogenomic analysis of integrating meta-expression data based on public sources of microarray data or RT-PCR data into the phylogenic tree. As a result, we identified 12 MLO genes carrying various tissue-preferred expression patterns such as leaf, root, pollen, and ubiquitous expression, suggesting functional diversity in terms of anatomy or development. RT-PCR analysis confirmed, integrated transcriptome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functional redundancy or specificity among MLO family: MLO12 showed mature pollen preferred expression; MLO4, root tip; MLO10, overall root except root tip; MLO8, leaf; MLO2 and MLO9 showed redundant expression in overall tissues except root. Also, abiotic stress meta-expression data and RT-PCR performance suggested the functional association of 5 MLO and 6 MLO genes with heat and cold stress, respectively. Our analysi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study diverse developmental or physiological phenomena mediated by MLO family in rice, a major model crop plant.
        3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gene functional annotation is greatly hindered due to functional redundancy. Based on OGRO database information, function of only 1022 genes were characterized previously where estimated expressed genes is approximately 50000. TFs protein class consist of 80 families and function of only 211 were reported. To address this issue, we developed web resource using MySQL, PHP and related frame work. Database integrates expression pattern and diverse data in phylogenomic contest. Since TFs plays diverse role in plants, meta-expression analysis would provide putative function of remaining genes. Using this approach and in-house database, we have identified featured expression groups: 228 belongs to anatomy, 224 to abiotic stress, 202 to biotic stress and hormone responsive group includes 267 genes. Out of 315 known genes through loss of functional studies, 294 genes have no closely related family members. Among 12 pairs with probes in database, 6 genes have PCC value with more than 0.5 among closely related genes. These data suggest that TFs showing more than 0.5 PCC value among closely relating family members more likely have functional dominancy.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functional information for whole rice TFs and suggest promising functional genomic studies.
        3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3 ubiquitin ligase plays a central role in determining specificity of the ubiquitination system by selecting appropriate candidate proteins. Compared with other eukaryotic species there are significantly more U-box protein-encoding genes in plant genome. The rice genome contain 77 U-box-type E3 encoding genes. The 77 members of the rice plant U-box (PUB) E3 family can be placed into 8 major groups based on their domain organizations. In this study, we generate and analyze phylogenomic data integrating anatomical expression patterns consisting of anatomical and stress responsive expression patterns base on 1150 affymetrix arrays to the phylogenic tree of rice plant U-box E3 family. We further developed functional gene network meditated by E3 ligases and refined the components in network by integrating gene 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es. We expect that our analysis will be a useful platform to facilitate the functional identification for each of U-box E3 family.
        32.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ing nowadays are known as one of the most harmful factors concerning the yield of worldwide crop plants. To adapt with new challenges, a well-known strategy of plants is water-balance control. Aquaporins are a gene family of integral membrane protein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water transport regulation. By searching diverse databases, we expanded the number of rice aquaporin family from 33 to 37 genes. After that, the phylogenomic data integrating anatomical expression patterns consisting of 1150 affymetrix arrays and 209 Agilent 44K arrays, and stress responsible expression patterns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The systemic overview of gene expression for rice aquaporin family is used to evaluate functional redundancy within this family and identify suitable target genes in response to water stress. Functional gene network mediated by water stress relating aquaporin genes also suggested a useful platform for further researches.
        33.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P-binding cassette (ABC) proteins comprise a large superfamily and play as key in the physiology and development of plants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more functions for members of this interesting family are still in dark. Thus systematic analysis for this family will be helpful to design effective experimental plans for functional analysis of each of ABC family in rice. To do this, we performed phylogenomic analysis of integrating anatomy and stress meta-profiling data based on a large collection of rice affymetrix array data which provide useful clues to study functions of ABC transporter family in rice in term of anatomy and stress response. Then, we processed Significance analysis for Microarray to identify ABC transporters involved in water stress such as drought and salt. Subsequently, we identified 23 genes showing significant upregulation or downregulation by both drought and salt. Finally, we developed the interaction network mediated by six of them and then integrated diverse data such as co-expression patterns, putative functions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to the network and the network was further refined based on co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drought and salt stresses. Our analysis will provide molecular basis to study diverse biological phenomena mediated by ABC family in rice, a major model crop plant.
