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8

        41.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sign spectrum for Korea, which is known to belong to an intra-plate region, is developed from the ground motion records of the earthquakes occurred in Korea and overseas intra-plate regions. The horizontal spectrum is defined as geometric mean spectrum, GMRotI50.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ometric mean spectra, a mean plus one standard deviation spectrum in lognormal distribution is obtained.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on this curve to determine the shape of spectrum including transition periods. The developed design spectrum is valid for the estimation both spectral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4,000원
        4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HA) is performed in many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limited range of motion (LROM) of HA is affected by the tightness of the posterior deltoid, infraspinatus, teres major, and posterior capsule of glenohumeral joint. The LROM of shoulder HA contributes to excessive scapular abduction.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apular abduction distan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during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the LROM of shoulder HA. Methods: 24 subjects (12 people in LROM group and 12 people in normal ROM group) participated. Subjects with less than 115° of HA ROM were included in LROM group. Shoulder HA was performed 3 times for measuring scapular abduction distan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Tape measure was used for measuring scapular abduction distance. Scapular abduction distance was normalized by dividing the scapular size. Polhemus Liberty was used for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Results: Normalized scapular abduction distanc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LROM group than normal ROM group (p<.001).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during shoulder HA was greater in LROM group than normal ROM group (p<.05). Conclusion: LROM group had a greater scapular abduction and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capula during shoulder HA compared to normal ROM group.
        4,000원
        4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horizontal automatic scum remover with buoyant type is developed to reduce the cost of facility and is suitable for unit-process automation. This system is consist of the scum collecting box, leveling device for scum collecting box, drive device for scum collecting box, water level sensor and indicat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scum collecting box, setting monitor, main control panel, etc. Performance tests for the system such as the accuracy of the scum thickness measurement, horizontal degree of the scum collecting box, scum removal time, accuracy of an unmanned control have been performed. The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system satisfies all the objects of this study.
        4,000원
        44.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horizontal automatic scum remover with buoyant type is developed to reduce the cost of facility and is suitable for unit-process automation. This system is consist of the scum collecting box, leveling device for scum collecting box, drive device for scum collecting box, water level sensor and indicat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of scum collecting box, setting monitor, main control panel, etc. Performance tests for the system such as the accuracy of the scum thickness measurement, horizontal degree of the scum collecting box, scum removal time, accuracy of an unmanned control have been performed. The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system satisfies all the objects of this study.
        4,000원
        4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ases of conducting the vibration measurement using the mobile phone with regard to the building's horizontal vibration are very rare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orizontal vibration nature of the building using the mobile phone targeting 5 tall buildings, and reviewed about the applicability of the mobile phone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through the comparison/verification with the data of the existing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 The peak of the measured time series waveform was measured clearly and it showed a similar value to the existing natural frequency.
        4,000원
        4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굴절이상자의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른 사위와 폭주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과 현성사시가 없고 교정시력이 0.9 이상인 61명(남 29, 여 32)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검 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프리즘바를 사용한 자각적 교대가림검사로 원거리 (5m)에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 따른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면과 우측 및 좌측 10˚, 20˚, 30˚ 주시방향에서 폭주근점을 측정하였다. 결 과: 정면주시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와 비교하여 주시각도가 커짐에 따라 외사위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시방향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대상자가 더 많았으며, 좌측방향으로 주시하였 을 때 외사위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시각도가 증가할수록 폭주근점은 유의하게 멀어졌다. 결 론: 주시방향과 각도에 따라 사위도와 폭주근점은 변한다. 따라서, 시기능 평가시 주시방향과 각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s are the main risk factors for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Many assistant tools for manual materials handling are being used in various kind of industries. One of them is a 4-wheeled cart which is widely used in manufacturing factories, hospitals, etc. The major force required to control the 4-wheeled cart is pushing and pulling. There are two types of handles being used for the 4-wheeled cart : vertical type (two vertical handles), and horizontal type (one horizontal handl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ushing forces and subjective discomforts (hand/writst, shoulder, low back, and overall) of the two handle types with different handle height and distance conditions. Twelve healthy male students (mean age = 23.4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handle angle (horizontal, vertical), handle height (low, medium, high), and handle distance (narrow, medium, wide). The full factorial design was used for the experiment and the maximum pushing forces were measured in 18 different conditions (2×3×3). Analysis of variance (ANOVA) procedure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pushing force and discomfort levels. Handle height and angle were found to be the critical design factors that affect the maximal pushing forces and subjective discomfort. In the middle height, subjects exerted higher pushing forces, and experience lower discomfort levels compared to the high, and low height. There was no statistical influence of the handle distance to the pushing forces and subjective discomfort levels. It was found out that the effects of the handle angle (horizontal and vertical) on both pushing force and subjective discomf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vertical handle revealed higher pushing force and lower discomfort level than the horizontal handle. The reason for that was thought to be the different postures of the hand when grasping the handles. The horizontal handle induced pronaton of the hand and made hand posture more deviated from the neutral position.
