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suggests improvement of current correctional policy on juvenile delinquents. It argues that recent augmentation of crimes committed by younger juveniles and its aggravation is caused by correctional policy based on punitive execution. For the research, 552 correctional officers from youth detention centers and prison for youth in Kyoung-ggi, Dae-jeon, Cheon-an, and Kim-cheon of 1,550 correctional officers from all the correctional facilities for the youth draw up the self-reports. This illustrates us satisfactions on the facilities and its educational or vocational programs offered. It also shows us how correctional community protects released youth from possible repeated offen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lf-reports, more than half of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current correctional facilities, however many participants point out that correctional facilities must be improved to be more mitigate. Even though there are positive views on the intellectual education, academic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offered in the current correctional system, lots of them believe it needs to offer more practical education that youth can fit into the community more successfully after release. In addition, many people take interests in new treatment system such as group home, foster homes, day treatment and alternative school program which are community treatments performed in America and Australia.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hough. For the future, when these variety system operates successfully, we can forecast that they will reduce crime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contribute to prevention of possible repeated offenses.
        9,000원
        4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43.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the developmental gap is dee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pacial aspect and, or betwee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ide. So there are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agri. development in national standpoint as well as in individual farmer's level. In this respect, agricultural financing is requisitive to speed up the pace of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in result,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farm income. By the way, farmers' credit demands are always in excess-demand status and they rely on private money-lenders in the burden of high interest rate. In agricultural financing market, there are two kinds of credit ; institutional credit and non-institutional credit market, that is private money-lending. In institutional credit, there are mutual credit system operating by the primary coops and policy credit system by NACF financed by Government in part. Here, in this paper, I venture to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policy credit system to increase and activate the supply function of agri. policy credit into farmers to enhance their socio-economic status.
        4,900원
        44.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fferences in urban regeneration independentl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Seoul based on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of Korean urban regeneration’s dir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oul has constantly responded to the revis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by adjusting and specifying the contents of ordinances, and especial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nhance regional characteristics suitably for the circumstances of Seoul. Second,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he budgets including the matching ratio of national and local subsidies sha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MOLIT in changing designating places after the sel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by the ministry, and this procedure and these implementation methods cause confusion to Seoul and local government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budgets and support methods of the “Gaggum Housing Project” of Seoul and “New Deal Housing Repair Project” of the MOLIT, which caused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and support standards, and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guidelines. Although the urban regener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velation and conserv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t might be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that can enhance citizens’ awareness and compensate the efficient contents needed for each region in the future.
        45.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은 8500만 명의 장애인이 있으며 세계에서 제일 장애인이 많은 국가이다. 장애인이 일반인과 동등한 사회적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어떻게 보장하는가는 중국정부의 중요한 과제이다. 장애인 관광권리 의 실현은 우선 국가정책 차원에서 확인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국 장애인 관광의 역사, 현황, 부 족 및 개선방안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자면 정책고찰을 접점으로 삼는 것이 최선의 연구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이 지금까지는 어떤 역사변천, 어떤 시대특징, 어떤 정책체계를 보여 준다. 수직적으로 장애인 관광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을 통해 정책 논리를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선진국은 장애인 관광정책에서 어떤 모색과정, 어떤 시행효과, 어떤 입법사례를 보여 준다. 수평적으로 미일 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의 비교를 통해 유익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한다. 셋째, 역사적 변천과 국제적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중국정부가 고민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검토를 통해 중국의 미래 장애인 관광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장애인 관광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념개선: 유니버설 디자인으로의 전환이다. 둘째, 입법개선: 입법선행체제로의 전환이다. 셋째, 기구개선: 비정부 기구에 대한 중시이다. 넷째, 인지개선: 사회구성원에 대한 홍보이다. 다섯째, 시설개선: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총체적으로 중국의 장애인 사업은 새로운 발전시대에 접어들었고 장애인의 관광권리도 정부와 사회 전체의 관심과 지지를 받아야 한다. 장애인 관광 사업의 발전을 정책적으로 추진하여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평등, 융합, 공유라는 관광 환경과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4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policy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public arboretum and survey the program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operators based on the case of the Daegu arboretum. According to the order of policy priority regarding the Daegu arboretum,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program topped the list with 0.155 point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a vision and goal, and the reestablishment of function, which scored 0.135 and 0.135 points, respectively. Fostering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volunteer work was in the upper ranks with 0.131 points. Building networks among public arboretums and constructing a research cooperation system with universities turned up with 0.09 and 0.075 points. As the result of program satisfaction,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around 0.66 points higher than that of operator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participants, comprehensive satisfaction, including that with the program operation method, was very high at 4.85 points. Out of the entire program, the operator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 benefits. This study aims to share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arboretums constructed in urban areas, analyzing policy prioritie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the Daegu arboret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the improvement plans of public arboretums. If improvement plans for public arboretums are modeled with other follow-up case studies, it will help ensure that public arboretums become evolving rather than fixed areas for citizens.
