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9

        46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찰인근 소나무림은 문화경관림으로서 가치가 높으나 식생천이와 기후변화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사찰인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소나무 활력도, 입지환경 특성을 조사해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소나무림이 양호하게 남아 있는 전남지역의 천은사, 원효사, 증심사, 태안사 4개소를 연구대상지 로 선정했다. 이 대상지의 교목층에는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는 낙엽활엽수종이 주로 출현했다. 소나무의 수령이 많은 천은사 지역보다 증심사·원효사의 소나무 생육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토양의 총질소량은 증심사 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었는데 하층식생 발달로 총질소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종과의 질소양분 경합에서 밀려 소나무의 생육이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해발고와 가지길이는 부(-)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 소나무 평균상대우점치도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해발고· 경사도가 상승할수록 토양환경을 포함한 생육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소나무의 생장량·우점도가 저조해지는 것으로 보인 다. 경사도는 소나무 가지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나무림이 주로 분포하는 입지환경 범위 내라면, 급경사 지일수록 낙엽활엽수종과의 경쟁을 회피해 소나무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소나무 생육이 더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토양양분 증가는 낙엽활엽수종의 식생 발달을 촉진해 소나무 의 생육환경을 악화시켜 소나무림의 건전성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200원
        46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발과 보전 간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연환경 우수지역 중에서도 법적·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개발에 노출된 지역들에 대해 지속적인 현황 파악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와 법제적 평가 결과를 활용한 Gap 분석을 통하여 환경생태적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Gap 분석 결과, 전국토의 4.81%와 국토환경성 평가지도 환경생태적 평가 1등급 지역의 11.22%가 자연환경적으로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으로 분석되 었다. 그리고 이러한 대표지역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며, 기타법률에 의거 준보전산지, 가축사육제한구역 그리고 인근 학교로 인한 상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들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취약지역들은 여건만 조성된다면 개발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들의 보호를 위해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연환경이 우수한 관리취약지역의 제도적 관리와 보호 대책 마련을 통해 국내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지속가능한 국토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463.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onsumption landscape is currently moving, making it hard for marketers and managers to anticipate consumers‟ needs and behaviors. With the digitalization of their daily life, ways of selling/communicating/involving with consumers has been re-invented, shifting from a traditional brick-and-mortar environment to a click-and-mortar -if not purely digital- one. Besides, consumers themselves have evolved from postmodern values to hypermodern ones: they do not buy a product anymore for purely functional or hedonic values, but for a combination of both. The hypermodern consumer is in on ongoing quest of “meaning” (Lipovetsky, 2004): the products he buys and services he consumes need to „make sense‟ and help him give some meaning to his life. Such life meaning is then communicated to his network, via (among other media) digital tools, turning a traditionally small network (primary group) into a much larger one (take bloggers for instance (Maman Larraufie & Sommer, 2015)). Still, very few consumers switch towards a 100%-digital way of consuming. They tend to melt physical stores along with digital expectations. The store therefore needs to be a showcase of the brand values, aligned with consumers‟ values of consumption. Some studies have even showed that brand and consumer personalities needed to be aligned to create some store involvement and attachment (Wilson, Wagner, & Maman, 2015). Semiotics is a discipline that focuses on understanding how meaning is produced for consumers (analytic process) or can be produced for consumers (constructive proces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design marketing tools to build some meaning for consumers that would be consistent with their consumption values (Harmon, 2005; Mick, 1986). This would enable turning the store/the communication/etc. into some device enabling the consumer to make sense of his life. As presented before, the store is the current point of tension, as the reconciling showcase between virtual and real brand environments. In this presentation, I will stress out how structural semiotics (Greimas, 1966) can pragmatically help brand managers or marketers reconcile the rational and emotional dimensions behind the so-called store experience, while allowing the consumer associate some inherent meaning to the product/service showcased in the store. I will present several positioning deriving from it, and based on the objective of communication associated with the store, using the Jakobson‟s functions of speech (Jakobson & Halle, 2002). I use visual examples from various sectors of activity, from fashion to hospitality including jewelry, etc.
