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41.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 방제는 포스팜 50% 액제를 수간 주입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나 약제처리가 농작업이 많은 시기임으로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한 실제 방제에 문제점이 있어 항고기를 이용한 약제방제가 필요하여 저독성 약제인 곤충발육저해제 중 Buprofezin 40% 액상 수화제가 선발되었고 10배, 30배, 50배로 희석하여 ULV로 살포한 결과 각각 72.4%, 57.6%, 8.4%의 방제효과를 얻어 항공방제용 약제 선발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4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재래종 밤나무와 저항성 품종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충에서 유약 호르몬과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의 활성도를 Gas liquid chromatohraphy (R ller et al.1965), Galleria cuticle wax 검사 (de Loof & van Loon 1981) 및 Liquid scintilation counter (Hammock & Sparks 1977)로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충에서 GLC로 분리한 유약호르몬은 양군 모두에서 유약호르몬 I(JH-I)로 동정되었다.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 함량은 35,800 GU/g와 30,900 GU/g이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의 유약호르몬의 함량은 28,600 GU/g으로 나타났다. 유약호르몬 특이 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품종(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48 n mole/min/ml와 1.63 n mole/min/ml, 그리고 재래종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은 1.89 n mole/min/ml로 측정되었다. 유약호르몬 함량은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보다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에 기생하는 밤나무 혹벌에서 더 높았으나, 유약호르몬 특이에스테라제 활성도는 저항성 밤나무(축파, 단택)보다 재래종 밤나무에 기생하는 혹벌에서 더 높게 나타나 서로 역비례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43.
        198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성충을 재료로 하여 그 생식절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웅성 : 배측에서 보면 두쌍의 hypoproct가 있고 그 양쪽에는 한쌍의 claspettes가 있다. 각 부분의 표면은 주로 seta와 sensilla로 덮혀 있다. 특히 gonostylus 상단부에는 특이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또한 aedeagus가 관찰되었는데 그 끝부분에는 매우 특이한 구조가 나타났다. 자성: Ovipositor는 세개의 마디로 되어 이들 각 마디의 표면구조는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4,000원
        44.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年) 3월(月)부터 1981년(年) 9월(月)까지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둔대리(京畿道 華城郡 半月面 屯台里) 야산(野山)에서 월동후(越冬後) 솔잎혹파리 밀도변동(密度變動)에 미치는 주요인자(主要因子)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진행(進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중밀도(土中密度) 감소율(減少率)은 양세대(兩世代)에서 용화전까지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용화기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변동상(變動相)은 세대(世代)에 따라 차(差)가 있었다. 2.1979년(年)과 1980년(年) 양세대(兩世代)의 추정(推定) 용화 50%일(日)을 비교(比較)해 볼 때, 1980년세대(年世代)에서 약(約) 2주정도(週程度) 앞당겨졌는데, 이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으로 생각된다. 3. 월동유충밀도(越冬幼蟲密度)에 대(對)한 성충우화율(成蟲羽化率)은 평균(平均) 14.5%로 1979년세대(年世代)에서는 14.1%였고 1980년세대(年世代)는 14.9%로 그 차(差)는 명백(明白)하지 않았다. 4.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Y)과 토양함수량(土壤含水量)() 및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는 라는 식(式)이 성립(成立)되었으며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5. 성충(成蟲)의 상대적(相對的) 우화율(羽化率)과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들 구해 본 결과(結果), 함수량(含水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가 클 때 우화율(羽化率)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6. 수상(樹上) 충영형성율은 1980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49.63% 였으나, 1981년세대(年世代)에서는 평균(平均) 86.87% 로 대부분(大部分)의 적송(赤松)이 고사(枯死)내지 고사단계(枯死段階)에 이르렀다.
        4,000원
        45.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을 제외한 Omethoate ,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 Phosphamidon , Monocrotophos 및 Dimethoate 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3,000원
        46.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t requires two different habitats for the development, on trees and under the ground. The habitat specific mortality rates ere for the respective habitats. The key developmental stage is the prepupa, and the key mortality factor i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oil and its variability. Since the insect is an exotic, the population status is the periphery and in the source of infestation are considerably different. Such a difference in habitats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the insec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uppression of the insect. The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directional and rational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est status. There have been substantial information on the control method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and each control method has an important place, but none has always provided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many problems associated by this insect. These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a system based on the ecology of the insect. There should be continued support for directed effort o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s for the insect: specifically, estmation of the critical economic injury level, and of the absolute density of the insect.
        3,000원
        48.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 Carbofuran, Disulfoton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인데 비하여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이었고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으며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49.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 Phenthoate, Diazinon(34 EC), Chlorfevinphos, Phosalone 및 Methamidophes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3,000원
        50.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솔잎혹파리 유충기생봉으로 등뿔먹좀벌속의 1신종인 혹파리등뿔먹좀벌(신칭)을 기재보고하는 바이다. 혹파리등뿔먹좀벌(Inostemma hockparin. sp.)은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mma seoulis), 혹파리사리먹좀벌(Platygaster matsultama) 그리고 진해에서 채집된 혹파리반뿔먹좀벌(신칭) (Inostemma matsutama)과 함께 한국에서 출현하고 있는 솔잎혹파리의 유력한 유충기생봉이다.
