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8

        38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mand for facility used in producing multi-products is changed dynamically for discrete and finite time periods. The excess or the shortage for facility is occurred according to difference of the facility capacity size and demand for facility through given time periods. The shortage facility is met through the outsourcing production. The excess facility cost is considered for the periods that the facility capacity is greater than the demand for the facility, and the outsourcing production cost is considered for the periods that the demand for facility is greater than the facility capacity. This paper addresses to determine the facility capacity size, outsourcing production products and amount that minimizes the sum of the facility capacity cost, the excess facility cost and the outsourcing production co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mal solution are analyzed, and an algorithm applying them is developed. A numerical example is shown to explain the problem.
        4,000원
        38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consider a single-manufacturer single-buyer supply chain problem where a single manufacturer purchases and processes raw materials into a family of items in order to deliver a family of items to a single buyer at a fixed interval of time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Just-In-Time Purchasing. An integrated multi-item lot-splitting model of facilitating multiple shipments in small lots between buyer and manufacturer is developed in a JIT Purchasing environment. Previous research on the integrated model assumed that the manufacturer orders raw materials m (integer) times for every production run (lot multiplier policy for the raw material). In this paper, we consider a generalized policy in the replenishment of raw materials, allowing lot multiplier policy and lot splitting policy. An iterative solution procedure is developed to find the order interval for finished goods and raw materials, and number of shipments between buyer and manufacturer. We show by numerical example that when the integrated policy is adopted by both buyer and manufacturer in a cooperative manner, both parties can benefit.
        4,800원
        383.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용업 분야를 헤어, 네일, 피부, 메이크업으로 나누어 사고재해 실태와 사용 제품에 대한 안전 인식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근무하는 사업장의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요인으로는 분진, 근골격계, 화학 물질 함유 제품의 유기용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난 1년 동안의 사고 및 재해는 26.3%가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고나 재해의 종류로는 베임, 인대 늘어남, 하지 정맥류 등의 근골격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미용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화학물질 함유에 대한 인지도는 77.2%, 중금속 함 유에 대하여 인지도는 59.1%로 나타났으며, 미용업 관련 제품의 표시사항(성분, 주의 사항 등)에 대한 확인 여부는 ‘중요한 내용만 확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인지여부는 88.8%가 알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인식도 및 사업장의 비치 여부가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73.6%로 높게 나타나 안전 교육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업 전반에 대한 사고재해 실태 및 안전의식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미용업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와 정책적 안전관리 방안, 근로자 건강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387.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crucial that the manufacturing companies should consider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products in the early design phases.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d important tools for assessing the overall environmental impacts of products across the entire lifecycle. Based on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we provide a systematic guideline for eco-product design. The proposed guideline is primarily aimed at product developers or engineers, as a insight to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thinking into the early design phase, and therefore into products. This guideline has several steps: select the target product, describe the product structure, quantify the environmental impacts, identify meaningful underlying environmental impacts, and develop an environmental strategy. The usefulness of proposed guideline is also demonst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to an actual vacuum cleaner.
        4,000원
        38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개발된 우수 친환경 농자재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사전 충분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우선 진출 대상국가를 선정 하는것이 우선이며, 선정 대상국의 우수 딜러 발굴을 위한 전초 작업이 필요하다. 우선 대륙별 다양한 전시회 검토를 통하여 적합한 전시회를 정하여 꾸준히 참석함으로서 우수 딜러를 발굴하고, 해당 파트너와 함께 판매제품 개발을 위한 단계로 등록, 적합한 제품 선별, 현지 적용법 개발, 마케팅 기술 개발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함으로서 성공정인 제품 론칭을 기대할 수 있다. 진출 국가들의 다양한 농자재 유통 관행 및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친환경 농자제에 대한 등록 및 판매 허가 방침에 따라 진출제품을 선정 하는 것이 필요 하며, 필요에 따라서 기존제품의 현지화를 위한 재개발이 필요 하게 된다. 이는 국내기준에서 개발된 우수한 제품이더라도 해외 진출국가에서의 효과적 론칭을 위해서는 현지에 안착하여 판매 활성화가 될수 있도록 현지화 제품 개발 및 용법 개발이 필수 조건이 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출을 하고자 하는 업체의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투자가 요구 되어지, 이는 상당한 인내심과 열정이 요구되어지는 일이다. 물론 진출 국가별로 필요 개발 유형이 다향하게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나, 전체의 모든 진출 국가별로 개별적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친환경 병해충 방제 및 영양관리에 있어서, 방제가 필요한 병해충과 작물은 상당부분 공통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친환경 방제제 및 영양관리제 역시 특별한 차이 없이 요구 되어진다. 이러한 공통적 이슈를 커버할 수 있는 제품군을 선정하여 좀더 세부적으로 현지 적합성이 갖는 제품 개발을 해 나가는 것이 성공적인 해외 진출의 기본 사항이라 여긴다.