        46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안경원의 브랜드 자산, 외부환경, 내부환경이 고객만족, 신뢰 및 재방 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 였고, 불성실히 응답한 9부를 제외한 41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신뢰성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브랜드 자산이 외부환경과 내부환경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자산, 내부환경 등 외 생변수가 매개변수인 고객만족을 통해 신뢰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다시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환경은 고객만족과 신뢰 모두에서 유 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브랜드 자산과 내부환경의 경우에서는 재방문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객만족과 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경원은 기타 서비스직종과 달리 내부환경 중에서도 안경사특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특수 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자산이 내·외부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내부환경 즉, 상품, 가격 그리고 안경사 특성이 고객만족으로 이어져 신뢰를 거쳐 재방문에 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내부 환경 및 고객과의 신뢰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하고 이에 대한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200원
        465.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ignificant exodus of containers inland due to the container revolution has increased the salience of inland terminals for efficient freight distribution. Further, the migration of containers gradually inland has forced seaports to depend on these inland terminals to determine their competitiveness and offer a mechanism for competitive freight price to the consumer. The performance of dry ports need to be improved along with the dynamic nature of maritime business, to efficiently fulfil the demand all the key players in the container seaport system, provide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to their respective clients and enhances the importance of inland networks to improve and consistently elongate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seaports. Predicated to these importance, this paper aims to enhance dry port performance by adapting a process benchmarking strategy among the Malaysian dry ports. Prior to the adaptation of the process benchmarking approach, a grounded theory had been conducted as a method of analysis among the key players of the Malaysian container seaport system in order to provide essential inputs for the benchmarking. Through this paper, the outcome shows all four Malaysian dry ports need to improve thei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operation facilities, container planning strategy, competition, location and externalities in order to assist all the key players in the container seaport syste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4,800원
        46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gh energy efficient environment system in the cage (poultry buildings) and cold potable water supply to reduce the summer heat stress. For this study, the cage area size was 273m 2 and the air-to-water heat pump capacity was 20RT for heating and cool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emperature of the drinking water supplied by heat pump wa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of 15℃. However, the water temperature of control was 23~28 ℃ due to the effect of outside temperature. The average internal cage temperature was 25.3 ℃ in the test group and 28.1 ℃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2.8 ℃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lative humidity was 76.2% in the test group and 75.0% in the control group. The broiler drank 23.2 L / day in the test group and 21.5 L / day in the control group. Daily feed intake was 937 g and and 725 g in the cold water and control water respectively. The feed intake of 212 g was higher than that of cold water. The feeding rates were 1.8 and 1.9. Body weights were 1,523 g and 1,164 g in the cold water and control water respectively. The weight gain was 359 g in the test group fed with cold water and 392 g i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ortality rate was reduced by 84% in the cold water feeding test. It is necessary that future research will continue to reduce the incidence of such livestock accidents.’.
        4,000원
        46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 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46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방제 살충처리 방법으로 훈증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그물망을 이용한 방제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 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 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 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C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30°C 범위에서 탈출 성공률이 높았다. 먹이를 이용 한 솔수염하늘소의 유인은 탈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 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 는 구속 그물망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46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ir acute toxicities on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six toxic chemical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OECD guideline 207: sulfuric acid, methanol, methylethylketone, nitric acid, formic acid, and toluene. Sulfuric acid exhibited the maximum toxicity. The LC50 values of sulfuric acid, nitric acid, formic acid, and toluene were 20.5, 49.1, 55.5, and 534.5 μg cm-2, respectively. Toluene showed 26-fold lower toxicity than sulfuric acid. In this study, methanol and methylethylketone did not exhibit any toxicity to the earthworm. Further evaluation revealed that nitric acid, formic acid, and toluene exerted a change in the body weight of the chemically treated earthworms, whereas the other chemicals were ineffective.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when the chemicals are accidently discharged into the environment.
