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4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ase of marine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damaged by the various environment effect(sea damage, freeze-thaw, carbonation), and t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going bad in the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periodic measurements and tests on the durability test site constructed at sea and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future maintenance based on the analyzed data.
        4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to salt-attack of concrete using various mineral admixtures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to develop high durability concrete. As a result, the resistance to salt-attack of concrete using fly ash was lower than that of OPC concrete at age of 28 days. However, all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s showed the higher resistance to salt-attack than OPC concrete at long-term age.
        4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structures are build up due to marine concrete development. These marine concrete long-term exposure to water occurs when the rebar corrosion or cracks destroyed. We study to improve this phenomenon. We had the Salt durability assessment that accompanies.
        4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urrent concrete structure of the highway is still the major problem most of concrete deterioration caused by the freeze-thaw and deicing salt, which is of issues that are not completely resolved. In particular, a single freezing event does not cause much harm, durability of concrete under multi-deterioration environment by repeated freeze-thaw and deicing salt is rapidly degraded and reduce its service life. In this study, the exposure environmental condition according the regional highway points were established. The damage condition and chloride content of the concrete at general and severe environmental exposure condition were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test of chloride ion permeability, scaling resistant and freeze-thaw resistance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mechanical placing concrete of subsidia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bservation of concrete surface condition, the concrete exposed by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 showed broad ranges of damage with high chloride contents. Meanwhile, the water-binder(W/B) ratio and the less water content, and fly ash concrete than the specified existing mix proportion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durability. Also, the optimal mix proportion derived for test is satisfied the strength and air contents, water-binder ratio, and durability criteria of concrete specifications, as well as service life seems greatly improved.
        4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Concrete-Faced Rock-Filled Dam)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댐은 영구 구조물이 며 그 중요성을 감안할 때 충분한 내구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차수벽 콘크리트의 내 구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플라이애시와 PVA 섬유 혼입율에 따른 내구성능 향상 검증을 위하여 기본물성 (강도, 소성수축, 자기수축)을 포함한 내구성능 검증 실험(염소이온 침투, 마모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플라이애시 15%와 PVA 섬유 0.1%를 혼 입하였을 때 내구성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된 차수벽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을 통해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의 안전성 및 내 구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inforced concrete hume pipes have been widely used as drain pipes. However, many reinforced concrete hume pipes are exposed to the deteriorated environments such as freezing-thawing damage, chemical attack and chloride ion immersion by using sea s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hume pipe by using the polymer cement slurry(PCS)-coated rebar and treating the surface by polymer cement mortar(PCM). From the test results, it is apparent that PCS-coated rebar has a excellent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the PCM has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as a lining material for reinforced concrete hume pipe product.
        4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the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rupture and scaling resistance tests in order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concrete pavement containing waste glass powder.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cretes incorporating 20% waste glass powder had higher compressive strengths and modulus of ruptures than the concretes with 20% fly-ash. Also, they had a better scaling resistance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s and fly ash concretes.
        4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PER concrete poontoon is developed to overcome shortcomings about corrosion problem of steel poontoon and the insufficient freeboard line of concrete poontoon. The top slab resists for truck load or sidewalk live load. And the soffit slab and outer wall resist for horizontal and lift components of wave pressure. The optimum characteristic compressive strength of SUPER concrete poontoon is analyzed 100Mpa. SUPER concrete poontoon have advantageous durability compared with the steel or general strength material in a lot of Chloride Exposure at offshoer, These are checked by Fick's diffusion curve and depth of neutralization. Finally, SUPER concrete is alternative material for steel and concrete poontoon.
        49.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해 개발된 통기성이 개선된 나노합성 폴리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내구성향 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내부 구조와 공극량을 측정하였으며, 염분침투, 탄산화, 동결융해 및 화학적 침식 저항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기 존 표면처리제와 비교․분석하였다. 공극량과 내부 구조를 측정한 결과, 나노합성 폴리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트는 0.3㎛ 이상의 공극과 0.1㎛ 이하의 공극영역에서 세공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자현미경을 통한 촬영된 내부는 수화조직에 의해 치밀함을 보였다. 나노합 성 폴리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염분침투 깊이는 무도포 콘크리트에 비해 약 92% 이상, 수성 에폭시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 트보다도 약 70% 이상 감소하였다. 이는 탄산화, 동결융해 및 화학적 침식 저항성 실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황산 5% 수용액에 침지 실험한 화학적 침식 저항성 실험에서는 침지 12일 이후 무도포 콘크리트와 수성 에폭시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트에서 -4%의 중량감소를 보였지만, 나노합성 폴리머 표면처리제를 도포한 콘크리트는 -1.7%의 중량감소율을 보였으며, Tsivilis et al.에 의한 외관등급 조사법에서도 우 수한 결과를 보였다.
        50.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폴리머화하여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내구성능 및 생물독성 평가를 실시하 였다. 평가 결과,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의 내화학성능은 산, 알칼리 용액에 대하여 화학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합조건별 촉진내후 성 실험 후 부착강도평가 결과 규사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동시에 혼합한 배합에서 가장 우수한 강도특성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용 표면보호 재 시험체의 온냉반복 후에도 모든 배합조건에서 부착강도 1 MPa을 상회하였고, SFS배합에서 가장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었다. 표면보호재 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촉진탄산화 및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을 검토한 결과, 규사분말을 채움재로 사용한 표면보호재를 도포한 시험체에서 가장 우수한 내구성능을 나타내었다. 유황폴리머를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사용시 생물독성 검토를 위해 어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황폴리머 는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보호재의 내화학성, 동결융해저항성, 탄산화, 염소이온침투저항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범위에서는 유황폴리머에 채움재로서 규사분말과 플라이애시를 각각 20%씩 대체하는 것이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5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arbonation resistance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carbonation resistance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5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examined the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apid cooling slag as fine aggregate for concrete.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crete using rapid cooling slag showed that durability properties was equal to concrete using normal fine aggregate.
        5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approach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was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additionally considered the time-dependent and environmental effects, especially freezing-thawing and salt attack. This might have a potential for the reasonable durability evaluation with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OC facilities.
        54.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 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 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 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 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 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 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5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was introduced.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ging environment, and the other is aging development evaluation which including time factor. This method will be helpful to estimate the synthetic durability of the SOC facilities.
        5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strength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5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compressive,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scaling, freezing-thawing test. These test will evaluate the durability of Waste Glass Powder(WG) and Sludge(WGS) concrete. In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taining WG, WGS increased rather than OPC in age 90 days. Also,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scaling, freezing-thawing confirmed excellent rather than OPC.
        5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60.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고는 동절기 이후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서 쉽게 발생하는 스케일링 현상에 주목하여 무근 콘크리트의 동해 발생원인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기존문헌조사를 통하여 1) 강도향상, 2) 진공배수공법 적용, 3) 흡수방지재 시공의 방법을 선정하였다. 그 후 각 방법의 동결융해저항성 향상 평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위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통한 상대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2)번의 경우 동탄성계수가 약 15% 향상, 3)의 경우 강도에 따라 7~13%향상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 모두 무근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향상에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무근콘크리트의 빈번히 발생하는 품질저하 및 이로인한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