        38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Yeongsu, Ganwon-do. 19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our study. The ginseng intakes of male students(59.1%)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intake of female students(40.9%). The primary reasons for consuming ginseng were to “Maintain my [one’s] health” and to, “Restore my [one’s] energy”. The reasons for not consuming ginseng were “Taste” and, “Physical constitution”. Consumers purchased the following ginseng products at the market: For males, ginseng wine(21.7%), ginseng beverage(17.4%), ginseng candy(17.4%) and ginseng kimchi(17.4%) for females, Korean ginseng snacks(23.3%), ginseng yogurt(20.9%), ginseng candy(14.0%), and ginseng jelly(11.6%).
        4,000원
        39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스틱 사출 제품은 다양한 가전제품과 하이테크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치열한 경쟁적 비즈니스 환경에서 플라스틱 사출 제품 제조업자들은 고객을 만족시키면서 경쟁력을 얻기 위하여 다른 경쟁자들보다 먼저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신제품의 개발기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할 여유가 부족하다. 따라서 무한경쟁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제조업자들은 시장 마켓 점유를 빠르게 올리는 것과 동시에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 특징기반
        4,000원
        39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fresh-cut produce salads and raw cabbage toward climate change.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were monitored to get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to detect pathogens with risk of foodborne disease from samples. Collection of 360 samples (180 fresh-cut produce salads and 180 raw cabbage), including 60 samples from each area after setting 3 areas depending on annual temperature and annual rainfall. As a result,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group were different was performed areas in raw cabb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reas in fresh-cut produce salads. In addition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E. coli were not isolated from fresh-cut produce salads.
        4,000원
        39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reliability of equipment or product which spends a great deal of its time in the dormant condition. Many systems experienced periods of dormancy throughout their life cycle, such as periods of operati
        4,000원
        39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roduct family desig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since a product family-based development shortens lead-times and reduces cost, as well as increase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realization process. It is c
        4,000원
        394.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속되고, 기업경쟁이 심화되는 환경에서 R&D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경영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성공적인 R&D 활동을 위한 프로세스 및 세부활동들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있으며 기업의 R&D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 또한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의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체계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세스의 성숙도 평가 모델로 개발된 CMMI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R&D 프로세스에 적합한 평가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R&D 프로세스를 3가지 유형-신제품, 서비스,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R&D로 구분하여 유형별 맞춤화된 프로세스 평가체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유형 별 R&D 활동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R&D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문헌 연구를 통해 각 유형에 적합한 R&D 프로세스별 세부활동을 도출한다. 그 후 CMMI 평가기법을 기반으로 한 R&D 프로세스 평가방법을 제안하며, 마지막으로 제안된 평가체계가 적용된 시스템을 구현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의 R&D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6,400원
        395.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39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s of 6 kinds of commercial Makgeolli (A, B, C, D, E, and F) during storage at 4±1℃ for 30 days. The initial pH was 3.50~4.23, but it increased to 3.65~4.37 by the end of the storage period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tratable acidity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orage perio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A and B increased, whereas C, D, E, and F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 decrease in lightness (L values) was observed in all sample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p〈0.05).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from beginning values of 5.90~6.10% to ending values of 6.30~7.35% at the end of storage, of which sample B exhibited the highest value. A sensory evaluation test revealed tha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amples A, B, D, and E were still within acceptable limits, but samples C and F showed undesirable changes during 30 days of storage at 4℃.
