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

        4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핵과류과실에 일차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병해충관리 [IPM]의 일환으로 써 전세계적으로 교미교란제가 농가에 적용되고 있다. 왁스, 폴리에틸렌 튜브, 에어로졸 형태의 다양한 교미교란제가 상업화되었다. 이 연구에서 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방출기로써 에스테르왁스와 폴리프로필렌(PP)필름백을 구성하는 방출기를 기존의 파라핀 왁스와 폴리에틸렌(PE) 재 질의 필름과 비교하여 페로몬의 방출거동을 분석했다. PE재질의 필름백은 성페로몬의 방출이 불규칙한 반면, PP필름백에서 성페로몬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방출하는 패턴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Japan 왁스_PP 필름 방출기(Japan_PP)를 제작하였고, 약 5개월 동안 복숭아과 수원에 적용한 결과 98% 이상의 교미교란 효과가 검증되었다.
        4,000원
        4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ensure the provision of correct information to the public through investigating radon emanation by building materials that are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Radon emanation has been identified in 10 framing materials and 16 finishing materials of 26 building materials us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industry. Radon ema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based on CR-39 nuclear track detectors(NTDs). On Brick-General in framing materials, the highest radon emanation rates were 0.60028 Bq/ m2·h for surface and 0.00733 Bq/kg·h for mass, while on Ceiling-Tex Cement Plaster in finishing materials. The highest radon emanation rates were 0.47708 Bq/m2·h for surface and 0.05885 Bq/kg·h for mass.
        4,000원
        4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성의류용 탄화지르코늄 함유 축열 니트의 원적외선 특성을 연구하였다. 탄화지르코늄 함유 축열 PET 원사가 이성분 방사법에 의해 방사되었다. 이 원사의 core부에는 고점도 PET와 탄화지르코늄을 혼합한 용액을, sheath부에는 저점도 PET 용액을 사용하여 콘쥬게이트 방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방사된 원사의 원소분석과 원적외선 특성 분석이 EDS와 FT-IR 계측기기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두 가지 조직의 니트 소재를 편직하여 이들의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EDS 분석에서 Zr 피크를 확인하였으며 원사내에 Zr 원소가 19.29%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적외선 분석에서 5~20㎛ 파장 영역에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3.65 x 102 W/m2, 방사율이 0.906 임을 확인하였다. KES-F7 측정기 분석에서 ZrC 함유 편성물의 Qmax 값이 일반 PET 편성물의 값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온율 값은 ZrC 함유 편성물이 일반 PET보다 더 높은 값을 보이므로서 ZrC의 축열성을 확인하였다. 열전도도는 Zr의 높은 열전도도 때문에 일반 PET 편물보다 더 높은 값을 보였다. ZrC의 함유가 편물의 촉감에 미치는 영향을 없었으며 편성 조직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don is an inert gas, and a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 Radon is produced by radium and uranium. Generated radon causes lung cancer through the inhalation. Therefore, If uranium contaminated soil is close to indoor spaces, residents may be exposed to this radioactive material(Radon). Generally, radon affects the first to third floors of buildings. But our research team has often detected high radon concentration in the indoor air of high-rise apartmen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uilding materials containing uranium and radium are brought into apar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radon emission rate of building materials being used in South Korea. Also, our team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radon emission rate of gypsum tiles and concrete found in an apartment(17th floor apartment indoor radon concentration 5.03 pCi/L, Rad- 7(DURRIDGECo.USA)). Finally, we investigated the radon emission rate of bricks containing the soil near a uranium mine. The average radon emission rates of general building materials are as followings: (gypsum board : 0.20·h-1/kg, gravel : 0.05, gypsum tile : 0.02, indoor tile : 0.08, general brick : 0.02, red clay tile : 0.02, concrete : 0.11, uranium mine soil : 4.81). The results regarding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a 17th floor apartment’s building materials are as followings: (gypsum board : 0.70, concrete : N/A). The results regarding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bricks containing soil near a uranium mine was 0.19. This experiment indicates that gypsum boards show the highest radon emission rate among general building materials. In particular, the radon emission rate from the gypsum boards in a 17th floor apartment was 3.5 times higher than general gypsum board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building materials that possess high levels of uranium emit more radon gas than any other materials. South Korea has not established legal regulations on radon emission from building material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manage the radon emission rate of building materials and control their usage before construction.