        47.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licy of Korea and Japan for improving upland farming mechanization.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t a policy direction of improving efficiency of farm management by using agricultural machinery. Research topic is the agricultural mechanization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The research attempts to classify mechanization policies into framework plan, R&D, rent and lease program, upland farm promotion policies. Major feature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followed. Firs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policies of Korea and Japan in terms of the aim of framework plan and other policies settings. However, Japanese policies focus more on the joint management of farming than Korean policies. Japanese policies take an entire system covering from farm to market into account. Second, Japanese policies have much attention to the agricultural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e, cooperatives that are eligible for using agricultural machinery. This is different from Korean policy. Thus, upland farming mechanization policy needs to set priority, and to have systemic approach. Also, upland farming mechanization policy has to be facilitated in accordance with producer organizations and their marketing strategies.
        48.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EA의 에너지 전망 시나리오에 따르면 세계의 에너지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를 제한하기 위한 에너지와 기후 정책이 시행 되고 있다. 파리협정은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기 위해 2015년 채택 된 신기후체제로,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다. 이에, 유럽에서는 이미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연료의 바이오매스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감하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여 전체 전력량의 13.4%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정책 목표 비중은 14년 67%에서 25년 38.8%, 35년 29.2%로 점차 줄어들지만, 신재생에너지의 전체 공급 목표량이 증가하므로 폐기물에너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2%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16년 신재생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폐기물에너지의 이론적 잠재량은 2013년 기준 13,977,173 toe/yr 에 이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가치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4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n aim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EFA) are increasing function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agriculture and building consumer confidence for agricultural products safety. The low-pesticide certification will be abolished in 2016, and this will give rise to much confusion to low-pesticide certification producers. The non-pesticide agriculture doesn’t mean organic farming, and the EFA standards of Korea don’t match up to international standards to organic agriculture. The system improvement directions for EFA are to devide into two types of organic farming and EFA, and EFA includes non-pesticide and low-pesticide farming both. These types must have legal grounds respectively.
        50.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활용 제도 개선을 위한 하나의 일환으로 철캔의 재활용 단계에서의 물질흐름을 분석하고, 해외사례를 검토하였다. 2013년도 기준으로 연간 철캔은 222천 톤 생산되었으며 생산된 양 중에 118.823천 톤이 수출되고 103.2천 톤이 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된 캔의 양은 89.5천 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치는 출고된 철캔의 86.7%에 해당한다. 국내 철캔의 물질흐름을 분석한 결과 재활용단계의 수집, 운반 단계에서 민간 재활용품 선별장의 이물질 혼입량이 높아 선별장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게 당 판매단가를 늘리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이물질을 투입하는 등의 행위도 일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활용 선별과정 중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이나 기타 이물질의 혼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사례 검토결과, 일본의 캔 재활용률 수치는 90%이상으로 조사되었다. 2013년 일본의 금속캔 통계정보에 따르면 일본의 재활용률은 92.9%로 집계되었다. 2000년 4월 금속캔 재활용의 의무화를 말하는 ‘용기 포장 재활용법’이 시행 되면서 금속캔 제조업체를 필두로 제조사, 유통업체들의 적극적인 재활용 정책 수용으로 재활용률의 상승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음료캔 유통 지점에 설치된 분리수거 박스는 재활용률 상승의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재활용 체계는 CRV(California Refund Value) 시스템을 통해 가정에서 직접 분리수거 및 좋은 금속캔 선별상태로 배출되어 선별단계에서의 예산 감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철캔의 물질흐름 분석 및 해외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재활용 정책 개선을 위해서는 철캔의 포장재질에 대한 평가를 통한 재활용 분담금을 차등 지급 방안, 품질 선별 우수사업장을 선정하여 재정적 지원으로 선별사업자의 자발적 선별 환경 개선을 촉진, 폐캔 배출 시 적절한 배출요령에 대한 지속적 캠페인 및 교육 시행 그리고 선별 우수사업장을 지정하여 사업장별 평가 등급을 책정하는 방안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arry out the Montreal Protocol, South Korea has completely prohibited the use of CFC which is a main refrigerant since 2010, and the use of HCFC is planned to be prohibited from 2040.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dependency on HFC as an alternate substance of HCFC will be increased. Since HFC which is one of main substances causing global warming phenomenon may have a harmful influence on climate chang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totally managing HCFC and HFC are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frigerant management systems in EU, USA and Japan have been considered in three aspects, such as the legal system for refrigerant management, the management and regulation limits for products using refrigerant, and the reduction policies and trends, centering on HCFC and HFC which are international regulation and reduction objects. EU environmental law regulates over the entire process for ozone depletion substances, such as production, import, export, use, market release, recovery, landfill and decomposition thereof. The united states regulates forming agents, labeling agents or the like, pursuant to Article 608 of the Federal Clean Air Act (air conditioning and automobiles), and in the case of the state of California, PFC and SF6 including HFC are defined as high GWP, and separately classified and managed. Unlike EU and USA, Japan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the Freon recovery and decomposition law for totally managing the Freon-based gas such as CFC, HCFC and HFC, and regulations on the refrigerant recovery and decomposition for each product are also specified in separate law related to the recovery of End-Of-Life (EOL) home appliances and vehicles.
        52.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을 위한 정책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과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근거로 동화주의적 입장에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한국이 문화다양성 보호협약에 가입을 한 후, 이 협약을 이행하기 위해 문화 기본법과 문화다양성 보호법을 제정,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법령의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에 관한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문화적 다양성 보호법에 근 거하여 “문화적 다양성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문화다양성을 반영한 정책 수립할 때는 정부와 민간, 학계가 함께 나서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