        3,000원
        51.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시험은 살충제 제제원액(Sumithion ULV 80, Sevin oil ULV 50, Salithion EC25, Dimethoate EC 50, Zolone EC 25, Folimat EC 50)과 고농도 희석액(Salithion, Dimethoate 10, 20, 40배)의 ULV 엽면살포에 의한 술잎혹파리방제 효과를 비교 검토코자 실시하였다. 1. 제제원액 살포시험에서는 약제의 종류와 철포시기(5월 19일, 26일, 6월 2일, 9일)에 따라 방제효과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면 그 방제효과는 Salithion, Sumithion, Dimethoate, Sevin oil, Zolone 및 Folimat의 순이였으며 대부분 5월 26일 처리에서 비교적 방제 효과가 좋았다. 그리나 문제는 Zolone을 제외한 다른 공시약제들은 보다 처리시기에 상관없이 약해가 발생하였다. 2. 고농도 희석액 살포시험에서는 희석배수, 처리시기(6월 2일, 9일)에 상관없이 Dimethoate에 비하여 Salithion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었다. 3.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alithion 유제를 10배로 희석하여 5월 중하순에서 6월 상순경에 걸쳐 ULV 1회 엽면살포로서 성력적인 솔잎혹파리적 약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2.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점착물질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 우화성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면산포, 지피식생 및 수간산포의 세 방법으로 이 시험을 위해 조제한 점착제 를 이용하여 경기도 안양시 산본리에서 시기별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착제로 선정된 의 조성은 피마자유 , Damar 수지 , Carnauba Wax 였으며 점성, 점도의 지속성이 우수하였고, 약해가 비교적 낮았다. 2. 지면산포구에서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수는 대조구에 비해 G-II구는 가 감소 되었다. 3. 지피식생산포구에서는 우화최성기의 성충포획 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P-I구는 , P-II구는 약 가 감소되었다. 4. 수간산포구에서는 충영형성율이 F-I구가 F-II구는 , F-II구는 로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았으나 F-I구는 F-II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소나무의 상중하부위별 충영형성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5. 점착제의 산포시기는 전처리구에서 우화최성일 1주일전이 효과적이었다.
        4,000원
        53.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은 몇가지 우화기구를 사용하여 기구형에 따른 우화상내 온도변화가 솔잎혹파리의 우화소장에 미치는 영향 및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변화와 우화소장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처리별 우화소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화기구별 상내 최고온도는 현저한 차리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Vinyl형은 월평균 가 높았고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표준형의 순이었다. 2) 처리별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최저온도분포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Vinyl형 처리구에서는 우화최성일이 5월 15로 대조구에 비하여 20일 앞당겨했고 표준형구와 Cage-50구도 14일 빨라졌다. 4) Funnel형 처리구에 있어서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의 분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우화최성일은 6일이 지연되었다. 5)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처리효과는 12월중순과 3월중순의 최고온도의 상승이 우화최성일을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54.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thioll , Omethoate , Monocrotophos , Acephate , Metalkamate , BPMC , 및 MIPC 를 100배, 200배, 400배액으로 희석하여 5월 9일 5월 24일, 6월 6일, 6월 20일, 7월 17일, 7월 17일에 각각 1회씩 고농도 미량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 방제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효과는 약제의 종류, 농도 및 살포시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Salithion, Omethoate, Monocrotorhos, Metalkamate순으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밖에 약제들은 방제효과가 낮거나 없었다. (2) 100배액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였으나 농도가 낮어 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3) 방제효과면에서나 잔효력면에서 볼 때 Salithion이 가장 좋았다. Salithion은 5월 9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1회 엽면살포로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였다. 그 밖에 Omethoate, Monocrotophos, Metalkamate는 Salithion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잔효력이 짧었다. (4) 100배액 살포에 있어서는 Omethoate, Salithion의 순으로 피해량적엽이 많었다. (피해량적엽이란 솔잎은 위축되었으나 충영을 형성치 못하고 부화유충에의한 피해양적만 남아 있는 잎을 말함)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4,000원
        55.
