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4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ushed peach stone shells were impregnated with H3PO4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30-70%)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773 K for 3 h. Produced carbons (ACs) were characterized by N2 adsorption at 77 K using the BET-equation and the α-method. High surface area microporous ACs were obtained, with enhanced internal pore volume, as function of % H3PO4. Adsorption isotherms from aqueous solution were determined for methylene blue (MB) and p-nitrophenol (PNP), as representatives for dye and phenolics pollutant molecules. Application of the Langmuir model proved the high limiting capacity towards both solute molecules, MB was uptaken in increasing amounts as function of H3PO4 concentration and generated porosity. High removal of PNP was almost the same irrespective of porosity characteristics. Competitive adsorption of H2O molecules on the hydrophilic carbon surface seems to partially reduce the available area to the PNP molecules. Application of the pseudo-second order law described well the fast adsorption (≤ 120 min) at two initial dye concentrations.
        4,000원
        42.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 royal palaces are currently remained from capital city (Seoul) of 'Cho-Sun(朝鮮)' period. In these palaces,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is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s.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 was the best building of that time. Therefore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But these studies were individual studies of these 'Main hall of Royal Pala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4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s. It is to study the proportion regarding the Diameter of the pillar, the Height, the pillar and pillar Interval's Distance, and the arrangement of 'Kong-Po(bracket sets)'. With these studies, it is to prove tha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the building which high construction technique of this time is expressed.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the proportion of pillar height(H) to its diameter(D) average from H=8.0 to 8.5D. Only the Myeong-Jeong-Jeon omitted the 'Go-Ju(高柱)' in the 'Toi-Kan (退間)' to place Ea-Jwa(御座). Second, Second, the proportion of diameter of the pillar of 'Eoi-Bu-Pyeong-Ju(外部平柱)' and 'Nae-Jin-Go-Ju(內陣高柱)' average D1(Diameter of 'Eoi-Bu-Pyeong-Ju') =0.91D2 (Diameter of 'Nae-Jin-Go-Ju'). In regards to the height, the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and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seems to be different. The height proportion of the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H1(Height of 'Eoi-Bu-Pyeong-Ju')=0.34H2(Height of 'Nae-Jin-Go-Ju') and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has a proportion of H1=0.62H2. Third, in Geun-Jeong-Jeon, with the proportion of height and diameter of the pillar, interval's distance between pillars and diameter, the pillar interval distance and height, of 'Ea-kan(御間)' from the 'Toi-Kan' is different from 'Main hall of Royal Palac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Toi-Kan' of Geun-Jeong-Jeon is not stable. In order to reinforce this, 'Gui-Go-Ju(隅高柱)' of the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In-Jeong-Jeon. Fourth, when comparing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Geun-Jeong-Jeon and In-Jeong-Jeon, based on distance of 'Eoi-Bu-Pyeong-Ju' and 'Nae-Jin-Go-Ju' of lower level, the 'Sang-Bu-Pyeong-Ju(上部平柱)' of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the In-Jeong-Jeon and also It becomes thicker. Fifth, the arrangement of 'Kong-Po' on the front row of 'Gan(間)' had to do with the change of side 'Gan'. Even though the Geun-Jeong-Jeon and the In-Jeong-Jeon were double floors, the arrangement of the 'Kong-Po' is different because the number of side bay is different.
        5,100원
        4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case study, results of the explosion accident at MEK-PO factory were analysed by using the consequence analysis of quantitative hazard assessment and the explosion energy, the burst pressure of vessel, and overpressures at the explosion center and at 300m distance from the explosion center were estimated, respectively. As a result, we found that a cause of accident was the runaway reaction of product(MEK-PO) because of the molecular expansion in vessel an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runaway reaction was classified the mechanical failure(the obstacle of refrigerator or the shutdown valve), design error, and operating error by lack of thermochemical knowledge. Also, the evasive action to prevent accident was suggested.