        4,000원
        47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온·습도 센서와 여러 가스센서에 의해 측정 및 제어되는 돈사환경제어시스템에 돼지의 체온조 절행동에 근거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환경정보를 보정한다면 보다 정밀한 축사 환경제어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IC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돈사의 정밀환경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 획득된 이 미지를 바탕으로 돼지의 행동특성을 3가지로 분류하기 위한 영상처리시스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 다. 공시재료는 실험돈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육돈용 자돈(F2, 36~40kg) 3마리를 이용하였으며, 영상처 리를 수행하고자 천정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하였다. 영상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은 Visual Studio C과 다양한 영상처리를 위해 개발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인 OpenCV Library를 이 용하여 구현하였다. 행동분류 알고리즘은 각 돼지의 중심점 데이터, 돼지가 차지하는 면적, 돼지 사이 의 거리를 구하고자 전처리를 수행한 이미지를 RGB 색상계에서 YCrCb 색상계로 변환하였으며, 히스토 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cvBlob함수를 사용하여 Labeling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영상 처리 결과, 검증 이미지를 대상으로 군집형태 A로 판단된 결과는 면적만 고려한 것과 거리와 면적을 같 이 고려하였을 때 인식률 95%를 나타내었다. 군집형태 B의 경우 면적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65%, 면적 과 거리를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95%로 나타났다. 군집형태 C의 경우 면적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25%, 면적과 거리를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100%로 나타나 환경정보 보정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47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 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이 좀 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용직 근로자들 의 감성노동에 대한 질적 피로도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근로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가 되기 위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근무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4,600원
        47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수출용 절화 장미 ‘Lovely Lydia’를 농가에 서 수확 후 일본의 후쿠오카 및 도쿄로 수송 시 수송환경과 각 현지에서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으로 선박 수송 시 후쿠오카는 약 2.8일, 도쿄는 약 4.2일 소요되었으며, 후쿠오카와 도쿄로 수출 되는 과정에서 온・습 도 및 VPD의 수송 환경 변화가 다소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도쿄로 수송된 절화 장미의 경우 시모노세키에서 검역 과정을 거친 후 도쿄로 약 24시간 수송을 하며 이 때 상온에 노출 되는 시간이 가장 많아 VPD 또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각 지역으로 수송된 후 품질을 조사한 결과, 후쿠오카에서 조사한 절화 장미의 수명은 13일인 반면에 도쿄에서 조사한 절화 장미의 수명은 11일로 약 2일 정도 단축되었으며, 위조 와 꽃잎 탈리의 노화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화폭변화율과 생체중 변화율이 후쿠오카에서 조사한 절화 장미보다 다소 낮 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흡수량과 수분균형도 낮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이는 일본으로 수출 시 상온 노출로 인한 고 온스트레스로 절화의 품질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일본으로 수출 시 저온유통시스템적용 등 일정한 환경유지를 통해 고품질의 절화 장미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78.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as applied to the pig model, intake and exhaust duct were installed at a height of top(2.1 m), middle(1.25 m) and bottom(0.4 m). In each of the 9 test sites, one test was performed from 10:00 to 18:00, optimal temperature exchange efficienc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 the temperature of 31 points(4 points of the ventilation system and 27 points in the pig house model) was measured from 10:00 to 18:00. The test that showed the highest heat exchange efficiency was the configuration of middle intake duct and top exhaust duct, which was 75.44%. The test that showed the most uniform distribution was the configuration of middle intake duct and bottom exhaust duct.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to optimally design feeding environment of actual pig houses and to reduce fuel cost.
        4,000원
        479.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농업 환경에서 채집된 파리의 분비물에서 E. coli을 분리하고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유전자 및 항생제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였다. 파리는 과일농장(n = 19), 장류생산농장(n = 9), 생활쓰레기 야적장(n = 46), 축사(n = 66), 도축장(n = 38), 퇴비장(n = 10)에서 총 188 마리를 채집하여 토사물과 배설물로부터 E. coli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coli을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 8종(ST, LT, VT1, VT2, aggR, bfpA, eaeA, ipaH)을 조사한 결과, 도축장에서 채집 된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 중 91%(31/34)가 장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ST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분리된 E. coli 의 16%(31/188)가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특 히, 항생제사용빈도가 높은 축사에서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경우에는 59%(23/39)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 리된 항생제 내성 E. coli 균주 중 10%(12/119)는 2종 이 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모두 축사 채집 파리에서 분리된 균주였으며, 이 중 2개 균주는 다재내성의 지표인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ESBL 양성균주 중 1 균주는 7종의 항생제에 내성 을 보였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축산환 경 서식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은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 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농식품을 생산하는 농장이나 식품공장은 가급적 축산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방충망 등의 차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