        4,000원
        39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us of consum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develop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have taken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the past are as follows: distribution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howed that the highest-ranked group(the group that reported the highest consump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was professionals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degree. In addition, the highest-ranked group were the most healthy, nonsmokers and reported drinking habits of ‘1~2 times/week’.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ose surveyed, digestive disease and constipation were the most common complaints. The majority responded with ‘health concerns’ to the question that asked the reason for their purchase of the dietary fiber supplements. Three major places respondents could find dietary fiber supplements were ‘through the internet’, ‘the market’, ‘the pharmacy’ in descending order. The compositions of dietary fiber products varied. ‘konjac’, ‘cellulose’, ‘psyllium husks’ were the most popular components consumed by the subjects. The average duration of product consumption was less than one month.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satisfaction was ranked from 1 to 5), ‘taste’ and ‘type’ scored the highest in satisfaction levels while ‘price’ ranked the lowest. When subjects were asked about self-awareness regarding the physiological efficac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responses were positive in ‘bowel movement’ and ‘weight lo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order to assist consumers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ducts.
        4,000원
        39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valuate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eeze-dried Shingo pears(Pyus pyritolia Niitaka), cultivated at Cheonan city,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concentration of blanching solution we evaluated. Sliced Shingo pears(5 ㎜ and 7 ㎜ thickness) were blanched in sugar solution(0, 3, 5, 7, 10%) and freeze-dried to make dried fruits snack. The firmness of the pear snack sliced in 7 ㎜ portions was greater than the pear snacks sliced in 5mm pieces. However in sensory evaluation, pear snacks sliced in 5 ㎜ portions showed higher scores. pH and titratable ac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anching process.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lic compound in fresh pear was 3.7 ㎎% but freeze-dried pear snacks showed higher values at 15 ㎎%. Sensory evaluation tests showed that the scores for texture decreased as the thickness of the snack and sugar concentration of blanching solution increased; however the score increased(p<0.05). Color intens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highest in pear snacks sliced in 7 ㎜ pieces and blanched with 7% sugar solution.
        4,000원
        39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는 다양한 흰색의 감성을 평가하여 백색가전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제품의 감성과 적합한 흰색을 제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연구는 3가지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문헌조사와 워크샵을 통해 수집한 60가지 감성 어휘 중, 설문을 통해 (N=30) 제품색을 평가하기 적합한 2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다른 색들과 비교했을 때 흰색의 상대적인 감성적 특성을 알기 위해 I.R.I Hue & Tone 120 system으로부터 선정한 13가지 기본색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추출한 20개의 감성 어휘에 대해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N=30). 이를 요인 분석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4개의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추출되었으며, 또한 13색의 감성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흰색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서 얻은 4가지 감성 요인을 이용하여 미묘한 차이를 가진 25가지 흰색에 대한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색채 자극물은 CIE 1976 L*a*b*로 측정되었으며, 각각의 L, a, b값이 흰색의 감성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우리는 3가지 주요 결과를 얻었다 : 첫째, 제품색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존재한다. 둘째, 흰색은 다른 색보다 우아한 감성이 압도적으로 강하게 표현된다. 셋째, 색의 감성적 특성은 색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 중 일부분의 조합에 영향을 받는다. 추가적으로, 실험 3의 회귀분석을 통해 공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공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흰색의 감성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
        4,000원
        40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노 크기인 5nm 이하로 제조한 은나노제품(파이투패치)은 주요 식물병원균인 탄저병원균(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균핵병원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항균력이 있었다. 파이투패치 살포에 의한 고추탄저병 방제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파이투패치 희석액에 포자를 침지하여 포습시킨 후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5ppm까지 희석한 처리구에서 병원균의 포자발아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균사는 10ppm에서 생장억제효과가 15일간 지속되었다. 특히 파이투패치를 10ppm으로 희석하여 배지표면에 도말한 후 탄저병원균 포자를 접종하면 3일간 발아가 억제되어 식물체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였으며, 40% 이상 발병한 시험구에 4ppm 파이투패치를 살포한 결과 21일 후 7% 이하의 발병과율로 무처리 대비 70% 방제효과가 있었다. 장마철 탄저병 발생율이 94.6%인 시험포장에서 10ppm 농도로 파이투패치를 7일간격으로 엽면살포한 결과 발병과 발생율이 5.8%로 방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수확한 홍고추를 자연건조한 후에도 발병과율이 24.2%로 건고추 수확량도 증가하였다. 장마철 고추역병(Phytophthora capsici)은 장마가 끝난 무피복시험구에서 8월 11일 15%이었으며 고온기를 지난 9월 7일에는 발병율이 74%로 수확을 포기하였으나, 파이투패치를 코팅처리한 피복재를 씌운 시험구에서는 발병주가 2.3%로 장마철 역병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