        4,000원
        45.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sulfone을 술폰화하여 물-부탄올 용액의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용 비대칭막을 제조하였다. 술론화제로는 chlorosulfoneic acid-trimethyulchlorosilane을 반응시킨 후 이용하였다.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치환여부를 살펴보았고 술폰화정도는 역적정법과 1HH-NMR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DSC와 TGA를 이용하여 열적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비대칭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N-methyl-2-pyrrolidone(NMP)rhk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단면과 skinlayer 의 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한 연구에서 제조한 비대칭막은 dense film에 비하여 물에 대한 선택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투과유량은 약 80배 정도 증가하였다.
        4,000원
        4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마자키 토마토용 배양액을 이용하여 토마토를 담액 재배할 경우, pH 7.5 정도인 수돗물을 용수로 한 배양액에 NH4H2PO4를 사용하므로써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적정 식물생장을 유도할 수 있는 NH4H2PO4농도를 찾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NH4H2PO4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배양액의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C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NH4-N 8/3 me/l 처리구에서는 식물체에 황화현상이 나타났다. NH4-N이 4/3 me/l 혹은 5/3 me/l인 처리구에서 pH와 EC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엽장이나 줄기직경은 NH4-N 2/3 me/l처리구에서 큰 값을 나타냈고, 과실의 당도는 NH4-N 5/3 me/l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토마토의 담액 재배시 수확기 이전에는 NH4-N을 2/3 me/l로 하고, 수확기에는 NH4-N을 4/3-5/3 me/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4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수돗물을 용수로 사용한 결구상추(Lactuca sativa var. capitata)의 수경육묘시 배양액의 pH에 대한 NH4H2PO4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시작배양액과 추가배양액의 조성을 달리하여 공급하였다. 배양액의 pH는 추가배양액의 공급시 급격한 하락을 나타낸 후에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pH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EC는 반대로 감소하는 일중변화를 보였다. 1, 2차 실험에서 pH는 추가배양액 공급 이후에 NH4H2PO4 0.25me/l 처리구에서 7정도를 유지하였으나 NH4H2PO4 3me/l과 6me/l 처리구에서는 6.4-6.5정도를 유지하였다. 3차 실험에서 NH4H2PO4 0.25me/l 처리구의 pH는 6.7에서 7.4 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NH4H2PO4 3me/l과 6me/l 처리구에서는 6-6.5에서 5-5.5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는 배양액에 존재하는 NH4H2PO4의 전체 양을 1me/sl과 7me/6l사이로 설정하거나, 농도를 기준으로 0.25 me/l와 3 me/l 사이로 하는 것이 적정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49.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온도에서 스트루바이트(struvite, MgNH4PO4·6H2O)들이 합성 및 건조되었다. 스트루바이트의 결정화와 그 구조적 특성은 합성 온도와 건조 온도 모두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스트루바이트는 합성 온도 ≤30℃에서 순조롭게 형성되었으며, 결정도는 합성 온도와 역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스트루바이트 결정도는 건조 온도가 45℃에서 60℃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이는 열분해로 인해 발생한 구조적 물 분자와 암 모늄 이온의 손실로 촉진되었다. 그러나 낮은 합성 온도에서 합성된 스트루바이트 일수록 높은 결정도를 가 지며, 열분해에 의한 비정질화가 억제되었다. 본 결과는 저온의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조건에서 형성된 스트루 바이트는 높은 결정성을 보이며, 이에 따른 구조 안정성과 열저항성을 갖음을 입증한다.