        4,000원
        5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stimate weld quality of the resistance spot-welding, the acoustic emission features are investigated from the total acoustic emission signal at the single-spot weld. Typically, the resistance spot welding process consists of several stages: set-down of the electrodes, squeeze, current flow, forging, hold time, and lift-off. Various types of acoustic emission response corresponding to each stage can be separately analyzed by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classifier and wavelet transform technique. The presented machine learning results provide a validation for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wavelet transform technique as a valuable insights into the resistance spot-welding process. Especially, a wavelet transform technique is demonstrated and the plots are very powerful in the recognition of the acoustic emission features
        4,000원
        5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속된 이온이 전기장이 걸려있는 freestanding 단결정 실리콘 나노 박막에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열-전계 전자 방출 특성을 여러 전계 및 열적 조건 아래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온 충돌에 의한 열-전계 전자 방출은 쇼트키 효과 (schottky effect)의 선형영역의 특성에 의해 예측된 바와 같이 전계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했으며, 이온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실리콘 나노 박막의 질량 분석기용 이온 검출기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4,000원
        56.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arbon/epoxy composite DCB(double cantilever beam) specimens based on K-means clustering and wavelet transform analyses are presented. For the fracture Mode I, the fiber orientation θ = [0 ]24 and θ = [±45]12 both shown up stable crack growth in DCB testing. For the fiber orientation θ = [0 ]24 , the continuous type AE signal showed at central frequency 130~270kHz, which means that matrix micro cracking was occurred. The Burst type AE signal was occurred at central frequency 200~300kHz due to fiber bridging and fiber breaking. Other burst type AE signals were occurred at central frequency 130~180kHz with very high amplitude due to fiber bridging. For the fiber orientation θ = [±45]12 , the burst type signal showed at central frequency 220~300kHz, which means that fiber breaking was occurred. Mixed type of burst and continuous signals were captured at central frequency 250~480kHz due to fiber friction.
        4,000원
        57.
        2012.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VOC and formaldehyde emitted from asbestos stabilizers, because the stabilizers can be applied on the surface of asbestos contained building materials(ACBM). The emission test of three organic and synthetic resins(OSBS) and five inorganic based stabilizers(IBS) were tested for 7 days. The amount of emission and concentrations of TVOC were measured using GC/FID and GC/MS. In case of formaldehyde,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HPLC.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VOC and formaldehyde of 8 stabilizers were 1.173 mg/m2․h and 0.007 mg/m2․h, respectively. The maximum TVOC concentration among five OSBS was 5.698 mg/m2․h and exceeded the TVOC emission standard(4.0 mg/m2․h) for general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this study results, the applied stabilizer can be role one of pollutant sources like paints, floor tile etc. The emission test has to be tested one of stabilizers efficiency to manage the indoor air quality of building.
        4,200원
        5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연구에서는 GM 유채(Brassica napus)의 환경방출실험시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2. 문헌조사를 통해 유채의 품종 순도 유지를 위한 격리거리와 교잡가능한 종을 확인함으로써 모니터링의 범위와 모니터링 대상 식물종을 결정하였다. 3. GM 유채의 격리포장으로부터 1.3 km 거리 범위 내에서 발견된 B. napus, B. juncea 및 B. oleracea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교잡을 통한 유전자의 유출은 발견되지 않았다.
        4,000원
        6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약물을 방출하여 안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능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점도를 달리하는 열감응성 고분자를 매체로 하여 수용성 염료 또는 약물(ciprofloxacin)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약물 방출 속도와 양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염료가 함유된 겔 형태의 PF127이 HEMA hydrogel 사이에 삽입된 매체에서의 약물 방출은 점안액 형태의 약물보다 방출속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를 이용한 장시간 약물 전달이 가능하였다. 열감응성 고분자를 약물매체로 사용한 결과 초기 약물 방출량이 적고 단위시간당 방출되는 약물의 양이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용성 약물인 ciprofloxacin이 제조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최대 250시간 즉, 10일 동안 일정하게 방출되었다. 결 론: 열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약물을 방출하는 기능성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여 수용성 약물을 10일 동안 전달할 수 있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