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0

        421.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체장애 각 종목별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310명(남자 207/ 여자 103명)의 정서, 열정, 시합전략을 분석하였다. 지체장애선수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장애시기별, 운동수준별)에 따른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시행하였으며, 정서, 열정, 시합전략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열정개념에서는 성별, 운동수준에 따라 높은 개념을 보였다. 시합전략개념에서는 성별과 장애시기 그리고 운동수준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시합전략, 정서, 열정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서는 열정(조화/강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요인은 시합전략(목표설정, 긴장풀기, 혼잣말,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을 예측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조절은 긍정/부정적 정서요인 모두를 예측하고 있었다.
        436.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심리, 정서적 행동특성과 손기능 및 원예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9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주 2회씩(월요일,목요일) 총 22회 실시하였고, 6명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와 Purdue Pegboard 검사, 원예활동평가를 통해 원예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회, 심리적 행동특성은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60.8점에서 실시 후 평균 72.5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 31.7점보다 실시 후 평균 27.0점으로4.7점 낮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여자 중학생의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 특성의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손의 기민성을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오른손과 왼손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평가에 있어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능력, 운동지각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 등 9개 세부영역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후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437.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허브 공예와 아로마 요법이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정서와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구미시 D동에 위치한 K사회복지관에서 저소득층 세대이면서 결손가정의 중학생 7명을 대상으로 2007년 8월 22일부터 2007년 11월 7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Pine oil과 Lemon oil을 발향시킨 공간에서 다양한 허브를 이용하여 공예품 만들기를 하였다. 아로마 발향은 크기가 6m×10m×2m인 공간속에 학생들이 입실하기 15분 전에 아로마 발향 전용가습기를 이용하여 28방울의 오일을 떨어뜨렸다. 평가지는 서울 상록정신과에서 사용하는 심리 검사지를 이용하여 우울, 불안과 인성을 검사하였다.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우울 검사의 결과 실시 전은 평균 점수가 35.86점에서 실시 후 33.86점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유의성은 없었다(p=.583). 불안 검사의 결과는 실시 전 전체 평균 38점에서 실시 후 29.14점으로 불안이 유의하게(p=.037)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인성 검사의 결과는 실시 전 전체 평균이 23점에서 실시 후 23.29점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p=0.604).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우울, 불안, 인성검사에서 불안검사가 가장 효과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가정 결손으로 인해 늘 불안해 보였던 대상자들이 아로마 에센셜 오일이 발향된 공간속에서 허브 공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는 것은 결손가정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판단된다. 나아가 이러한 아로마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청소년들의 인성은 물론, 학습과 기억, 신체기능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혈압, 맥박 및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위치한 남구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분열병 남녀 7명을 대상으로 2002년 7월 9일부터 2002년 10월 1일까지 3개월간 주1회 총 12회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혈압, 맥박을 측정한 결과 수축기혈압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전 91.5에서 실시 후 87.04로 낮아졌으며 0.10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확장기혈압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전 69.49에서 실시 후 65.27로 4.22로 낮아졌으며 0.05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맥박의 경우도 혈압과 마찬가지로 원예치료 실시 전 81.79에서 실시 후 78.72로 3.07 낮아졌으며 0.10수준으로 차이가 있었다. 간이정신진단검사 결과 신체화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 전 51.55에서 실시 후 42.18로 9.37 낮아졌으며 0.10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원예치료평가표(KHY)의 경우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 모든 항목에서 0.05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정서적 발달에서는 활동의욕, 충동억제, 집중력, 자주성, 성취감, 작업태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발달에서는 도덕성과 협조성, 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가 혈압, 맥박 및 정서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상 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원예치료를 적용한다면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감소 및 정서적 안정은 물론 사회적 기능면에서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 기대한다.
        43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남자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8월 23일부터 12월 21일까지주 5회씩 총 76회 실시하였고, 6명을 대상으로 사회, 심리, 정서적 행동특성 검사지와 Purdue pegboard 검사를 통해 원예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회, 심리적 행동특성은 대상자 6명 전부 향상되었으며, 원예반학생보다 부족하고, 특히 눈과 손의 협응 운동 부류의 정교한 운동기능 수행능력은 더욱 낮으며, 지능이 낮을수록 운동기능이 떨어진다(송, 2003). 원예치료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적응에 있어서 운동지각능력, 체력 및 지각적 인식능력, 쓰기능력 등 신체적 능력향상에 효과적인데(노, 2000), 지적장애 학생의 손 기민성을 Purdue pegboard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실시 후 양손 및 조립 기능이 향상되었다(김 등, 2005). 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 42.8에서 실시 후 평균 62.5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특성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평균 6.9점 높아져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냈다. 손의 기민성을 평가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오른손, 왼손, 양손의 기능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