        50.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폴리 인산염 모체에 이온 반경이 유사한 Sr과 Eu 치환에 적합한 형광체를 찾아 단일 희토류 이온이 첨가 된 형광체를 합성하고 후처리를 통해 형광 영역이 변화를 연구하였다. 고상법을 이용하여 Eu 이온이 첨가 된 NaSr(PO3)3형광체를 합성하고 탄소열환원법을 통하여 NaSr(PO3)3:Eu2+ 형광체를 완성하였다. 두 형광체 모두 X선 회절 측정을 통하여 결정상을 확인하였다. NaSr(PO3)3:Eu3+의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 모두 Eu3+ 농도가 증가할수록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고 농도소광을 확인하였다. 방출스펙트럼에서 Eu3+ 농도가 높아질 수록 Eu3+ 주변 환경의 국부적 대칭성이 높아지는 것 알 수 있었다. NaSr(PO3)3:Eu2+ 농도별 방출스펙트럼에서 Eu2+ 이온 농도 증가에 따른 Eu2+ 이온 사이의 임계 거리가 가장 가까운 Eu2+ 사이의 에너지 전달에 의해 형광이 감소하는 농도소광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단일 희토류 이온이 첨가된 형광체의 후처리를 통해 형광 영역 변화가 가능하며 형광체 내 Eu3+ 주변 환경의 국부적 대칭성과 Eu2+ 이온간 거리에 따른 에너지 전달 및 농도소광 메커니즘 연구를 통하여 형광 특성 응용에 적합하고 효율성이 높은 형광체 개발에 좋은 모체 결정으로 사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5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b3+ 이온이 첨가 된 NaCa(PO3)3 형광체의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 및 레이저 분광 측정을 통하여 형광특성을 조사 하였다. 고상법으로 NaCa(PO3)3:Tb3+ 형광체를 합성하였다. X선 회절측정(XRD)을 사용하여 형광체의 결정 구조 및 결정성을 분석하여 Tb3+ 이온이 30 mol%까지 첨가되어도 형광체의 결정구조가 NaCa(PO3)3의 결정상을 유지하였다. NaCa(PO3)3:Tb3+(0.01 - 30mol %)형광체의 여기 및 방출 스펙트럼과 형광의 감쇠곡선을 상온에서 측정 하였다. NaCa(PO3)3:Tb3+의 여기 스펙트럼에서 205 ~ 245 nm 영역에서 넓은 Tb3+의 4f – 5d 전이에 의한 f - d 밴드가 나타났다. NaCa(PO3)3:Tb3+의 방출 스펙트럼에서 5D4 → 7FJ 전이에 의한 강한 피크와 5D3 → 7FJ 전이에 약한 피크가 관찰 되었다. 방출 스펙트럼의 형광 강도와 형광의 수명시간 분석을 통하여 Tb3+ 이온 사이의 에너지 전이 및 교차 이완이 확인되었다.
        5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산불의 강도와 세기에 대한 측정을 위해 실제 일어난 산불을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재현하고, 산불의 열적 강도와 행동에 대해 측정하였다. 산불은 2013년 3월 9일 포항지역에서 도심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산불은 도시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산림인접지의 시설물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산불을 재현하기 위해, 미국 산림청에서 개발한 FARSITE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 기상, 연료 조건을 수치지형도와 수치 임상도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편집하였으며, 산불발생 지역을 입력하여, 실제 산불 상황을 재현하였다. 이를 통해, 피해를 입은 산림 인접지 내 시설물 주변의 산불 강도와 행태에 대한 간접적인 측정을 시도하였으며, 산불의 위험 지형을 유추하였다.연구 결과, 산불의 재현을 통해 예측된 피해지역은 실제 피해지역 보다 넓었으며, 사면장 길이 분석 결과 1~2/10 지역과 경사도 10도 이하의 지역이 산불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시설물은 1.5~2.4m 이하의 산불 화염 높이가 발생하였을 때, 위험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통해, 향 후 산불안전지역을 기준 설정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5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ructural damage patterns of the Korean Traditional Wood Structures classified as the Jushim-po and Da-po Type are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s are based on the reports of repairing or actual measurements for the Jushim-po and Da-po structures. Lastly, the vulnerable parts according ot structural systems are analyzed statistically.