        34.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ing nowadays are known as one of the most harmful factors concerning the yield of worldwide crop plants. To adapt with new challenges, a well-known strategy of plants is water-balance control. Aquaporins are a gene family of integral membrane protein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water transport regulation. By searching diverse databases, we expanded the number of rice aquaporin family from 33 to 37 genes. After that, the phylogenomic data integrating anatomical expression patterns consisting of 1150 affymetrix arrays and 209 Agilent 44K arrays, and stress responsible expression patterns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The systemic overview of gene expression for rice aquaporin family is used to evaluate functional redundancy within this family and identify suitable target genes in response to water stress. Functional gene network mediated by water stress relating aquaporin genes also suggested a useful platform for further researches.
        37.
        1988.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 middle of 1950's when sea transportation service by container ship was established, containerization has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world with realization of intermodalism, and becomes an index of economy growth of a country. Our country has established Pusan Container Terminal at Pusan harbour in 1978 in step with worldwide trend of containerization, and is constructing New Container Terminal at Pusan outharbour which will be completed in 1990. This paper aims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Pusan Container Terminal system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especially focusing on its subsystems such as ship stevedoring system, storage system and transfer system. First, the capacity of various subsystems are evalua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effectively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Secondly, the suggestion is presented to improve the operation by considering the throughput that Pusan Container Terminal will have to accept until 1990, when New Container Terminal will be compl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 the inefficiency i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various subsystems at Pusan Container Terminal on the basis of about 1.2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33%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4/5 days for export/import. 2) On the basis of about 1.4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12% for gantry crane, 11% for straddle carrier and 66%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3/4 days for export/import. 3) On the basis of about 1.7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25% for gantry crane, 28% for straddle carrier and 100%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3/4 days for export/import. 4) On the basis of about 2 million TEU of container traffic,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25% for gantry crane, 30% for straddle carrier and 110% for transfer crane, and free period must be reduced into 2/3 days for export/import, and it is necessary to enlarge storage yard.
        38.
        1988.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he viewpoint of physical distribution, the port transport process can be regarded as a system which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s such as navigational aids, quay handling, transfer, storage, information If management, and co-ordination with inland transport. The handling productivity of this system is determined by the production level of the least productive subsystem. So, a productivity analysis on the flow of cargoes through each subsystem should be made in order to achieve efficient port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each subsystem in Pusan port, and to bring forward problems and finally to draw up plans for their betterment. Analyzed results on the productivity of each subsystem are as follows, i) It is known that the number of tugs with low HP should be increased by a few, the number of tugs with medium HP is appropriate, and the number of tugs with high HP is in excess of that necessary. ii ) In the case of container cargoes, it is found that the transfer and storage systems in BCTOC have the lowest handling capability, with a rate of 115%, leading to bottle-necks in the port transport system, while the handling rate of the storage and quay handling systems in general piers is in excess of the inherent capability. iii) In the case of the principal seaborne cargoes passing through general piers, there is found to be a remarkable bottle-neck in the storage system.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both the extension of storage capability and the extension of handling productivity are urgently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port users. Therefore, iv) As a short-term plan, it is proposed that many measures such as the reduction of free time,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ODCY, etc must be brought in and v) In the long-trun, even though the handling capability will accommodate an additional 960,000 TEU in 1991, the scheduled completion date of the third development plan of Pusan port, insufficiency of handling facilities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still expected and concrete countermeasures will ultimately have to be taken for the port's harmonious operation.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co-ordination with inland transport and urban traffic should be seriously examined together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usan port development. As a method of solving this, vi) It is suggested that Pusan port (North port) should be converted into an exclusive container ternimal and overall distribution systems to the other ports for treating general cargoes must be established. vii) And finally,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arrival time (cut-off time) of influx cargoes for exports such as general merchandise and steel product should be limited, with a view to securing cargoes suitable for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BCTOC.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