        197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의 비산거리를 조사하기 위해서 방사성 동위원소인 와 의 표식방법에 관한 기초 실험을 하였다. 1. 를 유충기에 표식 시켰을때 성충에서는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 즉 생물학적 반감기가 짧아 체내축적이 않되었다. 2. 충영내 유충의 방사능 표식는 처리시 10월이전에는 점차 증가하다가 10월 이후 부터는 점차 낮아져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유충은 10월 이후에 섭식을 작게 하는 것으로 본다. 3. 에 의한 충영내 노숙유충의 표식율은 3주째가 가장 높았으나 반감기가 짧은 까닭에 시일의 경과에 따라 급속한 표식방사능의 감소를 보인 결과로 미루어 는 수간주입에 의해 성충을 표식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4. 월동 노숙유충체를용액으로 처리하여 표식방사능을 검출할 수 있는 최적처리농도는 비방사능이 0.5uCi/ml에 침지을 30분간 한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세척하늘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농도에서 침지시간은 20분 이상으로 하여야 가 유충체내에 충분히 침투되었다
        4,000원
        56.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솔잎혹파리의 성충우화수 조사기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 안양리 산 160번지와 수원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우화기간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이었고 우화최성기는 기구별로 차이가 있어 표준형은 5월 29일-6월 2일, Funnel-A형은 6월 3일-7일, Suction형 Trap은 6월 8일-12일간이었다. 2. 우화율은 실내실험구의 Funnel-A형에서 였다. 3. Suction형 Trap은 밀도가 낮은 우화초기와 말기에 보호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4. 기존 표준우화상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Funnel-A형과 Suction형 trap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4,000원
        57.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기자혹응애(Eriophyes kuko KISHIDA)의 침입기에 의하여 구기자나무(Lycium chineens MILL.)외 잎형성된 혹(mite gall)의 생화학적 성질을 구명할 목으로 몇 가지 효소의 활성도, 화학성분의 함량 및 호량 등에 관하여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talase와 peroxidase 활성도는 건전한 잎의 직보다 혹 조직에서 높았으며 혹이 점차로 커짐에 따라 활성도도 높아졌다. 2. 조효소의 phosphorylase 활성도는 큰 혹(matured gall) 조직과 건전한 잎의 조직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 측정에 미치는 다른 효소의 영향을 고려하면 건전한 잎의 조직이 높은 것 같으며, phosphomonoesterase의 활성도는 건전한 잎의 조직보다 큰 혹 조직이 5배 가까이 높았으며 와 invertase 등의 활성도는 큰 혹 조직이 2배 가까이 높았다. 3. 조단백질 함량은 혹의 발생 형성초기인 작은 혹일때는 정도 건전한 잎의 조직보다 증가하였으나 혹이 점차 커 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은 자은 측일 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혹이 점차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인과 tannin의 함량도 혹이 점차커짐에 따라 증가하여를 혹이 건전한 잎보다 2배정도 많았다. 4, 호흡에 있어서 는 혹 조직이 건전한 잎보다 높았으나, 는 반대로 건전한 잎이 높았으며, RQ는 혹 조직이 낮았다.
        4,000원
        58.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교통로를 따라 솔칠혹파리의 피해선단지를 조사한 것이다. (1) 서울지방의 술잎혹파리 피해는 광주, 양수, 서파, 봉천, 고촌 등 동북방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다. (2) 솔잎혹파리의 전파를 조장하는 인자로는 성충기의 향이 가장 관계가 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솔잎혹파리 피해선단지의 유충기생봉 솔잎혹파리 좀벌의 기생율은 서파의 를 제외하고는 매우 높았다.
        3,000원
        59.
        196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밤나무혹벌의 생태, 특히 생활사, 발생소장 및 피해에 대하여 1961-1963년에 걸쳐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조사한 것이다. 1. 본 충은 년 1회 발생하며 단성생식을 한다. 2. 성충의 출현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이며 최성기는 7월중하순이며 일중 오전중에 많이 탈출한다. 3. 성충은 출현후 곧 아에 산란하는데 1아당 4.89개를 산란하며 1개체의 포란수는 평균 198.5개이었다. 4. 란기는 30일간이며 란은 8월말까지 부화하였다. 5. 유충기간은 8월중순부터 익년 6월 중순 까지며 용기는 6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였다. 6. 본 충은 아에 산란 기생하며 5월 하순부터 충영을 형성하여 생장을 정지시키고 율의 결실을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율목을 고사시킨다. 8. 본 충은 1958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처음 발생된 이래 현재에는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의 북반부 및 경상북도북부 일부에 분포하여 가해하고 있다.
        4,000원
        6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terial fruit blotch (BFB) is one of most important diseases in Cucurbitaceae due to infection of Acidovorax citrulli, causing huge economic losses damage worldwide. This seedborn disease spread rapidly at period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eco-friendly farming is getting popular. So far there was no effective agent to control BFB in eco-friendly farming. Therefore, effect of the material based on chinese nut-gall extract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FB to was tested against A. citrulli. Different hosts showed various symptoms of BFB. Liquid formulation among exhibited most eff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on A. citrulli. Pot experiment in greenhouse showed the potential as an control agent of BFB in cucurbits. The treatment of material based on chinese nut-gall extract showed the positive effect on survival of the watermelon seedling and on the length of the cucumber seedling treated with A. citrulli. We cautiously conclude that the material based on chinese nut-gall extract used in this study may be good agents against major diseases of cucurbits in the future even though it is require to be tested with more study on field test.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