        5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회봉과 동파는 몇 백년의 간극을 뛰어넘어 ‘和陶詩’라는 하나의 시형식으로 遭遇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도연명이라는 인물의 도덕적 청렴함과 인품의 고결함, 은자로서의 삶에 같은 공감대를 느끼며 ‘화도시’를 짓게 되었고, 특히 회봉은 소동파에게도 상당히 경도되어 있었는데 이도 화도시를 짓는 하나의 動因이 되었다. 시대의 간극을 뛰어넘고 ‘화도시’로 만난 이들은 각자 처한 시대와 현실에 고민하고 갈등하며 그 내면적 고뇌들을 시에 加減 없이 담아내었다. 그러므로 ‘화도시’는 그들의 정신적 고뇌의 산물이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해가는 일종의 정신적 해방구이기도 하였다. 회봉은 화도시에서 유학자로의 자세를 견지하고 도덕적 선을 추구하는 시를 지었으며, 亡國의 좌절과 아픔을 화도시에 담아 내었다. 유학자로서 이상적인 모습을 시에 나타내려한 회봉의 화도시에는 溫柔敦厚함이 담겨있다. 그리고 동파는 현실을 추구하는 유자로의 모습과 은일의 삶을 추구하는 은자로서 모습 사이에서 갈등하며 시대의 불우에 대한 좌절을 화도시에 담아내면서도 아주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보였다. 회봉은 동파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견해를 보이며 시공을 초월하여 ‘화도시’를 통해 동파와 交感하였다. 동파와 비교가 가능한 회봉의 화도시는 우리 한문학의 범위를 해방후까지 연장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근대한문학의 범주를 공고히 하게 한다.
        5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stablish how we can estimate the stability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s by using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s, it is important to calculate the stiffness of the Gong-Po. So, the estimating method of its axial stiffness is proposed on the deformation of each member which forms the Gong-Po.
        5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erformance of grass filter strips (GFS) in abating P04-P concentrations from the forage cropland was tested in an experiment on the 10% slope in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from October 2007 to September 2009. Forage croplands with rye-corn double cropping system applied with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LM) were compared in a natural condition. The plots were hydrologically isolated Main plots consisted of the length of GFS, such as Om, 5m, 10m and 15m. Sub plots consisted of the type of LM, such as chemical fertilizer (CF), composted cattle manure (CCM) and composted swine manure (CSM). Concentrations of P04-P in surface runoff water were reduced as the length of GFS increased. Especially, GFS with 10m and 15m reduced PO4-P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with Om and 5m (p<0.05).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GFS improved the removal and trapping PO4-P from forage croplands.
        5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effects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s accumulation in ginseng hairy root, potassium phosphate was supplemented with 1.25, 2.5, and 5.0 mM concentration in 1/2 MS medium, respectively. Potassium phosphate supplement was increased the biomass and ginsenosides accumulation when it was dose at the concentration of 1.25 mM. And the growth rate of hairy root in the light condition was higher than in dark condition. The highest contents and productivity of ginsenosides were observed at the supplement of 1.25 mM potassium phosphate at the 7th day after the culture onset. Ginseng hairy root cultured in 20 L bioreactor supplemented with 1.25 mM KH2PO4 was increased the growth with 1,609 g (F·W) and ginsenosides content with 11.09 mg than those in control.
        5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 영일만 신항이 개장될 경우 포항항 진입 수역은 선박 통항량이 증가하고 중대형 선박들의 입출항이 가속화될 것이다. 그러나 포항항 일부 진입 수역에는 여전히 항행 위험 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즉, 호미곶 인근 해역에서의 무질서한 항행 및 교통이 폭주하고 있어 통항 안전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해상교통조사 결과를 선종별 및 톤수별로 통계 처리하고 통항 선박의 항적 분포 등을 토대로 통항 선박의 주요 통항로 및 통항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포항항 진입 수역의 항로지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