        4,000원
        5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난류 강도가 풍력발전기 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축소된 풍력발전기 모델을 이용하여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측정 위치에 따라 풍력발전기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후류의 형태가 달라지며, 난류 강도에 따른 영향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류 강도만을 일부 고려한 격자 난류 조건에서 등류 조건보다 기존의 후류 모델과 보다 더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측정된 난류 강도 값을 바탕으로 수정된 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향후 다양한 난류 특성이 고려된 합리적인 모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52.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wadays, consumption of fisheries products is increasing. There are several factors, one of which is a quantitative development through aquaculture. Another factor is an increase qualitative consumption of fish which require that fish be supplied alive. This requires a lot of technical effort to transport the live fish that have low survival rate (c.f. tuna and mackerel) in coastal waters and in the open sea. To develop a towing cage for transporting the live fish, model test in a circulate water channel and simulation by computer tool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pread vertically, floats were attached at the upper part of the cage, and iron chains attach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ge. For horizontal spreading, kites were attached on the cage. The tension and spreading performance of the cage were measured. The result shows that the tension and reduction ratio of inside volume of the cage wer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ed towing speeds. The suitable operation condition in towing cage was 1.0 m/s towing speeds with vertical spreading force 8.7 kN, horizontal spreading force 5.6 kN; in this case the reduction ratio of inside volume of the cage was estimated as 25%.
        4,000원
        5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과 2011년 추계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 집구조와 그들의 성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만내외측의 19~20개 정점에서 생물학적 요인과 무생물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영양염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 현장 10개 정점의 표층수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실험을 수행하였다. 2010과 2011년의 영양염 수평적 분포특성은 내만해역I (정점1~9)과 섬진강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해역II (정점10~1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해역III (정점15~20)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해역별 차이가 명확하였다. 반면, 크기별로 분획된 Chl. a함량은 영양염농도가 낮은 해역으로 갈수록 극미소(Nano와 Pico)크기의 생물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2010년보다 2011년이 두드러졌다. 2010년 은편모조류가 대부분의 정점에서 85% 이상으로 우점하였고, 2011년에도 은편모그룹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중 대부분의 정점에서 50% 이상의 높은 비율을차지하였으나, 2010년의 출현개체수의 1/10 수준에 머물렀다. 은편모그룹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생물군이 규조류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로 나타났다. 생물검정실험에서는 전 해역에서 N첨가군과 NP첨가군의 효율이 대조군과 P첨가군에 비하여 높았고, 특히 현장 영양염농도가 낮게 기록된 정점8과 20의 NP영양염첨가군에서 약 2배의 높은 효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광양만에서 추계 갑작스럽게 높은 영양염이 공급될 경우 Skeletonema spp.와 같은 영양염 흡수능이 뛰어난 생물이 우점할 수 있을 것이며, 성층붕괴와 같은 일정량의 지속적인 영양염공급은 세포크기가 작은 기회성 특징을 가진 은편모그룹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5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누진다초점렌즈 구매자의 근거리 수평사위 종류를 파악하고 누진다초점렌즈 착용 전·후의 근거리 수평사위의 변화량을 조사하여 근거리 수평사위 종류에 따른 알맞은 누진다초점 렌즈 처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40세에서 80세 사이의 누진다초점렌즈 구매고객을 외사위 20명, 내사위 20명 두 그룹으로 나눴다. 두 그룹을 가입도에 따라 +0.75~+1.25 D는 Group 1, +1.50~+2.00 D는 Group 2, +2.25~+2.75 D는 Group 3으로 나눈 뒤 누진다초점렌즈 착용 시 근거리 수평사위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 외사위 그룹의 가입도 처방 전 근거리 수평사위 평균값이 4.4±1.23 BI, 가입도 처방 후 근거리 수평사위 평균값이 6.7±1.26 BI이며, 그 차이값의 평균이 2.3±0.47 BI로 유의(p
        4,000원
        5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수평주시시차의 유형별 분포를 분석하고 입체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입체시 검사표는 부분적으로 random dot을 이용하는 RANDOT® stereotest를 사용하였다. 근거리에서 수평주시시차는 환자와의 거리를 25cm 유지한 상태에서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해, 한쪽 눈에 하나씩 보이는 두 개의 가는 선이 프리즘을 가입하여 한 줄로 일치될 때의 프리즘 기저 방향과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54명을 대상으로 근거리 수평주시시차 곡선의 유형은 제 I유형이 55.56%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제 Ⅱ유형이 3.7%로 가장 적게 분포하였으며, 제 Ⅲ유형이 22.22%, 제 Ⅳ유형은 18.22%로 분포하였다. 두 변수들 사이의 선형적 상관관계의 정도를 보는 상관분석의 결과를 보면 입체시는 수평주시시차를 나타내는 Y-intercept(r=-0.17), 일부융합제거 시 사위량(r=-0.13), 완전융합제거 시 사위량(r=0.02)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5), 수평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r=0.29)와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일부융합제거 시 사위량(r=0.85)과 완전융합제거시 사위량(r=-0.43)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수평주시시차와 사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4,000원
        1 2 3 4 5